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Painters of Joseon’s Cultural Mission to Japan in 1763-1764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2, pp.333-369
https://doi.org/10.25024/ksq.34.2.201106.33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계미통신사행은 그 어느 때보다 교유 일본인들의 창화 문집이 많이 남아 있어 당시 양국 간 문화교유가 매우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화원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본문에서는 계미통신사행과 관련하여 일본에 소장된 계미통신사절의 기록 및 일본 현존 작품을 근거로 계미통신사행에 동행한 화원 김유성(1725 1775 이후)과 별화원 변박, 그리고 변탁의 활동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케노 다이가가 그린 조선통신사행렬도 「한객여행도」와 김유성에게 보낸 서신의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1763년 계미통신사행에서 화원 김유성과 일본 남화의 대가 이케노 다이가와의 교유 상황과 그의 작품에서 보이는 교유관계를 파악하였다. 특히 최근까지도 선행 연구에서 별화원 변박과 변탁을 동일인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 글에서는 통신사행의 좌목과 문집에서 사용된 이들의 자와 호의 차이에서 별개 인물임을 명확히 하였다. 동래부에 소속 인물들로 조엄의 신임으로 기선장에 발탁되었으나, 그들의 서화에 대한 재예가 이들의 선발기준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변박의 경우는 그림에 능하여 막부 장군이 참관하는 자리에서 그림을 그려 수행화원 김유성과 같은 포상을 받았으며, 정사 조엄으로부터 요구되는 회사(繪事)를 맡아 수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변박이 에도까지 입성하여 세이켄지에 남긴 차운시와 관상가 니야마 다이호가 변탁을 만나 그에 대한 자세한 인상과 신상을 소개한 『한객인상필화』의 내용을 자세히 예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계미통신사행에서 문화 전파의 한축인 화원들의 활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하고 동래 화원 변박과 변탁에 대한 학계의 혼선을 바로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keywords
통신사(Tongsinsa), 화원(Painter), 김유성(Gim Yuseong), 변박(Byeon Bak), 변탁(Byeon Tak), 이케노 다이가(Ikeno Taiga)


Reference

1

南玉, 日觀記 .

2

新山退甫, 韓客人相筆話 .

3

元中擧, 乘槎錄 .

4

趙曮, 海槎日記 ; (國譯)海行摠載 , 민족문화추진회, 1974.

5

고바야시 유코, 「池大雅 산수표현의 추구」, 미술사논단 4, 한국미술연구소, 1996.

6

구지현, 「 癸未隨槎錄 에 대한 재검토 작가와 사행록으로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 연세대 국학연구원, 2005.

7

김동철, 「왜관도를 그린 변박의 대일교류 활동과 작품들」.『한일관계사연구』19, 한일관계사학회, 2003.

8

김영남, 「기무라 겐카도(木村蒹葭堂, 1736 1802)의 繪畵 硏究」. 미술사학 21,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7.

9

김의환, 「趙曮이 본 18世紀 後半期의 日本社會와 朝日關係」. 玄岩 申國柱博士華甲紀念韓國學論叢 , 동국대학교출판부, 1985.

10

남옥 저, 김보경 역, 일관기 붓끝으로 부사산 바람을 가르다 . 소명출판, 2006.

11

박윤희, 「이케노타이가의 문인화에 대한 이해와 실제」. 미술사학연구 255, 한국미술사학회, 2007.

12

박진한, 「享保·寬政改革期 江戶幕府의 검약정책」. 동방학지 131,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5.

13

서윤정, 「1764년 通信使의 繪畵活動과 그 交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4

신남민, 「東萊府使接倭使圖屛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안휘준, 「韓日 繪畵關係 1500年」. 조선통신사 , 국립중앙박물관, 1986.

16

원중거 저, 김경숙 역, 승사록 조선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 소명출판, 2006.

17

이원식, 조선통신사 . 민음사, 1991.

18

정은주, 「正德元年(1711) 조선통신사행렬회권 연구」. 미술사논단 23, 한국미술연구소, 2006.

19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靜岡市 共編, 세이켄지 소장 조선통신사 유물도록 . 2006.

20

하우봉, 朝鮮後期 實學者의 日本觀 硏究 . 一志社, 1989.

21

홍선표, 「十七·十八世紀의 韓·日間 繪畵交涉」. 고고미술 143·144, 한국미술사학회, 1979.

22

홍선표, 「조선후기 통신사 수행화원의 회화활동」. 미술사논단 6 , 한국미술연구소, 1998.

23

홍선표, 「에도시대의 조선화 열기 일본통신사행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8,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24

홍선표, 「17, 18세기 한·일 회화교류의 관계성 에도시대의 조선화 열기와 그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 예경, 2007.

25

鄕司泰仁, 「寶曆度朝鮮通信使の畵員金有聲について」. 靑丘學術論集 23, 韓國文化硏究振興財團, 2003.

26

辛基秀, 「瀬戶內の海上ぺ ジェントと江戶の通信使」. 大系 朝鮮通信使 , 明石書店, 1994.

27

仲尾 宏, 「寶曆度通信使とその時代」. 大系 朝鮮通信使 , 明石書店, 1994.

28

貫井正之·毛井正勝·小出裕,「江戸時代、朝鮮通信使の基礎的研究-特に東海地方(岐阜県·愛知県·静岡県)を中心にして」. 青丘學術論集 18, 韓国文化研究振興財團, 2001.

29

藤塚 鄰, 淸朝文化の東傳硏究 . 國書刊行會, 1975.

30

山內長三, 「金有聲と僧·敬雄」. 韓國文化 34, 1982. 7.

31

吉田宏志, 「朝鮮通信使に隨行して來日した畵員, 金有聲について」. 朝鮮通信使展; 江戶時代の善隣友好 , 常葉美術館, 2004.

32

朝鮮王朝の繪畵と日本 宗達, 大雅, 若冲も學んだ隣國の美 , 讀賣新聞大阪本社, 2008.

33

Burglind Jungmann, Ike Taiga’s Circle and Korean Embassies, Painters as Envoy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