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남계연담〉의 특징과 그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Tale of Nam Gye(南溪)〉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4, pp.7-35
https://doi.org/10.25024/ksq.34.4.201112.7
홍현성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남계연담〉은 『승정원일기』 소재 단편 기록으로 인해, 이제껏 중국소설로 여겨졌다. 그러나 논의 결과 〈남계연담〉의 특징은 우리 소설사와 맥이 닿아 있었다. 이 글은 〈남계연담〉의 특징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 〈남계연담〉은 중국 연의소설 〈皇明傳〉을 본전으로 둔 소설이었다. 〈皇明傳〉은 군담 위주로 서사를 진행한 반면, 〈남계연담〉은 명조정의 정치 판도를 조명했다. 〈남계연담〉은 본전에 대한 반론을 제기했다고 하겠다. 〈남계연담〉은 〈皇明傳〉이 보이지 못한 명초 정치적 판도를 선명히 보여줄 수 있는 劉基를 중심인물로 택했다. 〈皇明傳〉과 달리 역사에서 劉基는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됐다. 劉基와 그 후손에 주목한 우리 소설사적 흐름과 일치했다. 둘째, 〈남계연담〉은 〈皇明傳〉과 다른 지향을 보이기 위해 역사서 『皇明通紀』를 수용했다. 연의소설과 역사책을 함께 수용한 것이다. 연의소설과 역사서를 짜깁기한 장면 형상 방식은 우리 소설 〈옥환기봉〉에서 찾을 수 있다. 셋째, 〈남계연담〉에 다양한 창작 한시가 나왔다. 창작 한시는 기존 한시의 시구를 조합 및 변개한 것이었다. 창작 한시는 실존인물의 입을 통해 문면에 제시됐다. 이러한 한시 제시 방식은 중국 연의소설에서는 찾기 힘들지만, 우리 소설에서는 쉽게 찾을 수 있다.

keywords
남계연담(Namgyeyandam), 영조(Youngjo), 영렬전(Yingliezhuan), 옥환기봉(Okhwankibong), 운합기종(Yungejizong), 유기(Liuji), 주원장(Zhuyuanzhang), 호유용(Huwei-young), 황명영렬전(Huangmingyingliezhuan), 황명통기(Huangmingtongji)


참고문헌

1

古代小說 . W. E. Skillend, 문연각, 1985.

2

南溪聯譚 . 김광순 편,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42권, 박이정, 1998.

3

南溪讌談 . 서울대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 일석 819.5 N152yp. v. 1 3.

4

南溪演談 . 장서각, 귀 K4 6788, MF35 20.

5

대명영렬뎐 . 장서각, 귀 K4 6798 1 8, MF35 206 207.

6

陶淵明集 . 陶淵明 著, 袁行霈 撰, 陶淵明集箋注 , 中華書局, 2003.

7

明史 . 張廷玉 等 撰, 中華書局, 1974.

8

明史紀事本末 . 谷應泰 著, 中華書局, 1977.

9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o.kr).

10

雲合奇踪 . 宁德偉 點校, 英烈傳 古本小說讀本叢刊 1, 中華書局, 1996.

11

二十二史箚記 . 趙翼 著, 王樹民 校證, 廿二史箚記校證 , 中華書局, 1984.

12

頤齋亂藁 . 黃胤錫 著,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13

中國小說繪模本 . 강원대학교출판부, 1993.

14

화산선계록 . 고려서림, 1986.

15

皇明開運英武傳 . 古本小說集成 第4集 391卷, 上海古籍出版社, 1991.

16

皇明英烈傳 . 古本小說集成 第2集 135卷, 上海古籍出版社, 1991.

17

皇明通紀 . 陳建 著, 錢茂偉 點校, 皇明通紀 上·下, 中華書局, 2006.

18

김문식,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 새문사, 2009, 53 60쪽.

19

기시모토 미오·미야지마 히로시 저, 김현영·문순실 역,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 . 역사비평사, 2003, 35 36쪽.

20

민관동, 중국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한국편 . 아세아문화사, 2007, 28쪽.

21

박순임, 「 泉水石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1, 44쪽.

22

박재연, 대명영렬뎐 . 선문대 번역문헌연구소, 1996, 267쪽.

23

박재연, 「낙선재본 대명영렬뎐 연구」. 중국소설논총 6집, 한국중국소설학회, 1997, 53 54쪽.

24

서정민, 「〈명행정의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60쪽.

25

양승민, 「 승정원일기 소재 소설 관련 기사 변증」. 古典文學硏究 26집, 한국고전문학연구회, 2006, 259 289쪽.

26

양승민, 고전소설 문헌학의 실제와 전망 . 아세아문화사, 2008, 429 458쪽.

27

이재홍, 「국립중앙도서관소장 번역필사본 중국역사소설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8쪽.

28

임치균, 「〈영이록〉 연구」. 古典文學硏究 9집, 한국고전문학회, 1993, 327 351쪽.

29

임치균, 조선조 대장편소설 연구 . 태학사, 1996, 290 318쪽.

30

임치균, 「18세기 고전소설의 역사수용 일양상 〈옥환기봉〉을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8,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158쪽.

31

임치균, 「〈한조삼성기봉〉 연구」. 장서각 낙선재본 고전소설 연구 , 태학사, 2005, 45쪽.

32

임치균, 「〈태원지〉 연구」. 古典文學硏究 35집, 한국고전문학회, 2010, 355 384쪽.

33

임형택, 「17世紀 閨房小說의 成立과 〈倡善感義錄〉」. 東方學志 57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8, 141 151쪽.

34

전인초, 「劉基行狀과 南溪演談 · 南溪聯譚 」. 東方學志 145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9, 321 340쪽.

35

정길수,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과정 . 돌베개, 2005, 329쪽.

36

정병설, 「24. 남계연담」. 藏書閣古小說解題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67쪽.

37

朱恒夫, 「丁 〈英烈传〉的作者, 演变与它的艺术性」. 明淸小說硏究 , 1995, 44 51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