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ypes of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Linguistic Changes and Those Cultural-Political Meaning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3, pp.229-257
https://doi.org/10.25024/ksq.34.3.201109.22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한국 지명은 경합 지명으로서의 고유 지명과 한자 지명이 공존하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고유 지명과 한자 지명 사이의 공존과 갈등은 궁극적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와 반도적 성격에서 유래한 것으로 직접적으로는 한국인이 수행해온 언어생활의 이중성에서 기인한 것이다. 한국 지명이 간직한 이중성과 중층성이 곧 문화정치적 지명 연구를 위한 전제 조건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필자는 경계 및 점이 지대로서의 공주목 진관 구역의 지명을 사례로 지명의 다양한 언어적 변천 유형과 그 안에 담긴 문화정치적인 의의를 살펴보았다. 공주목 진관 구역의 위치와 영역이 지닌 경계적이고 점이적인 성격은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의 거주와 이동에 영향을 미쳤고, 이들에 의한 다양한 지명 생성과 변천 유형을 양산하였다. 특히 공주목 진관 지명이 간직한 언어적 변천과정에는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의 권력관계가 개입된 다양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즉, 언중들의 일상 언어생활에서 비의도적으로 발생되는 지명의 표기 변화와 음운 변화, 그리고 이두식 표기의 지명 유형들에는 순수한 언어적 변천 특성과 함께 문화정치적인 변용 및 해석의 가능성이 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지명(place names), 표기 변화(transcription change), 음운 변화(phono-logical change), 이두식 표기(Idu transcription), 문화 정치(cultural politics)


Reference

1

三國史記 . 1145; 新增東國輿地勝覽 . 1530.

2

柳馨遠, 東國輿地志 . 1656 1673.

3

국사편찬위원회, 輿地圖書 . 1973.

4

서울대학교출판부, 戶口總數 . 1996.

5

서울대규장각, 忠淸道邑誌 . 2001.

6

金正浩, 大東地志 . 1861 1866.

7

조선총독부, 朝鮮地誌資料 . 1911.

8

조선총독부, 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 . 1912.

9

黃胤錫, 頤齋亂藁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3.

10

越智唯七,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 1917.

11

崔進源, 六逸堂集 . 江華崔氏 松菴宗中書室, 2005; 최세진, 訓蒙字會 . 1527; 유희춘, 新增類合(羅孫本) . 1574; 光州千字文 . 1575; 石峰千字文 . 1583; 註解千字文 . 1804.

12

海東地圖 . 1750 1751; 金正浩, 大東輿地圖 . 1861; 서울대규장각, 〈朝鮮地圖〉. 奎 16030, 1750 1768; 조선총독부, 魯城郡(地圖)(1 : 24,000) . 1910년대.

13

《朝鮮總督府 官報》; 《大韓民國政府 官報》; 《東亞日報》; 《朝鮮日報》; 《한겨레신문》; 장평(적곡) 동문 카페(2008)(http://cafe.naver.com/limwon/1)

14

김순배, 「地名 變遷의 地域的 要因에 關한 硏究: 16세기 이후 大田 지방의 漢字 地名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5

김순배, 「韓國 地名의 文化政治的 變遷에 關한 硏究: 舊 公州牧 鎭管 區域을 中心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6

김순배·류제헌,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연구를 위한 이론의 구성」. 대한지리학회지 43권 4호, 2008, 599 619쪽.

17

남풍현, 차자 표기법 연구 . 단국대출판부, 1981.

18

남풍현, 이두연구 . 태학사, 2000.

19

논산문화원, 논산 지역의 지명 유래 . 논산문화원, 1994.

20

단국대동양학연구소, 천자문 . 단국대출판부 1984.

21

단국대동양학연구소, 훈몽자회 . 단국대출판부, 1995.

22

단국대동양학연구소, 신증유합 . 단국대출판부, 2002.

23

도수희, 한국 지명 연구 . 이회, 1999.

24

도수희, 한국의 지명 . 아카넷, 2003.

25

도수희, 「마을 이름으로 본 대전 지역의 고유어」. 대전문화 17권, 2008, 335 359쪽.

26

박성종, 「조선초기 이두 자료와 그 국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7

임동권 외 편, 청양의 지명과 전설 . 청양문화원, 2005.

28

전경목 외 역, 儒胥必知 . 사계절, 2006.

29

조치원문화원, 연기군의 지명 유래 . 조치원문화원, 2007.

30

청양군지편찬위원회, 청양군지(상·하) . 청양군, 2005.

31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4(충남편) . 한글학회, 1974.

32

Jackson, P., Maps of Meaning: An introduction to cultural geography, London: Routledge, 1989.

33

Kim, Sun Bae, “The Cultural Politics of Place Names in Korea: Contestation of Place Names’ Territories and Construction of Territorial Identit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13, No. 2, 2010, pp. 161 186.

34

Mitchell, D., Cultural Geography: A Critical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2000.

35

Pêcheux, M.,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trans., Nagpal, H., London: The Macmillan Press, 1982.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