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시대 사대부 언간 서체의 미적 특징 고찰 : 16-19세기 자음자의 서체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Korean Calligraphic Aesthetic Characteristics written by Sadaebu(士大夫)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Calligraphic Style of Korean Consonants from 16th century to 19th centur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2, pp.37-70
https://doi.org/10.25024/ksq.34.2.201106.37
정복동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한글 서체를 연구하는 데 사대부들의 한글편지 글씨의 독특하고 다양한 조형요소는 오늘날 서예가들이 ‘법고창신(法古創新)’하는 데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하지만 그동안 사대부들의 서체에 대한 연구는 한문 서체에 집중되었고, 한글 서체에 대한 연구는 조형에 관한 연구만 부분적으로 진행되어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6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 분포하는 총 28종, 1473건의 한글편지 가운데 시기별로 사대부 세 명을 선정하여 자소에 대한 서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 요소와 독창적 요소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방법은 자형의 축약에 의한 서풍을 간이성(簡易性), 점획 연결의 연면성, 전절의 조화성, 향배의 조응성(照應性) 등의 서법요소를 중심으로 파악하되, 각각의 서풍에 내재된 미의식의 원천을 사대부의 학예사상을 바탕으로 개략적으로 밝히는 데 1차적인 초점을 두었다. 16세기는 서법을 분명하게 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우면서도 소박하게 표현하였고,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율곡 학맥의 서인 노론계열은 마치 집권당의 권위를 내세우듯이 운필을 신중하고 정중하게 하여 안정된 결구를 보여주고 있다. 18세기에 들어 실학시대의 진경문화를 맞아 동국진체가 등장하면서 한글 서풍도 초서풍의 흘림체가 유행하였다. 19세기는 한글 서풍의 종합적인 면을 아우르는 가운데 비학(碑學)의 고증학적 영향에 힘입어 금석의 기운을 담은 질박하면서도 강건한 서풍이 주류를 이루었다.

keywords
사대부 언간(the Korean language written by Sadaebu), 자음의 조형(formative of the consonants), 간이성(simplicity), 조화성(correspondence), 연면성(consecutiveness), 조응성(pocorresndence)


참고문헌

1

孫過庭, 書譜 .

2

英·正祖代 東國眞體 特別展 . 한신대학교박물관, 1998.

3

조선왕조어필 . 예술의전당, 2002.

4

추사 한글편지 . 예술의전당, 2004.

5

한글서예변천전 . 예술의전당, 1991.

6

김형찬, 「敬畏에서 感應으로 眉叟 許穆의 退溪學 계승에 관한 고찰」. 철학 제99집, 한국철학회, 2009.

7

朴炳千, 서법론연구 . 一志社, 1987.

8

朴炳千, 조선시대 한글서간체 연구 . 도서출판 다운샘, 2007.

9

박정숙, 「추사 김정희 서간의 서예미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0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 태학사, 2003.

11

서경요, 한국유교지성론 . 유교문화연구소, 2003.

12

선주선, 서예통론 . 원광대학교출판국, 2005.

13

송하경, 「한글 훈민정음 정체성의 미학적 구조 엿보기」. 라라프로젝트 01, 우리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 안그라픽스, 2006.

14

유봉학,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 신구문화사, 1998.

15

유봉학, 「조선후기 새로운 학풍(실학)과 문화예술의 추이」. 實學時代의 書藝 , 한신대학교 박물관, 2004.

16

柳志福, 「조선시대 초서풍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윤사순·고익진 편, 한국의 사상 . 열음사, 1990.

18

이동표, 懶隱先生文集 . 韓國歷代文集叢書, 景仁文化社, 1973.

19

李完雨, 「석봉 한호 서예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20

정복동, 「16 17세기 한글편지의 서체적 특징」. 동양예술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1.2, 40 77쪽.

21

鄭玉子, 朝鮮後記 文學思想史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22

조민환, 「孫過庭의 美學思想에 관한 硏究」. 철학 제46집, 한국철학회, 1996, 35 61쪽.

23

채순홍, 「懷素 自敍帖의 美學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4

최완수, 조선왕조어필 . 예술의전당, 2002.

25

최완수, 「우암 당시의 그림과 글씨」. 澗松文華 72, 2007.

26

한덕웅, 한국유학심리학 . 시그마프레스(주), 2003.

27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송병필가 소재 언간(민속32135) .

28

충북대박물관 소장, 순천김씨묘 출토 언간 . 2002.

29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세언독 소재 언간(MF35 11350 등) , 송준길후손가 언간(MF35 11683 등) , 의성김씨 종택 언간(MF35 3715 6 등) .

30

水采田, 宋代書論 . 湖南美術出版社, 2004.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