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nd the Ceremony for the Spirits of the Terrain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3, v.36 no.3, pp.194-222
https://doi.org/10.25024/ksq.36.3.201309.194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지진구(地鎭具)는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낼 때, 또는 농경지나 무덤 등을 만들 때 땅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묻는 의례용 유물이다. 이러한 지진구에 대하여 그동안 몇몇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 특정 지역이나 특정 시기에 한정되었으며, 지진구로 사용된 유물의 변화 양상이나 매납방법·내용물의 변화 등에 대한 단편적인 지진구 자료 그 자체에 대한 검토가 대부분이었다. 최근 건물지 발굴조사의 증가로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시기의 건축물과 관련된 고고학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지진유구 및 지진구 자료도 증가하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구의 기종, 매납 위치 및 매납방법 등의 변화를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되었으며, 거기에 반영된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건축과정에서 행해졌던 의례에 담긴 관념과 사상 등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지진구 매납의 본래 목적과 의미라 할 수 있는 의례적 관점에 주안을 두고, 여러 건축과정에서 이루어졌던 지진의례의 의미·내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keywords
Jijingu: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the cere‒mony for the spirits of the terrain, ceremony for constructio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지진구, 지진의례, 건축의례, 음양오행설


Reference

1

『高麗史』.

2

『備邊司謄錄』.

3

『三國史記』.

4

『三國遺事』.

5

『承政院日記』.

6

『朝鮮王朝實錄』.

7

柳重臨, 『增補山林經濟』.

8

柳僖, 『物名攷』.

9

崔永年, 『海東竹枝』.

10

許浚, 『東醫寶鑑』.

11

王欽若·楊億, 『冊府元龜』.

12

李時珍, 『本草綱目』.

13

강영환, 『집의 사회사』. 웅진출판, 1992.

14

慶南考古學硏究所, 『泗川 梨琴洞 遺蹟』. 2003.

15

권오영,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 풍남토성 경당지구 206호 유구의 성격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1권 2호, 역사문화학회, 2008, 211‒241쪽.

16

권종남, 「성조가에 나타난 전통주택건축의 내용에 관한 고찰」.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17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1991年度 新羅王京遺蹟 發掘調査」. 『年報』 2호, 1992.

18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부지내 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박물관 학술조사보고 제15책, 2002.

19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의 가정신앙: 경기도 편』. 2005.

20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의 가정신앙: 강원도 편』. 2006a.

21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의 가정신앙: 충청남도 편』. 2006b.

22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의 가정신앙: 충청북도 편』. 2006c.

23

國立文化財硏究所, 『江華 高麗王陵』. 2007a.

24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의 가정신앙: 경상남도 편』. 2007b.

25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의 가정신앙: 경상북도 편』. 2007c.

26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의 가정신앙: 제주도 편』. 2007d.

27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2011.

28

국립부여박물관, 『부여구룡우회도로 사업구간 내 부여 논치 제사유적』. 국립부여박물관 유적조사 보고서 제12책, 2007.

29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겨레와 함께한 쌀 –도작문화 3000년‒』. 2000.

30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 2호선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11.

31

김곤, 「全州地域 裨補風水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2

김길식, 「지진구(地鎭具)와 국토개발」. 『龍仁春秋』, 2012. 5.

33

김명자, 「경기 지역의 터주신앙」. 『역사민속학』 9, 한국역사민속학회, 1999, 169‒190쪽.

34

김성배, 「한국성조가의 연구」. 『동국대학교 논문집』 제13집, 1974, 49‒81쪽.

35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도서출판동녘, 2009.

36

김의숙, 「비보풍수 연구」.『강원민속학』 17, 강원도민속학회, 2003.

37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慶州 皇南洞 第98號古墳(南墳)發掘略報告』. 1976.

38

文化財管理局文化財硏究所, 『皇南大塚(南墳)』. 1994.

39

민덕식, 「發掘調査된 祭祀用 模造馬에 대한 分析」. 『사학연구』 제66호, 한국사학회, 2002, 1‒48쪽.

40

민덕식, 「發掘調査資料로 본 百濟時代의 祭祀遺蹟」. 『사학연구』 제71호, 한국사학회, 2003, 1‒76쪽.

41

박경안, 「고려시대 토지에 대한 다양한 해석 ‒ 토지관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75,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1, 5‒38쪽.

42

백종오, 「韓國古代瓦當의 毁棄樣相 檢討」. 『한국사학보』 제43호, 고려사학회, 2011, 7‒36쪽.

43

서유구 저, 안대희역, 『산수간에 집을 짓고』. 돌베개, 2006.

44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1993.

45

A. 반 겐넵 저, 전경수 역, 『통과의례 ‒ 태어나면서부터 죽은 후까지』. 을유문화사, 1985.

46

유혜선, 「3. 유개합 내부 잔류물질 분석」. 慶州 皇南洞 大形建物址 ‒皇南洞 123‒2 番地 遺蹟‒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술연구총서 53, 2009, 81‒85쪽.

47

윤원태, 『한국의 전통 초가』. 재원, 1998.

48

윤태중, 「風水地理學의 穴의 四象에 관한 硏究」.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9

李相吉, 「靑銅器時代 儀禮에 관한 考古學的 硏究」.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a.

50

李相吉, 「靑銅器 埋納의 性格과 意味: 馬山 加浦洞遺蹟 報告를 겸하여」. 『한국고고학보』 42호, 2000b, 23‒55쪽.

51

이영진, 「주거민속을 통해 본 주거공간의 영역화」. 『비교민속학』 제32집, 비교민속학회, 2006, 73‒87쪽.

52

李尹慧, 「한반도 중남부 지역 출토 儀禮用 模造馬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仁荷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11.

53

李應熙·李重雨, 「東洋思想의 中心性을 통하여 본 傳統住居의 마당空間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지』 79, 대한건축학회, 1995, 59‒71쪽.

54

忠南大學校博物館, 『大田上書洞遺蹟』, 忠南大學校 博物館叢書 第29輯, 2006.

55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56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98.

57

하승철, 「Ⅳ. 고찰」. 『거제 장목 고분』,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06.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