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외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

An Inquiry into Images of Korea Reflected in the International Social Sciences School Textbook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2, v.35 no.1, pp.343-372
https://doi.org/10.25024/ksq.35.1.201203.343
안지영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소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재윤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세계 각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내용 분석을 통해 외국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는 ① 역사적으로 피동적·타율적인 국가 이미지, ② 한국전쟁에 의한 전쟁국가 및 분단국가 이미지, ③ 신흥공업국으로서의 공업국가 이미지, ④ 소략·축소된 문화적 이미지로 분류된다. 외국 사회과 교과서에서 특히 강조되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는 한국전쟁에 의한 전쟁 및 분단국가 이미지와 신흥공업국으로서의 공업국가 이미지이다. 한국문화에 대한 이미지는 부족, 결핍된 상태로 한국문화의 독창성 서술의 부재는 차치하고 한국문화 자체에 대한 내용의 부재도 심각하다. 세계 각국의 필요에 의해 단편적·단절적으로 취사선택된 내용에 의해 형성된 한국의 국가 이미지는 한국이라는 총체적인 국가 이미지를 가지게 하기는 어렵다. 세계 각국 사회과 교과서에서 한국이 가지는 전쟁국가, 분단국가의 이미지는 전쟁 그 자체가 주는 강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이러한 이미지를 쇄신할 만한 대상 이미지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한국은 여전히 전쟁발발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분단국가 이미지를 파생시키고 있다. 또한 신흥공업국으로의 공업국가 이미지 경제적으로 공업국으로 성장한 이미지와 공업국이 가지고 있는 제조업 중심의 국가 이미지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결핍된 한국의 문화 이미지는 하드 파워보다 소프트 파워가 중요시되는 현 시점에서 소프트 파워를 확장해나갈 수 있는 기반 문화조차 없는 문화적으로 제한된 이미지를 가지게 한다. 따라서 세계 각국 사회과 교과서에서 나타나고 있는 한국의 단절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정부가 추진한 괴테문화원(Goethe Institut)과 최근 중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자학원(孔子學院)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보다 국가적·학술적·민간적인 차원에서의 전 방위적이고 다층적인 노력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social science school textbooks in foreign countries, national image, derived image, war-torned country, divided country, emerging industrial country, 외국 사회과 교과서(social science school textbooks in foreign countries), 국가 이미지(national image), 파생 이미지(derived image), 전쟁국가(war-torned country), 분단국가(divided country), 신흥공업국(emerging industrial country)


참고문헌

1

선주·최상훈, 「미국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9학년 이상에서 사용되는 6권의 미국 세계사 교과서 분석-」. 「역사교육연구」제1호, 2005, 30쪽.

2

기계형, 「러시아 대학의 역사학 교재와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전쟁 인식」. 「역사교육」, 제117집, 2011, 91-98쪽.

3

김상미, 「전쟁 관련 사진전에 나타난 공식기억의 양상과 분단이미지 -기록과 예술의 매체로서의 사진-」. 「인문과학」 제47집, 2010, 181쪽.

4

김유경, 「국가 브랜드 개성의 차원에 대한 연구」. 「광고연구」 여름호, 2007, 91쪽.

5

김지훈, KU-CR-06-06 「중국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6

박소영, KU-CR-09-01 「일본,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9.

7

베이세노바 알리야 사르세노브나 외, 「지리 –세계지역개괄-」. 멕텝, 2007.

8

유엔티밍프엉, 「선택 주제에 대한 추가자료: 지리 11」. 교육출판, 2010.

9

이길상·전택수, KU-CR-07-01 「미국 교과서 한국 관련 집필자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10

이내영·정한울, 「소프트파워 경쟁과 한국 매력외교 과제」. 「EAI 여론브리핑」 제76호, 2010.

11

이찬우·서용구, 「국가 이미지 관리에 관한 선진국 사례연구」. 「경제경영논집」 제30집 제1호, 2001, 127쪽.

12

임상선 외, 「중국과 타이완·홍콩 역사교과서 비교」. 동북아역사재단, 2008.

13

정재윤, KU-CR-06-05 「러시아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14

최정희, KU-CR-07-07 「미국 중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분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15

최진봉·유찬열, 「뉴욕타임즈와 로스앤젤레스타임즈에 보도된 한국과 일본의 국가이미지 분석」. 「동서언론」 제9집, 2005, 409쪽.

16

課程敎材硏究所, 歷史課程敎材硏究開發中心, 「中國歷史」 七學年 下冊.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2008.

17

王秋原, 「社會 4」. 臺灣: 南一書局, 2009.

18

李季湄 主編, 「品德與社會」 六年級 上冊. 北京: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6.

19

人民敎育出版社 課程敎材硏究所·地理課程敎材硏究開發中心, 「地理」(必修).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2004.

20

戚万學, 「品德與社會」 五年級 下冊. 北京: 敎育科學出版社, 2006.

21

Ahn Ji-Young, “Narratives of the Korean War in Chi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12, No. 1, 2009, pp. 35-36.

22

Andy Palmer et al., Edexcel (A) Advanced Geography. London: Phillip Allan, 2005.

23

Annette Ciattoni, Geographie. Paris: Hatier, 2004.

24

Anton Golecki, Geschchte der USA. Bamberg: C. C. Buchner, 2000.

25

Antonio Brancati, Trebi Pagliarani, il nuovo DIALOGO con la storia 3 il Novecento. Milano: La Nouva Italia, 2007.

26

Ben Walsh, Edexcel GCSE Modern World History. London: Hodder Education, 2009.

27

Christian Bouvet, Jaen-Micheal Lambin, Histoire-Geographie. Paris: Hachette, 2003.

28

Franz Xaver Heckl et al., Fundamente Kursthemen. Der asiatisch-pazifische Raum. Gotha: Klett-Perthes, 2003.

29

Garrett Nagle et al., AS & A Level Geograp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0

Grace Estela C. Mateo, et. al., Asian civilization: History and culture. Quezon city: Vibal Publication, 2006.

31

Guillaume Le Quintrec et al., Histoire. Paris: Nathan, 2008.

32

Jackson J. Spielvogel, World History. Glencoe: McGraw-Hill, 2008.

33

Jeong Jae Yun, “The Korean War in European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12, No. 1, 2009, pp. 65-67.

34

Jerry H. Bentley, Herbert F. Ziegler, Traditions and Encounters: A Global Perspective on the Past. Glencoe: McGraw-Hill, 2008.

35

J. Willian Vesentini, Geografia série brasil. Sao Paulo: Editora Atica, 2006.

36

Karin Laschewski-Müller, Kursbuch Geschichte-Neubearbeitung. Von der Antike bis zur Gegenwart. Berlin: Cornelsen, 2009.

37

Marialba Pastor, Historia Universal Contemporánea. Mexico D. F.: Santillana, 2008.

38

Paul Guinness, Globalisation. London: Hodder Murray, 2003.

39

Simon Ross et al., Essential AS Geography. Cheltenham: Nelson Thornes, 2000.

40

Susan Ramirez et al., World History: Human Legacy. Austin: Holt, Rinehart and Winston, 2008.

41

В. И. Максаковский, География: Экономическая и социальная 10. Moscow: ПРОСВЕЩЕНИЕ, 2008.

42

В. П. Максаковский, ГЕОГРАФИЯ 10. Moscow: ПРОСВЕЩЕНИЕ, 2000.

43

Н. В . Загладин, 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векXX 11. Moscow: русское слово, 2005.

44

M. A. Бойцов et al., Истрия Средниx Веков 6. Moscow: русское слово, 2005.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