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한국 천주교의 신앙인 만들기 : 두 가지 종교성에 주목하며

Making a Faithful Catholic in Korea: About Two Polarized Religiositie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2, pp.7-36
https://doi.org/10.25024/ksq.34.2.201106.7
조현범 ((재)한국교회사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현대 한국의 천주교에서 행하는 신앙인 만들기, 즉 교리교육이나 기타 신앙심 배양 프로그램의 안팎에 도사리고 있는 두 가지 상반되는 종교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신자와 성직자, 그리고 수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이러한 프로그램의 규범적인 틀이 어떠한지 그 전체적인 윤곽을 그려보았다. 그런 다음에는 천주교단이 종교교육을 통해서 재생산하고자 하는 공식적인 종교성이 어떤 것인지를 공식적인 간행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아울러 공식적인 종교성과 대극적인 측면에서 이른바 “건전한 신앙생활을 해치는 운동과 흐름”으로 어떤 종교성들이 지목되고 있는지, 그리고 천주교단은 그것들을 왜 위험한 존재들로 인식하는지를 따져보았다. 결론적으로 천주교의 종교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식적인 가르침과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생활 속에서 꿈틀거리는 비공식적 신앙 양상들은 종교성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 모두 특정한 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두 가지 종교성은 나름대로 독자적으로 존속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교단 상층부가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종교성은 종교적 권력을 행사하여, 공식적인 지배 담론의 수준에서 천주교 신자들이 세계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유력한 틀로서 기능한다. 이와 대비할 때 비공식적 종교성은 공식적인 종교교육의 장 내에서 끊임없이 단죄당하지만, 인류의 종교사에서 언제나 그러했듯이 완전히 소멸하는 법이 없다. 다만 모습을 바꾸어 재등장할 뿐이다. 이처럼 한국 천주교의 신앙인 교육 프로그램에는 제도 지향적 종교성과 카리스마 지향적 종교성이 대위법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변주가 존재한다.

keywords
천주교(catholicism), 종교교육(religious education), 종교성(religiosity), 공식종교(official religion), 대중종교(popular religion)


참고문헌

1

가톨릭 교리신학원 선교사회 신앙교육부 엮음, 증거자로의 초대: 견진교리 및 신자 재교육용 교재 . 가톨릭 교리신학원, 1996.

2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50년사 편찬위원회 편,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50년사: 1885 2005 .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007.

3

고진호, 「종교교육의 실천적 대안을 위한 방향 탐색」. 종교교육학 연구 제23권, 2006, 17 30쪽.

4

노길명·한내창, 「대학생들의 종교적 사회화에 관한 경험적 연구」. 종교연구 제14집, 1997, 109 144쪽.

5

메리 C. 보이즈 저, 유재덕 역, 현대 종교교육의 지형과 전망 . 하늘기획, 2006.

6

박강희, 「교회쇄신의 핵심으로서의 사제계속교육에 관한 연구」. 가톨릭사상 제37호,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105 134쪽.

7

박범석,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종교적 경험의 통합적 성격」. 종교연구 제37집, 2004, 161 183쪽.

8

박일, 「뉴에이지(New Age) 운동에 대한 가톨릭 신앙에서의 식별」. 사목연구 제13집, 2004, 154 183쪽.

9

반신환, 「대학생의 종교, 종교성, 윤리의식 및 종교적 대처」. 종교연구 제34집, 2004, 27 42쪽.

10

방효익, 교리교육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가톨릭출판사, 1998.

11

서동찬, 삼천년기의 교리교육 . 가톨릭출판사, 2006.

12

알프 뤼트케, 일상사란 무엇인가 . 청년사, 2002, 460쪽.

13

정신철, 현대 교리교육의 모델 . 인천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7.

14

정신철, 교리교육 문헌 해설 . 인천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8.

15

정진석,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해설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5.

16

정진홍, 「한국 종교문화의 근대성 경험: 새로운 종교성의 출현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창간호, 2002, 11 25쪽.

17

조발그니·류정희,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 종교연구 제51집, 2008, 193 225쪽.

18

조현범, 「한국사회의 민속담론과 민속종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9

조현범, 「디지털 니르바나: 사이버 공간과 초월의 상상력」. 종교연구 제30집, 2003, 237 257쪽.

20

존 실리 저, 강돈구·박진원 역, 종교교육 이론 . 서광사, 1992.

21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편찬, 한국 천주교 교리교육 지침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5.

22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편찬, 교황청 성직자성 교리교육 총지침(개정판)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9.

23

주교회의 교회법위원회 번역, 교회법전(Codex Iuris Canonici)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89.

24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건전한 신앙생활을 해치는 운동과 흐름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7.

25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건전한 신앙생활을 해치는 운동과 흐름 Ⅱ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3.

26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올바른 성모신심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6.

27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올바른 성령 이해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8.

28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죽은 이를 위한 올바른 기도, ‘가계치유’의 문제점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0.

29

주교회의 한국사목연구소, 유사영성 운동의 현황과 확산 대책 보고서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5.

30

천주교 서울대교구 복음화 연구실 엮음, 함께하는 여정, 소공동체와 함께하는 예비신자 교리서 . 천주교 서울대교구 복음화 사무국, 2001.

31

천주교 서울대교구 시노드 사무국, 천주교 서울대교구 시노드 본회의 의안 토의 후보고서 . 2003.

32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5.

33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사도들의 후계자: 주교들의 사목 임무를 위한 지침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8.

34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한국 천주교 신자교육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 2008.

35

한내창, 「우리문화에서 I/E 및 기타 종교성 척도」. 한국사회학 제35집 6호, 2001, 193 216쪽.

36

한내창, 「종교성과 주관적 삶의 질」.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제33집, 2006, 179 212쪽.

37

Ginzburg, Carlo, Ecstasies: Deciphering the Witches’ Sabbath, trans. by Raymond Rosenthal. New York: Penguin Books, 1992.

38

Smith, Jonathan Z., “Religion, Religions, Religious,” in Mark Taylor, ed., Critical Terms for Religious Stud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pp. 269 284.

39

Vrijhof, Pieter and Waardenburg, Jacques, eds., Official and Popular Religion. The Hague: Mouton Publishers, 1979.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