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식물명 연구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Tasks on the Names of Plant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4, v.37 no.4, pp.71-94
https://doi.org/10.25024/ksq.37.4.201412.71
황선엽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식물명에 관한 여러 분야의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식물명의 특성과 식물명 연구 시 유의할 점 및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식물명이란 말을 생물학 쪽에서는 ‘식물명’의 개념으로 사용해왔고 국어학 쪽에서는 ‘식물물명’의 개념으로 사용해왔다. 이 글에서는 식물명을 ‘식물물명’의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식물명에 대해 연구해온 분야는 국어학·국어교육학·생물학(식물학)·생물교육학·원예학·임학·농학·한의학 등 매우 다양하다. 현대에 초점을 두는 연구들에서는 식물명의 조어방식이나 의미, 학명이나 속명 등의 유래에 대해 주로 연구하였다. 역사 쪽에 초점을 둔 연구들은 어원이나 명칭의 변천, 해당 식물에 대한 문헌 고찰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해당 식물과 그 식물의 이름을 연결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식물명은 일반 명사들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식물명은 공시적인 변이형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통시적으로도 극심한 변천을 보이는 일이 많다. 식물명을 연구할 때에는 해당 식물의 생태는 물론, 학명이나 외국어 명칭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언형과 통시적인 변화형을 모두 살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문헌 자료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식물명의 어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민간 어원이 널리 퍼져 있는데 가능한 한 이를 배제하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어원을 밝혀야 한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 사업이 완료되어 웹에서 식물에 대한 여러 명칭이 제공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점이 많으므로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충실히 보완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식물명, 어원, 방언형. 통시적 변화. 학명, plant names, etymology, dialect forms, diachronic changes, scientific names

Abstract

This paper is summarizing research status for plant names made in various fields. Also, this paper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plant names, note that when we study plant names, and challenges of the future in research of plant names. The term plant names has been used in the sense of ‘plant names’ in biology(botany), has been used in the sense of ‘plant names of objects’ in Korean linguistics. In this paper, it is used in the sense of ‘plant names of objects’ the term. Plant name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Korean linguist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biology(botany), biology Education, horticulture, forestry, agriculture, oriental medicine. The researches focusing on contemporary mainly study word formation of plant names, means of Plant names, and the origin of scientific name or generic name. The researches focusing on history mainly study the etymology of plant names, change of plant names, survey of the literature about the plant. Plant names are different with the common noun in the respect of difficulty to link the name of the plant and that plant. Also, Plant names have a very wide range of synchronic variations. And the diachronic change of plant names is very badly. In research of plant names,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ecology of that plant, scientific names and foreign language names, etc. Research is also needed on the dialect forms and diachronic chang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various literature for this purpose. For the etymology of plant names, numerous folk etymology is widespread and it can reveal the origin through an objective and scientific approach. Korean Plant Names Index become available from the web. But it should be supplemented by interdisciplinary research.

keywords
식물명, 어원, 방언형. 통시적 변화. 학명, plant names, etymology, dialect forms, diachronic changes, scientific names


참고문헌

1

강헌규, 「‘참외’의 어원」. 어원연구 2, 한국어원학회, 1999, 27‒32쪽.

2

강헌규, 「‘결초보은(結草報恩)’이란 말에 나온 풀[草] 이름의 고찰」. 한어문교육 18,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7, 5‒17쪽.

3

강헌규, 「‘보리수(菩提樹)’의 어원」. 한어문교육 19,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8, 5‒19쪽.

4

김영만·김정명, 「무궁화의 문헌 고찰」. 문화예술콘텐츠 7,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1, 30‒62쪽.

5

김완진, 「사과와 능금, 그리고 ‘멎’」. 국어학 40, 국어학회, 2002a, 3‒19쪽.

6

김완진, 「사과참외와 참죽나무」.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원, 2002b, 109‒115쪽.

7

김원표, 「벼와 쌀의 어원에 관한 고찰」. 한글 13‒2, 한글학회, 1948, 19‒23쪽.

8

김원표, 「보리의 어원과 그 유래」. 한글 14‒1, 한글학회, 1949, 31‒34쪽.

9

김현, 「고흥지역의 갯벌 생물과 채취 관련 어휘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노재민, 「현대국어 식물명의 어휘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1

대천대보, 「‘채소’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2

민경탁, 「오얏론」.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원, 2000, 171‒176쪽.

13

서은정, 「植物名에 대한 造語論的 考察: 派生法과 合成法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14

손병태, 「植物性 鄕藥名 語彙 硏究」. 한민족어문학 30, 한민족어문학회, 1996, 105‒191쪽.

15

손혜선, 「곡물명의 借字表記 고찰: <衿陽雜錄>과 <山林經濟>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6

신중진,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에 실린 <稻벼> 곡물명(穀物名)에 대한 어휘사적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52,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83‒118쪽.

17

신중진, 「곡물명 수록 어휘 자료집의 계보와 그 어휘 목록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54,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67‒95쪽.

18

신중진,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에 실린 잡곡명(雜穀名)에 대한 어휘체계사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56,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101‒134쪽.

19

심재기, 「우리말 語源 5: 무궁화(無窮花) 의 내력」. 한글한자문화 7, 전국한자교육 추진총연합회, 1999, 31‒34쪽.

20

양인내, 「동·식물명 접두파생어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1

여찬영, 「식물 명칭어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7,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1, 11‒33쪽.

22

여찬영, 「우리말 식물 명칭어의 짜임새 연구」. 우리말글 15, 우리말글학회, 1997, 105‒131쪽.

23

여찬영, 「나무 명칭어 한자 자석 연구: 떡갈나무류를 중심으로」. 어문학 74, 한국어문학회, 2001, 21‒43쪽.

24

여찬영, 「아가위나무류 한자 자석 연구」.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2002, 25‒46쪽.

25

오금희, 「한국어 꽃 이름의 형태·의미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6

우단이, 「한·중 꽃 이름의 형태적·의미적 대비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7

이광호, 「곡식류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어문학 109, 한국어문학회, 2010, 99‒121쪽.

28

이광호, 농서 자료에 나타난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 역락, 2013.

29

이기문, 「금양잡록의 곡명에 대하여」. 동양학 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975, 99‒110쪽.

30

이기문, 국어어휘사연구 . 동아출판사, 1991.

31

이기문, 「후추와 고추」. 새국어생활 8‒4, 국립국어원, 1998, 193‒201쪽.

32

이길재, 「“등겨”의 방언형과 그 어원: 전라방언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29, 한국어학회, 2005, 187‒209쪽.

33

이병근, 「‘질경이(車前草)’의 어휘사」. 李基文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 신구문화사, 1996[이병근(2004), 어휘사에 재수록].

34

이병근, 「‘해바라기(向日花)’의 語彙史」. 관악어문연구 2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7, 61‒73쪽[이병근(2004), 어휘사에 재수록].

35

이병근, 「‘마름’의 어휘사」. 방언학과 국어학 , 태학사, 1998[이병근(2004), 어휘사에 재수록].

36

이병근, 어휘사 . 태학사, 2004.

37

이숭녕, 「詩歌에 나타난 植物名의 語彙論的 考察」. 진단학보 29·30합집, 진단학회, 1966, 509‒518쪽.

38

이태영, 「‘, 새’의 어휘사 연구」. 국어학 36, 국어학회, 2000, 39‒63쪽.

39

임소영, 한국어 식물 이름의 연구 , 한국문화사, 1997.

40

임소영, 「꽃 이름의 생성 과정과 인지 과정」. 한국어 의미학 4, 한국어의미학회, 1999, 65‒98쪽.

41

장충덕, 「한자에서 유래한 채소명 몇 고찰」. 개신어문연구 23, 개신어문학회, 2005, 77‒97쪽.

42

장충덕, 「‘맨드라미’의 어휘사」. 새국어교육 75,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a, 423‒437쪽.

43

장충덕, 「‘엉겅퀴’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새국어교육 77,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b, 583‒600쪽.

44

장충덕, 「근대국어 식물 어휘의 조어 유형 고찰」. 언어학연구 13, 한국중원언어학회, 2008, 243‒262쪽.

45

장충덕, 「꽃 이름의 통시적 고찰」. 언어학연구 15, 한국중원언어학회, 2009, 185‒201쪽.

46

조항범, 「‘아가위’와 ‘찔레’의 어원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89, 한국언어문학회, 2014, 5‒23쪽.

47

천소영, 우리말의 문화찾기: 고유어 어원에 담긴 한국문화 . 한국문화사, 2007.

48

천정아, 「‘진달래’의 방언형과 그 어원」. 개신어문연구 35, 개신어문학회, 2012, 69‒97쪽.

49

한샘, 「상수리와 도토리의 어원」. 한글 9‒2, 한글학회, 10쪽.

50

한성우, 인천 토박이말 연구 . 인천학연구총서 9,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9.

51

한성우, 강화 토박이말 연구 . 인천학연구총서 11,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52

한진건 외, 한조식물명칭사전 . 심양: 료녕인민출판사, 1982.

53

현평효, 「濟州島方言에서의 ‘나무’(木)와 ‘나물’(菜) 語辭에 대하여」. 국어국문학논문집 7·8,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1969, 19‒35쪽.

54

홍윤표, 「‘개나리’의 어원」. 새국어소식 81, 국립국어원, 2005.

55

홍윤표, 「‘진달래’의 어원」. 쉼표 마침표 7‒2, 국립국어원, 2006.

56

황선엽, 「날로 먹는 상추」. 문헌과해석 16, 문헌과해석사, 2001, 155‒169쪽.

57

황선엽, 「금단의 꽃 양귀비」. 문헌과해석 43, 문헌과해석사, 2008, 79‒98쪽.

58

황선엽, 「강아지풀의 어휘사」. 한국어학 45, 한국어학회, 2009a, 421‒446쪽.

59

황선엽, 「명아주의 어휘사」. 국어학 55, 국어학회, 2009b, 213‒238쪽.

60

황선엽, 「고추와 후추」. 한국어학회 2010년 여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한국어학회, 2010a.

61

황선엽, 「쓸모 있는 가죽나무」.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 , 경진, 2010b.

62

栗田英二, 「‘고추’(red pepper)의 어원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18,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예술문화연구소, 1999, 253‒269쪽.

63

강병화·심상인, 우리나라 자원식물명: 남·북한의 자원식물명 비교 .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자원식물학연구실, 1997.

64

김미옥, 조선시대 지피식물에 관한 연구: 옛 그림 및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5

김상경, 「초등학교 교과서에 취급된 식물의 분류 및 인지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66

김상경·성정숙·문성기, 「초등학교 교과서에 취급된 식물명에 대한 인지도 조사」. 경성대 논문집 19‒1, 경성대학교, 1998, 207‒235쪽.

67

김정국, 「수목학명의 어원구명 및 외국명 조사(제2보)」. 한국임학회지 31‒1, 한국임학회, 1976, 53‒61쪽.

68

김종덕, 「葷菜類에 대한 文獻的 考察: 大蒜, 小蒜, 韭, 薤, 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69

김종덕, 「살구의 어원과 효능에 대한 문헌연구」. 농업사연구 7‒1, 한국농업사학회, 2007, 1‒28쪽.

70

김종덕, 「고구마의 어원(語源)과 품성(品性)에 대(對)한 문헌연구(文獻硏究)」. 농업사연구 10‒1, 한국농업사학회, 2011a, 19‒46쪽.

71

김종덕, 「옥수수[玉蜀黍]의 어원(語源)과 효능(效能)에 대(對)한 문헌연구(文獻硏究)」. 농업사연구 10‒2, 한국농업사학회, 2011b, 49‒83쪽.

72

김종덕·고병희, 「사과, 능금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1, 대한한의학회, 1998, 339‒348쪽.

73

대한한의학회, 「아욱(葵菜), 접시꽃(蜀葵), 닥풀(黃蜀葵), 해바라기(向日葵)에 대한 문헌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11‒1, 사상체질의학회, 1999a, 221‒240쪽.

74

대한한의학회, 「고추(番椒, 苦椒)의 語源연구」. 韓國醫史學會誌 12‒2, 韓國醫史學會, 1999b, 147‒167쪽.

75

대한한의학회, 「해바라기(向日葵, 向日花)의 語源에 대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7‒1, 한국한의학연구원, 2001, 55‒66쪽.

76

김준민 외, 한국의 귀화식물 . 사이언스북스, 2000.

77

김한주, 「제주도 식물의 지방명과 민간약 이용에 관한 조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8

김한주, 제주도 약용자원식물에 관한 조사 연구 .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79

김한주, 「울산소재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식물명 이용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0

김현진 외, 「재배식물명 표준화 연구」. 원예과학기술지 31‒S1, 한국원예학회, 2013, 212‒212쪽.

81

류면옥, 「고등학교 생물 1 교과서에 있는 식물명 조사」. 생물교육 26‒2, 한국생물교육학회, 1998, 125‒131쪽. 박

82

소영, 「유통식물명과 종류를 통한 한국화훼시장의 문제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3

박시화, 너도밤나무는 왜 너도밤나무일까? . 북이십일 아울북, 2010.

84

박윤점 외, 「정유 자원식물의 학명 어원 연구」. 생명자원과학연구 23,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2001, 33‒45쪽.

85

박윤점 외, 「허브식물의 종명 어원에 관한 조사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7,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4, 1‒9쪽.

86

박윤점 외, 「한국 자생 야생화의 속명 어원에 관한 연구」. 생명자원과학연구 27‒2,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2005a, 87‒97쪽.

87

박윤점 외, 「한국에 자생하는 야생화 종명의 어원」. 생명자원과학연구 27‒2,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2005b, 98‒107쪽.

88

박인환, 「韓國 自生植物名의 類型 分析」. 경북대농학지 12, 경북대학교농업과학 기술연구소, 1994, 1‒7쪽.

89

백진주 외, 「자생식물과 도입 화훼명의 어원 및 유형 비교」.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998, 104‒114쪽.

90

서병기, 「가시나무, 죽절초, 먼나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 자생식물 66, 한국자생식물보존회, 2008, 8‒10쪽.

91

서석조, 「中學校 庭園植物의 實態調査 및 中學校 敎科書의 植物名 調査」.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92

서석조·성민웅, 「중학교(中學校)정원식물(庭園植物)의 실태 및 중학교(中學校)교과서의 식물명(植物名)조사」. 생물교육 10‒1, 한국생물교육학회, 1982, 18‒30쪽.

93

서정남·김종윤·박천호, 「원예학용어 및 작물명집과 표준국어대사전의 화훼식물 일반명 간 차이」. 화훼연구 13‒3,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5, 232‒238쪽.

94

신숙자, 「初等學生의 花卉植物 認知度와 購買 行態」.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5

신연희 외, 「충청북도 남부지역의 민속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6‒1, 한국자원식물학회, 2013, 90‒102쪽.

96

안성만, 「聖書에 나타난 植物의 出現率과 形態 및 生態·意味的 特性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97

안영희·박소영·방식·강귀옥, 「국내 화훼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주요 화훼류의 식물명에 관한 연구」. 녹지환경학회지 3‒2,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7, 17‒33쪽.

98

윤희섭, 「식물명 제시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식물 인식에 미친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99

이기의·황중락·윤영활, 「조경식물명의 유래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1, 한국정원학회, 1991, 5‒29쪽.

100

이숭인, 본초학 교재에 수록된 약용식물의 種名의 어원 연구 .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01

이우철, 「南北韓의 植物記才用語 및 植物名의 比較」. 식물 분류학회지 22‒1, 한국식물분류학회, 1992, 69‒89쪽.

102

이우철, 한국식물명고 . 아카데미서적, 1996.

103

이우철, 한국 식물명의 유래 . 일조각, 2005.

104

이일병, 園藝植物의 學名과 韓國名 語源에 關한 硏究 .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05

이일병 외, 「관엽식물의 속명 유래에 관한 조사」. 화훼연구 11‒1,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3, 5‒14쪽.

106

이정애, 「중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식물명」. Viola 2,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생물연구회, 1958, 15‒18쪽.

107

이주희 외, (내 이름은)왜?: 우리 동식물 이름에 담긴 뜻과 어휘 변천사 . 자연과생태, 2011.

108

임병운, 「우리 꽃 이름 유래와 어원의 교육적 활용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9

임영득·윤희섭, 「식물명 제시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이 식물 인식에 미치는효과」. 생물교육 28‒4, 한국생물교육학회, 2000, 356‒362쪽.

110

장권렬, 「有用植物의 學名語源에 關한 統計的 考察」. 논문집 13, 경상대학교, 1974, 95‒104쪽.

111

장진성·김휘, 「韓國樹木의 學名에 대한 再考」. 韓國林學會誌 92‒1, 한국임학회, 2003, 71‒86쪽.

112

정경란, 「호초(胡椒)의 두 가지 의미, 고추와 후추」. 한국콘텐츠학회지 12‒2, 한국콘텐츠학회, 2014, 31‒43쪽.

113

정경란·장대자·양혜정·권대영, 「고추는 과연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들어왔는가?」. 식품문화 맛얼 제1권 3호, 한국식품연구원, 2008a, 5‒11쪽.

114

정경란·장대자·양혜정·권대영, 「임진왜란 때 들어왔다는 왜개자는 과연 한국 고추인가?」. 식품문화 맛얼 제1권 4호, 한국식품연구원, 2008b, 6‒16쪽.

115

정경란·장대자·양혜정·권대영, 「고추의 우리나라 전래에 대한 재고: 우리나라고유의 전통 고추가 임진왜란 훨씬 이전에 ‘고쵸’로 있었다」. 식품문화 맛얼 제2권 1호, 한국식품연구원, 2009a, 5‒31쪽.

116

정경란·장대자·양혜정·권대영, 「고추의 어원은 ‘왜개자’, ‘남만초’, ‘번초’, 그리고 ‘苦椒’도 아닌 우리말 ‘고쵸’이다」. 식품문화 맛얼 제2권 2호, 한국식품연구원, 2009b, 5‒27쪽.

117

정규영 외, 「경상북도 내륙지역의 민속식물 Ⅰ」.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5,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 465‒479쪽.

118

정규영 외, 「강원도 남부지역의 민속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4‒4,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379‒394쪽.

119

정순해, 「시중에 유통되는 식용식물의 분류」.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20

정영호, 國際植物命名規約精解 . 아카데미서적, 1986.

121

정익종, 「韓國産藥用植物의 學名語源에 關한 統計的 考察」.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122

정하나, 「實科 學習과 關聯된 植物認識度 및 植物分類體系에 관한 調査」.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3

정혜란·최경·문현식, 「울릉도지역의 민속식물」. 농업생명과학연구 46‒5,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25‒36쪽.

124

주정석, 本草學 에 수록된 약용식물의 屬名에 관한 어원 연구 .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25

천민필,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식물 및 학교식재 식물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26

최병기, 「初·中學校 自然·科學 敎科書에 取扱된 植物의 分類 및 比較 分析」.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27

최상범, 「木本 造景植物의 學名 語源에 關한 硏究」. 농림과학논문집 12, 동국대학교 농림과학연구소, 1988, 157‒188쪽.

128

최상범, 「造景植物의 學名에서 屬名의 語源 硏究」. 농림과학논문집 18, 동국대학교 농림과학연구소, 1994, 169‒199쪽.

129

한정주, 「중·고등학교 생물교과서에 기록된 식물과 교정의 식물에 대한 분류 및 비교분석」.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30

한태호, 원예식물 이름의 어원과 학명 유래집 . 전남대학교출판부, 2006.

131

허북구 외, 재미있는 우리 꽃 이름의 유래를 찾아서 . 중앙생활사, 2002a.

132

허북구 외, 「허브식물의 속명 어원에 관한 조사분석」. 화훼연구 10‒2, 한국화훼연구회, 2002b, 53‒62쪽.

133

허북구 외, (재미있는) 우리 나무 이름의 유래를 찾아서 . 중앙생활사, 2004a.

134

허북구 외, 「한국 화훼명이 외래어에서 유래된 초본화훼의 학명 어원」. 화훼연구 12‒1,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4b, 109‒116쪽.

135

허북구 외, (궁금할 때 바로 찾는)우리 나무 도감 250: 우리 나무 이름·유래편」. 중앙생활사, 2008.

136

현대해양출판국사전편찬위원회, (韓·英·日)水産動植物名辭典 . 現代海洋社, 1988.

137

황인현, 「초등교사의 수목명에 대한 인지도 조사」.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