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Tasks on the Names of Korean Dish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4, v.37 no.4, pp.41-70
https://doi.org/10.25024/ksq.37.4.201412.41
Jiyoung Le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research on the names of Korean dishes as the names of a thing has an aim to investigate the names of Korean dishes and trace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m. In this respect,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documents and books including the Korean dishes is the most important task. So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one part is to review the existing research trend on the Korean dishes of folk and the Korean dishes of the Joseon Dynasty. The other part is to present the research tasks on the Korean dishes to be solved in Korean studies: First, the basic research on the documents and books is more required. Second, the full list on the names of Korean dishes should be made by the exhaustive investigation on all the documents and books. Third, it’s necessary to research the documents and books on the Korean dishes comparatively to find out the relation of them. Four, the research on the names of Korean dishes should be extended to the research of Korean food culture.

keywords
음식명, 물명, 민간음식, 궁중음식, 조리서, 의궤, 발기, 등록, the names of Korean dishes, the names of a thing, the Korean dishes of folk, the Korean dishes of the Joseon Dynasty. Recipe Books, Euigwe, Balgi, Deungrok


Reference

1

권선영, 「1910년대 청주지역의 식문화: 반찬등속 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9.

2

권순형, 「 증보산림경제 의 식초(食醋) 조리 가공에 관한 연구」.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16‒6,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6, 731‒739쪽.

3

김귀영·남궁석·이성우, 「「飮食冊」의 調理에 관한 分析的 考察」.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2‒2, 東아시아食生活學會, 1992, 251‒262쪽.

4

김귀영·이성우, 「「飮食譜」의 調理에 관한 分析的 考察」.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3‒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8a, 135‒142쪽.

5

김귀영·이성우, 「「蘊酒法」의 調理에 관한 分析的 考察」.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3‒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8b, 143‒151쪽.

6

김상보, 「17, 18세기 조선왕조 궁중연향 음식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1, 민속원, 2003.

7

김상보, 「19세기 조선왕조 궁중연향 음식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2, 민속원, 2005.

8

김상보, 「20세기 조선왕조 궁중연향 음식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3, 민속원, 2007.

9

김성미·이성우, 「「李氏음식법」의 조리에 관한 분석적 고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5‒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0a, 193‒205쪽.

10

김성미·이성우, 「「주방(酒方)」의 조리가공에 관한 분석적 고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5‒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0b, 415‒423쪽.

11

김성미·이성우, 「 曆雜錄 의 조리가공에 대한 분석적 고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3‒1,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3, 11‒17쪽.

12

김성미·이춘자, 「 증보산림경제 의 장류(醬類) 조리 가공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3,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4, 175‒186쪽.

13

김업식·한명주,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에 수록된 부식류의 조리법에 관한 고찰(1) ‒탕(국), 창국, 지짐이, 찌개, 찜, 조림, 초, 백숙, 회, 편육‒」.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23‒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8, 427‒437쪽.

14

김은미·조신호·정낙원·최영진·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17세기이전 주식류의 문헌적 고찰」. 한국조리과학회지 22‒3,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6, 314‒336쪽.

15

김종수·김은희·이재옥·김은자·석현주·송상혁·이정희·조경아 譯, 국역헌종무신진찬의궤 1. 민속원, 2004.

16

김종수·김은희·최미라·박혜령·김은자·이재옥·조경아·송상혁 譯, 국역헌종무신진찬의궤 2. 민속원, 2005.

17

김종수·박혜령·최미라·임니나·김은희·이재옥·조경아 譯,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3. 민속원, 2007.

18

김현숙·이효지, 「「임원십육지」 정조지의 조리학적 고찰(Ⅰ): 밥·죽·면·만두를 중심으로」. 韓國生活科學硏究 24, 한양대학교, 2004, 59‒83쪽.

19

김현숙·이효지, 「「임원십육지」 정조지의 조리학적 고찰(Ⅱ): 활팽지류의 부식류 중 습열 조리를 중심으로」. 韓國生活科學硏究 25, 한양대학교, 2005, 41‒50쪽.

20

남길임·송현주,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음식 용어 의미 주석을 위한 연구 ‒ 음식디미방 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 26, 한국어의미학회, 2008, 47‒72쪽.

21

박미자, 「「음식법(饌法)」의 조리학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4‒2, 대한가정학회, 1996, 283‒302쪽.

22

박소동 譯, 국역 진연의궤(고종 임인년) 1. 민족문화추진회(한국고전번역원), 2005.

23

박소동 譯, 국역 진연의궤(고종 임인년) 2. 민족문화추진회(한국고전번역원), 2008.

24

박용식, 「경상대학교 소장 궁중 음식 발기(件記)에 대하여」. 인문학자가 차린조선왕실의 식탁 (한식세계화를 위한 조선왕조궁중음식고문헌 심포지엄 발표자료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연구소, 2012, 61‒84쪽.

25

박용식·정재영·김성주, 「경상대학교 소장 고종·명성황후 상식·다례발기에 대하여」. 배달말 51, 배달말학회, 2012, 161‒187쪽.

26

백두현, 「 음식디미방 [閨壼是議方]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연구」. 영남학 창간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1, 249‒280쪽.

27

백두현, 「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전통 음식 조리법의 비교 –상화법‒」. 맛얼 2‒1, 한국식품연구원, 2009a, 51‒57쪽.

28

백두현, 「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전통 음식 조리법의 비교 –만두법‒」. 맛얼 2‒2, 한국식품연구원, 2009b, 38‒49쪽.

29

백두현, 「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전통 음식 조리법의 비교 –떡볶이‒」. 맛얼 2‒3, 한국식품연구원, 2009c, 69‒76쪽.

30

백두현, 「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전통 음식 조리법의 비교 –스면[粉湯]‒」. 맛얼 2‒4, 한국식품연구원, 2009d, 41‒47쪽.

31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에 나타난 조리법의 비교 ‒장 담는 법‒」. 맛얼 3‒1, 한국식품연구원, 2010a, 40‒54쪽.

32

백두현, 「한글 음식 조리서로 본 전통음식 조리법의 비교 –냉면‒」. 맛얼 3‒2, 한국식품연구원, 2010b, 43‒160쪽.

33

백두현,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전통음식 조리법의 비교 –부의주(동동주)‒」. 맛얼 3‒3, 한국식품연구원, 2010c, 246‒257쪽.

34

백두현,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전통음식 조리법의 비교 –고추장법‒」. 맛얼 3‒4, 한국식품연구원, 2010d, 378‒394쪽.

35

백두현,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전통 떡 만드는 법 –증편(기주떡)‒」. 맛얼 4‒3, 한국식품연구원, 2011a, 257‒277쪽.

36

백두현,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감향주(甘香酒)법 비교」. 맛얼 4‒4, 한국식품연구원, 2011b, 373‒396쪽.

37

백두현, 「한글 음식조리서로 본 게 조리법 비교」. 맛얼 5‒1, 한국식품연구원, 백두현, 28‒46쪽.

38

백두현, 「한글조리서: 전통 음식 문화를 담은 우리말의 보물 창고」. 새국어생활 24‒1, 국립국어원, 2014, 19‒38쪽.

39

백두현·송지혜, 「안동부(安東府) 향리 문서 승부리안 (陞付吏案)의 주방문(酒方文) 주해」. 어문론총 57, 한국문학언어학회, 2012a, 513‒540쪽.

40

백두현·송지혜, 「19세기 초기 安東府의 陞付吏案 酒方文 연구」. 영남학 22,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b, 211‒242쪽.

41

백두현·이미향, 「필사본 한글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오기(誤記)의 유형과 발생원인」. 語文學 107, 한국어문학회, 2010, 25‒63쪽.

42

백두현 註, 음식디미방 주해 . 글누림, 2006.

43

백두현 註, 주방문·정일당잡지 주해 . 글누림, 2013.

44

백승호·부유섭·장유승 譯, 소문사설, 조선의 실용지식 연구노트 . 휴머니스트, 2011.

45

복혜자·안선정, 「듀식방(고려대 규곤요람) 고조리서의 분석적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2‒5,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7, 556‒574쪽.

46

송방송·고방자 譯, 국역 영조조갑자진연의궤 . 민속원, 1998.

47

송방송·박정련·고방자·황현주·김명주·정현·최령·최문석·박혜정·김창욱·무이스님 譯, (국역) 숙종조기해진연의궤(肅宗朝己亥進宴儀軌)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민속원, 2001.

48

송방송·김종수 譯,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1. 민속원, 2007a.

49

송방송·이정희·김은자 譯,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2. 민속원, 2007b.

50

송방송·송상혁·이재옥·조경아 譯,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3. 민속원, 2007c.

51

신하영, 「신활자본 음식조리서의 음운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2

신하영, 「 시의전서 와 반찬등속 의 국어학적 연구」. 어문학 117, 2012, 101‒127쪽.

53

안주현, 「전통 음식 조리서의 핵심어 연구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35,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3, 145‒174쪽.

54

안준호·김은선 譯, 조선 사대부가의 상차림 . 대전역사박물관, 2012.

55

오순덕,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다식류(茶食類)의 문헌적 고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27‒3, 2012, 316‒323쪽.

56

오순덕,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만두류(饅頭類)의 문헌적 고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29‒2, 2014, 129‒139쪽.

57

오창명, 「조선시대 고유 음식 어휘 ‒의궤(儀軌)의 차자표기(借字表記)를 중심으로‒」.한국언어문학회 제50차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언어문학회, 2009, 117‒150쪽.

58

옥영정, 「한글의궤에 나타난 음식기록 ‒ 뎡니의궤 를 중심으로‒」. 인문학자가차린 조선왕실의 식탁 (한식세계화를 위한 조선왕조궁중음식고문헌 심포지엄 발표자료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연구소, 2012, 17‒29쪽.

59

옥영정, 「버클리대학 동아시아도서관 소장 酒政(주정) 과 그 기록」. 조선백성의 밥상 , 한식재단, 2014, 239‒249쪽.

60

윤서석, 한국의 음식 용어 . 민음사, 1991.

61

윤서석·이효지, 「朝鮮時代 宮中宴會飮食中 菓飣類의 分析的 硏究」.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1‒3,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6a, 197‒210쪽.

62

윤서석·이효지, 「朝鮮時代 宮中宴會飮食中 餠餌類의 分析的 硏究」.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1‒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6b, 321‒333쪽.

63

윤서석·조후종,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 I」.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8‒1,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3a, 79‒84쪽.

64

윤서석·조후종,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 의 해설 II」.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8‒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3b, 159‒165쪽.

65

윤서석·조후종,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 의 해설 III」.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8‒3,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3c, 301‒308쪽.

66

윤서석·조후종·윤덕인·임희수 譯, 음식법 . 아쉐뜨아인스미디어, 2008.

67

윤숙경, 「需雲雜方에 對한 小考」. 安東文化 7, 安東大學府設 安東文化硏究所, 1986, 93‒116쪽.

68

윤숙경 譯, 需雲雜方·酒饌 . 신광출판사, 1998.

69

이강자, 「 간편조선요리제법 의 분석적 연구: 主食, 饌物類」.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9‒4,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9, 409‒420쪽.

70

이강자, 「 간편조선요리제법 의 분석적 연구: 발효식품, 떡, 한과, 음청류」.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1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0, 465‒479쪽.

71

이강자·김을상·김성미·이영남·한복려·이영근·박혜원·이춘자·한복진·허채옥·김귀영·이미숙·김복남·안빈 譯, 增補 山林經濟 . 신광출판사, 2003.

72

이광호, 「음식디미방의 분류 체계와 어휘 특성」. 문학과 언어 22, 문학과 언어학회, 2000, 1‒26쪽.

73

이기문, 「빈대떡과 변씨만두」. 새국어생활 17‒2, 국립국어원, 2007.

74

이선영, 「 음식디미방 과 주방문 의 어휘 연구」. 어문학 84, 어문학회, 2004, 123‒150쪽.

75

이성우, 食生活史 文獻 硏究: 韓國食經大典 . 향문사, 1981.

76

이성우, 朝鮮時代 調理書의 分析的 硏究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77

이성우, 「朝鮮王朝 宮中食에 관한 文獻學的 硏究」.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6, 7‒29쪽.

78

이성우, 「朝鮮朝의 宮中飮食件記에 관한 考察」.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3‒1,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8, 22‒49쪽.

79

이성우·김귀영, 「 酒方文 의 調理에 關한 分析的 硏究」.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1‒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6, 335‒349쪽.

80

이성우 編, 韓國古食文獻集成 1‒7. 수학사, 1992.

81

이소영·한복려, 「「내외진연등록(內外進宴謄錄)」을 통해 본 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고찰 –1902년 중화전 외진연(外進宴) 대전과 황태자의 상차림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7‒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 128‒141쪽.

82

이의강 譯,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 보고사, 2006.

83

이지영, 「 동아일보 (1920‒1945) 기사에 나타난 한식의 고찰」. 제7회 세계한국학대회 발표문, 2014.

84

이화숙, 「《경뎐진쟉졍례의궤》의 어휘와 번역 양상」. 국어교육연구 44, 국어교육학회, 2009a, 321‒352쪽.

85

이화숙, 조선시대 한글 의궤의 국어학적 연구:《자경뎐진쟉졍례의궤》와《뎡니의궤》를 중심으로 .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b.

86

이화숙, 「한글본 의궤의 어휘적 특징 ‒《뎡니의궤》와《경뎐진쟉졍례의궤》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56, 언어과학회, 2011, 159‒178쪽.

87

이효지, 「「閨壼是議方」의 調理學的 考察」. 대한가정학회지 19‒2, 대한가정학회, 1981a, 189‒198쪽.

88

이효지, 「「是議全書」의 調理學的 考察」. 대한가정학회지 19‒3, 대한가정학회, 1981b, 47‒61쪽.

89

이효지, 「閨壺要覽의 調理學的 考察」. 韓國生活科學硏究 1,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83a, 127‒134쪽.

90

이효지, 「曆酒方文의 調理學的 考察」. 韓國生活科學硏究 1,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83b, 171‒179쪽.

91

이효지, 「要錄의 調理學的 考察」. 韓國生活科學硏究 2,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84a, 73‒83쪽.

92

이효지, 「謏聞事說(食治方)의 調理學的 考察」. 韓國生活科學硏究 2, 漢陽大學校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84b, 85‒92쪽.

93

이효지, 朝鮮王朝 宮中宴會飮食의 分析的 硏究 . 수학사, 1985.

94

이효지·윤서석, 「朝鮮王朝後期의 宮中宴會飮食의 分析的 考察」. 대한가정학회지 23‒4, 대한가정학회, 1985, 79‒100쪽.

95

이효지·윤서석, 「朝鮮時代 朝鮮時代 饌物類의 分析的 硏究」.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1‒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6, 101‒115쪽.

96

이효지·조신호·정낙원·김현숙·유애령·최영진·김은미·백숙은·원선임·김상연·차경희·백현남 譯, 是議全書 . 신광출판사, 2004.

97

이효지·조신호·정낙원·차경희 譯, 林園十六志 鼎俎志 . 교문사, 2007.

98

이효지·차경희, 「「夫人必知」의 조리과학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3,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6, 369‒384쪽.

99

이효지·한복려·정길자 譯,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조대비 만경전 팔순잔치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100

이효지·한복려·정길자·조신호·정낙원·김현숙·최영민·김은미·원선임·차경희 譯, 夫人必知 . 교문사, 2010.

101

이효지·한복려·정길자·조신호·정낙원·김현숙·최영진·유애령·김은미·원선임·차경희 譯, 酒方文 . 교문사, 2013.

102

장철수·정승모·정해은·조병로·최진옥·권진숙·김남일·김동주·김상보·박경하·신명호·오환일·임민혁 譯, 역주 원행을묘정리의궤 . 수원시, 1996.

103

전정일·이혜정·이성우, 「「酒饌」 속의 민자 醱酵酒에 關한 考察」.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2,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1, 133‒149쪽.

104

전정일·이혜정·이성우, 「「酒饌」 속의 藥用藥酒에 關한 考察」.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1,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2, 1‒15쪽.

105

정양완 譯, 閨閤叢書 . 보진재, 1975. 정혜경, 「근대 한식 관련 문헌들에 대한 고찰」. 근대 한식의 풍경 , 한식재단, 2014, 186‒208쪽.

106

정혜경, 「근대 한식 관련 문헌들에 대한 고찰」. 근대 한식의 풍경 , 한식재단, 2014, 186‒208쪽.

107

주영하, 「음식생활에 대한 연구 50년」. 전통문화연구 50년 , 혜안, 2007.

108

주영하, 「궁중음식을 말해주는 고문헌 자료」. 조선 왕실의 식탁 , 한식재단, 2014a, 186‒205쪽.

109

주영하, 「조선시대 민간음식의 고문헌 자료」. 조선 백성의 밥상 , 한식재단, 2014b, 226‒238쪽.

110

차경희, 「 도문대작(屠門大嚼) 을 통해 본 조선중기 지역별 산출 식품과 향토음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3, 379‒395쪽.

111

차경희, 「 林園經濟志 속의 조선후기 飮食」. 진단학보 108, 진단학회, 2009, 167‒191쪽.

112

차경희, 「 酒食是義 에 기록된 조선후기 음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7‒6,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 553‒587쪽.

113

차경희·유애령, 「 음식방문 의 조리학적 고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30‒1,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4, 92‒108쪽.

114

천소영, 「飮食物名語 攷(1): 그 語源的 고찰을 중심으로」. 논문집 2, 수원대학교, 1984, 117‒138쪽.

115

천소영, 「飮食物名語 攷(2)」. 논문집 4, 수원대학교, 1986, 91‒109쪽.

116

하순용, 「古書에 담긴 韓國飮食에 關한 一硏究 (副題‒閨閤叢書를 中心으로)」. 논문집 2, 상명대학교, 1972, 257‒286쪽.

117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편, 인남순 譯, (국역)고종정해진찬의궤(高宗丁亥進饌儀軌) . 보고사, 2008.

118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譯, 고종신축진연의궤(高宗辛丑進宴儀軌) 1.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a.

119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譯, 고종신축진연의궤(高宗辛丑進宴儀軌) 2.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b.

120

한복려, 「 산가요록 의 분석 고찰을 통해서 본 편찬 연대와 저자」. 농업사연구 2‒1, 한국농업사학회, 2003, 13‒29쪽.

121

한복진, 조선시대 궁중의 식생활문화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22

한복진, 「근대의 조리서」. 근대한식의 풍경 , 한식재단, 2014, 87‒117쪽.

123

한복진·한복려·황혜성,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음식 백 가지 1. 현암사, 1998.

124

홍윤표, 「十八·十九世紀의 한글 類書와 實學 ‒특히 ‘物名考’類에 대하여‒」. 동양학 18‒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8, 475‒492쪽.

125

황금연, 儀軌 類의 漢字 借名 表記 硏究 .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26

황혜성 譯, 飮食知味方 . 한국인서출판사, 1980.

127

황혜성·한복려·한복진, 한국의 전통음식 . 교문사, 1991.

128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 색인 DB>(http://ffr.krm.or.kr/base/td003/intro_db.html).

129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http://www.culturecontent.com/main.do).

130

한식재단, <한식 아카이브> (http://archive.hansik.org/).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