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십이지(十二支)의 상호작용 관계로서 충(衝)·형(刑)에 관한 근원 고찰

A Fundamental Study on Chung and Hyeong as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of the 12 Earth’s Branche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3, v.36 no.3, pp.134-164
https://doi.org/10.25024/ksq.36.3.201309.134
김만태 (동방대학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십이지의 상호작용 관계와 이를 둘러싼 길흉 관념은 오래전부터 한·중·일 등 동아시아 문화권의 전통적 사유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민속신앙과 술수문화에 영향을 미쳐오고 있다. 십이지는 각기 독자적으로 고립해서 존재하기보다는 대대(待對)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더 보편적이다. 그 일환으로 지지의 충(衝)·형(刑)·원진(怨嗔) 등이 있다. 지지의 합(合)과 충은 이를 구성하는 지지(地支)들이 서로 화합하거나 충돌하여 그것들의 특성이나 작용이 변화하는 가능성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회남자(淮南子)』 「시칙훈(時則訓)」에서는 시령적(時令的) 사유와 관련하여 지지 상충(相衝)을 육합(六合)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육충화기론(六沖化氣論)과도 연관된다. 충은 음양이 조화되지 않고, 金과 木, 水와 火처럼 방위상 서로 대립하며 기질이 상반되는 오행끼리 정면으로 충돌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이다. 辰戌丑未 사고지(四庫支)의 경우 충이 되어야만 과연 그 안에 저장된 천간(天干)을 꺼내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두고 아직 정설이 없으나 『적천수(滴天髓)』에서 상호 모순된 견해를 제시한 것이 논란의 발단이다. 원진(怨嗔)은 충하는 지지의 전후(前後) 바로 다음 지지이다. 그래서 원진은 서로 싸우고 나서 곧바로 만나는 것이므로 그 앙금이 많이 남아 서로 원망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원진은 나(我支)와 충이 되는 지지와 삼합(三合)이 되는 지지 사이에 위치하기에 충돌과 화합 사이에서 갈등하는 의미도 갖는다. 형살(刑殺)을 의미하는 형(刑)은 지지 삼합이 서로 생조(生助)하는 지지 방합(方合)과 만나 그 기세가 지나치게 강해져서 오히려 꺾이는 게(太剛則折) 자연의 이치라는 뜻에서 생긴다. 스스로 기운이 너무 넘치면 오히려 절도와 중화를 잃고서 형이 되므로 자화자초(自禍自招)의 의미를 나타낸다.

keywords
Jiji, 12 Earth’s Branches, Samhyeong, Wonjinsal, Saju, the Science of Ming‒Li, 지지, 십이지, 삼형, 원진살, 사주, 명리학


참고문헌

1

『懶齋集』

2

『東文選』

3

『三命通會』

4

『世祖實錄』

5

『呂氏春秋』

6

『五行大義』

7

『莊子』

8

『中宗實錄』

9

『黃帝內經素問』

10

『淮南子』.

11

權依經·李民聽 편저, 김은하·권영규 공역, 『오운육기학 해설』. 법인문화사, 2000.

12

김만태,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3

유혜자,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십이지에 대한 근원적 고찰」. 『민족문화연구』제54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a, 259‒302쪽.

14

유혜자, 『한국 사주명리 연구』. 민속원, 2011b.

15

유혜자, 「조선조 命課學 試取書 『徐子平』에 관한 연구」. 『藏書閣』 제28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a, 266‒293쪽.

16

유혜자, 「地支의 상호 변화작용 관계로서 地支合 연구」. 『철학논집』 제31집,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b, 205‒241쪽.

17

유혜자, 「天干의 상호 변화작용 관계로서 天干合 연구」. 『철학논집』 제30집,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c, 97‒128쪽.

18

김재일, 『우리 민속 아흔아홉 마당 2』. 한림미디어, 1997.

19

김태완·권용채, 「갑골문에 보이는 십이지지와 열두 띠」. 『동북아문화연구』 제25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459‒478쪽.

20

김혁제·한중수, 『唐四柱要覽』. 명문당, 1991.

21

김혜경, 「음양오행과 십간십이지의 원류와 연원에 대한 고찰: 고대 중국 문화집단과 신화를 통해서」. 『일본문화연구』 제42집, 동아시아일본학회, 2012, 135‒157쪽.

22

소재학, 「오행과 십간십이지 이론 성립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3

손경수, 「한국을 중심한 십이지생초에 대한 소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2.

24

신육천, 『사주감정법비결집』. 갑을당, 2002.

25

오강남, 『장자』. 현암사, 2003.

26

유기천, 『인간의 점성학 (Ⅰ)』. 정신세계사, 2002.

27

유안 편저, 안길환 편역, 『淮南子 (上)』. 명문당, 2001.

28

윤창렬, 「간지와 운기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29

유혜자, 「십간과 십이지에 대한 고찰」. 『한의학 논문집』 제4권 제2호,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 1996, 1‒19쪽.

30

이능화 지음, 김상억 옮김, 『朝鮮女俗考』. 동문선, 1990.

31

이명희, 「갑골문에 나타난 간지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32

이석명, 「회남자의 時令사상과 음양오행론」. 『대동문화연구』 제70집,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133‒159쪽.

33

이용준, 「사주학의 역사와 격국용신론의 변천과정 연구」.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4

이종환, 『누구나 주어진 띠 열두 동물이야기』. 신양사, 1989.

35

이찬욱, 『한국의 띠文化』. 황금시대, 1999.

36

이필영, 『한국민속신앙사전(무속신앙 1)』. 국립민속박물관, 2009, ‘살(煞)’ 항목.

37

조규문, 「십간십이지의 명리적 이해」.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8

조성우·한중수, 『易學大辭典』. 명문당, 1994.

39

鍾義明 지음, 韓中敎育文化硏究院 편역, 『四柱와 韓醫學』. 여강출판사, 1995.

40

천진기, 「한국 띠동물의 상징체계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41

徐升, 『淵海子平評註』.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1996.

42

沈孝瞻 지음, 徐樂吾 평주, 『子平眞詮評註』.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1999.

43

袁樹珊, 『命理探原』.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1996.

44

劉伯溫 지음, 任鐵樵 증주, 袁樹珊 찬집, 『滴天髓闡微』.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1997.

45

陳素庵 지음, 韋千里 선집, 『命理約言』. 香港: 上海印書館, 1987.

46

Tamsyn Barton, Ancient Astrology. London, New York: Routledge, 1994.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