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釋迦如來十地修行記>제7地 <金犢太子傳>의 성립 과정에 대한 검토-운문 제시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Kŭmdok t’aejajŏn: The 7th Story of the Sŏkkayŏraesipchisuhaeng gi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3, v.36 no.2, pp.187-211
https://doi.org/10.25024/ksq.36.2.201306.187
신은경 (우석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금독태자전(金犢太子傳)>은 1328년 고려 충숙왕 때 이루어진 불교(佛敎) 서사단편(敍事短篇) 모음집 『석가여래십지수행기(釋迦如來十地修行記)』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들 중 하나이다. 『수행기』 10편의 작품 중에는 운문이 포함된 것이 몇 편 있는데, 특히 <금독태자전>에는 운문이 13편이나 삽입되어 있어 제10지 <실달태자전>과 더불어 가장 많은 운문을 지니며, 산문 다음 운문을 유도하는 제시어로서 다른 작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유시위증(有詩爲証)’이라는 독특한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리고 다른 작품들에서는 삽입된 운문에 대하여 모두 ‘게(偈)’라는 말로 지칭하는데 <금독태자전>에서는 ‘게’와 더불어 ‘시(詩)’라는 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른 이야기들과는 달리 특별히 ‘저본’이라 할 불경을 찾을 수 없다는 점, 세부적인 면까지 부연되어 있어 길이가 길고 내용도 더 세속화되어 있다는 점도 이 작품의 특징이 되고 있다. 이 글은 이 점들이 <금독태자전>의 성립 시기 및 성립 과정, 작자, 『수행기』로의 편입 시기, 유통 양상 등을 말해주는 단서가 된다고 보아 이를 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는 ‘유시위증’이라는 운문 제시어가 중국의 송(宋)·원대(元代) 강창예술에서 흔히 사용되었던 문구라는 점을 단서로 하여 두 가지 가설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송대의 ‘화본(話本)’을 ‘유시위증’의 원천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대의 ‘평화(平話)’를 그 원천으로 보는 것이다.

keywords
석가여래십지수행기, 「금독태자전」, 산·운 혼합담론, 강창예술, 운문 제시어, 유시위증, 화본, 평화, Sŏkkayŏrae sipchisuhaeng gi, Kŭmdok t’aejajŏn, mixed discourse of prose and verse, prosimetric art, verse‒introducing word, yusi wijŭng, hwabon, p’yŏnghwa


참고문헌

1

민관동, 『中國古典小說史料叢考』 韓國篇. 아세아문화사, 2001.

2

민영규, 「朴通事著作年代」. 『東洋史學』 제9·10집, 1966, 5‒9쪽.

3

박병동, 『불경 전래설화의 소설적 변모 양상』. 역락, 2003.

4

사재동, 「佛敎系 敍事文學의 연구‒ 『釋迦如來十地修行記』를 중심으로」. 『어문연구』제12집, 1983, 137‒198쪽.

5

사재동, 『불교계 국문소설의 연구』. 중앙문화사, 1994.

6

신은경, 「散韻 혼합담론의 유형과 양상: 『秋齋紀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38집, 2008, 295‒319쪽.

7

신은경, 「동아시아 散韻 혼합담론의 始原으로서의 『春秋左氏傳』에 관한 연구」. 『東洋學』 제47집, 2010, 1‒26쪽.

8

王霞·柳在元·崔宰榮 譯註, 『譯註 朴通事諺解』. 학고방, 2012.

9

유탁일, 「15·6세기 중국소설의 韓國傳入과 受容」. 『어문교육논집』 제10집, 부산대국어과, 1988.

10

이강옥, 「불경계 설화의 소설화 과정에 대한 고찰」. 『고전문학연구』 제4집, 1988, 137‒171쪽.

11

이육화, 「飜譯 및 註釋: 朴通事新註新譯(一)」. 『중국학논총』 제33집, 2011, 173‒203쪽.

12

장춘석, 「中國 古代 白話小說의 韻·散 전환 표기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제54호, 2009.

13

정광, 『譯註 原本 老乞大』. 박문사, 2010.

14

정원기 역주, 『三國志平話』. 청양, 2000.

15

太田辰夫, 『西遊記の硏究』. 東京: 硏文出版社, 1984.

16

胡士榮, 『話本小說槪論』. 臺北: 丹靑圖書有限公司, 1983.

17

洪楩, 『淸平山堂話本』. 臺北: 世界書局, 1982.

18

楊家駱 編, 『敦煌變文』 下. 臺灣: 世界書局, 1980.

19

楊家駱 主編, 『京本通俗小說』. 臺北: 世界書局, 1980.

20

王重民, 「敦煌變文硏究」. 周紹良·白話文 編, 『敦煌變文論文錄』 上, 臺北: 明文書局, 1985, 273‒325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