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Crown Prince Jangheon’s Original Manuscripts in the Jangseogak Archiv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3, v.36 no.4, pp.260-309
https://doi.org/10.25024/ksq.36.4.201312.260
Wanwoo YI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장서각에 전하는 莊獻世子(1735‑1762)의 예필진적 12점은 1756년, 1757년, 1758년, 1761년의 필적이다. 이들은 대부분 정조 때 헌납을 통해 궁중에 수집되었고, 그중 9점은 1799년 정조가 편집을 마친 장헌세자의 시문집 『凌虛關漫稿』(1814년 간행)에 수록되었다. 먼저, 貞聖王后(1692‑1757) 묘지문의 초고인 1757년 3월경의 <弘陵誌文草>가 주목된다. 왜냐하면 『영조실록』에서 영조의 어제라 했으나 뒤의 『능허관만고』에 장헌세자의 글로 실렸기 때문이다. 이 초고가 홍릉지문을 장헌세자 예제로 인식하는 근거가 된 듯하다. 또 1756년 시고 4점 중 오언절구 시고는 시문집의 1753년 부분에, 1758년 시고 2점은 시문집의 1756년 부분에 실려 있어 시문집 편집상의 착오도 알려준다. 다음, 1761년 4월 平壤密行 때의 5점 중 李大心에게 써준 것으로 말미에 睿押이 있는 2점도 주목된다. 하나는 이대심이 宣祖의 후예로 花義君의 손자임을 밝힌 특이한 형식의 令旨이며, 다른 하나는 이대심의 答札 뒤에 남긴 跋文으로 평양에 간 목적을 밝혔다. 또 徐必榮의 자손에게 잡역을 면제시키라는 分付도 수행자가 押字를 한 드문 예이다. 이들 3점은 세자가 직접 필사하고 자신/수행자의 압자를 남긴 희귀한 문서라는 점에서 앞으로 古文書學 분야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이밖에 『능허관만고』에 실린 9점 시문을 보면 原蹟을 너무 수정하거나 개작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현상은 장서각 외 예필 문고에도 나타난다. 이같은 정조의 편집방식은 선친에 대한 애틋한 정성에서 나왔겠지만, 시문학에 대한 經世的 시각도 작용되었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이 장서각의 장헌세자 예필진적은 보기 드문 서예사료이며 정조의 예제예필 수집과 시문집 편집방식도 살필 수 있다. 특히 『능허관만고』에 실린 예제 시문의 사료적 신빙성에 관해 시사하는 바 많다.

keywords
장헌세자(莊獻世子), 사도세자(思悼世子), 예제예필(睿製睿筆), 능허관만고(凌虛關漫稿), 장서각(藏書閣), Crown Prince Jangheon, Crown Prince Sado, literary works and calligraphies of a crown prince, Neungheogwan‑mango, Jangseogak Archives


Reference

1

『英祖實錄』

2

『正祖實錄』

3

『純祖實錄』

4

『高宗實錄』

5

『承政院日記』

6

『國朝寶鑑』

7

『睿製時敏堂草本』, 2권 1책, 필사본, 장서각 K4‑6934.

8

『凌虛關漫稿』, 7권 3책, 1814년 간행, 整理字本, 장서각 K4‑430.

9

『璿源錄』, 50권 51책, 1681년 宗簿寺 編, 필사본, 장서각 K2‑1047.

10

『璿源系譜記略』 5권 4책, 1719년 跋, 목판본, 藏書閣 K2‑974.

11

http://www.history.go.kr

12

수원화성박물관 편, 『思悼世子』 사도세자 서거 250주기 추모 특별기획전. 2012.

13

이완우, 『영조어필』 수원박물관 학술총서 [3]. 수원박물관, 2012.

14

藏書閣 편, 『敦寧譜牒』 4책. 韓國學中央硏究院, 2006.

15

藏書閣 편, 『영조대왕』 특별기획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16

藏書閣 편, 『英祖文集補遺』 韓國學資料叢書 26.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0.

17

藏書閣 편, 『英祖子孫資料集』 2 思悼世子, 惠嬪洪氏.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18

藏書閣 편, 『英祖子孫資料集』 3 思悼世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19

藏書閣 편, 『英祖子孫資料集』 5 世子, 翁主, 世孫, 王孫.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20

藏書閣 편, 『英祖ㆍ莊祖文集 ‑御製集慶堂編輯ㆍ凌虛關漫稿』 韓國學資料叢書 1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21

藏書閣 편, 『韓國古文書精選』 1 告身·王旨·敎旨·令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22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23

권오영, 「解題」, 『英祖·莊祖文集 ‑御製集慶堂編輯·凌虛關漫稿』 韓國學資料叢書 1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223‑244쪽.

24

박용만, 「사도세자의 삶의 궤적과 한시(漢詩)」, 『英祖子孫資料集』 5(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152‑158쪽.

25

이완우, 「세손 이산(李祘)의 예필 서풍」. 『正祖御筆帖』 ‑壬辰睿札과 己未御札‑,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37‑64쪽.

26

정병설, 「사도세자가 명해서 만든 화첩 『中國小說繪模本』」. 『문헌과 해석』 통권 47호, 문헌과 해석사, 2009 여름, 126‑135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