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왕실 언간의 물명과 단위명사 연구

A Study on the Names of Things and the Measure Nouns of Royal Vernacular Letter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5, v.38 no.2, pp.62-91
https://doi.org/10.25024/ksq.38.2.201506.62
조정아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은 조선시대 왕실 언간 자료에 나타난 물명(物名)과 단위명사를 의미 부류에 따라 분류해 보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왕실 언간이라고 하는 것은 발신자나 수신자 중 어느 한쪽이 왕이나 왕비, 공주, 상궁 등 왕실의 구성원인 언간을 말하며, 사대부 언간과 대별된다. 이 글에서는 발신자나 수신자 중 어느 한쪽이 왕실의 구성원인 왕실 언간이 일반 사대부 언간과 다른 특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특성을 물명과 단위명사에서 찾아보았다. 따라서 먼저 현재 전하는 왕실 언간 자료의 성격과 연구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고, 총 429건의 왕실 언간을 대상으로 물명과 단위명사를 추출하여 의미 부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물명과 단위명사의 경향성을 통해 왕실 언간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왕실 언간의 물명은 의생활 관련 물명, 식생활 관련 물명, 주생활 관련 물명, 기타 물명으로 구분하였다. 의생활 관련 물명에는 왕실 의례용 복식명들이 나타났고, 식생활 관련 물명에서는 약명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주생활 관련 물명에는 궁궐 건물명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기타 물명에는 문구나 소설책, 생활용품 등이 나타났다. 왕실 언간에 등장하는 단위명사에는 길이를 나타내는 ‘필(疋), 통(桶)’, 부피를 나타내는 ‘셕(石), 승(升)’, 무게를 나타내는 ‘냥(兩), 근(斤)’, 묶음을 나타내는 ‘졉/뎝, 텹, 속, 급’, 개수를 나타내는 ‘ᄀᆡ(箇), ᄆᆡ(枚), 미(尾), 슈(首), 닙(立), 영(令, 領), 부(部)’가 있다. 이들 단위명사는 모두 한자어 단위명사이며, 고유어 단위명사가 주를 이루는 사대부 언간과는 구별된다. 왕실 언간에 나타나는 물명들은 의궤나 발기 등의 왕실 문헌과 복식명이나 음식명 등 물명이 나타나는 각종 고문헌 및 고문서, 고전소설, 유서 등에 나타나는 물명 등과 함께 매우 종합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더불어 사대부 언간에 나타나는 물명 역시 다양한 자료를 통해 통합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이렇게 각종 관련 자료에 나타나는 물명을 종합하여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물명 아카이브와 같은 물명 DB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앞으로 이런 토대 사업이 이루어져서 이를 바탕으로 방대하고 폭넓은 자료를 이용하여 물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keywords
vernacular letters, royal vernacular letters, court vernacular letters, names of things, measure nouns, 언간, 왕실 언간, 궁중 언간, 물명, 단위명사


참고문헌

1

寶物第1220號 明安公主關聯遺物圖錄 . 1996.

2

국립청주박물관, 조선 왕실의 한글 편지 숙명신한첩 . 국립청주박물관, 2011.

3

국립한글박물관, 김씨부인한글상언·정조어필한글편지첩·곤전어필 . 국립한글박물관, 2014.

4

국립한글박물관, 2015 국립한글박물관 기획특별전 한글 편지, 시대를 읽다 . 국립한글박물관, 2015.

5

金奉佐, 「해남 녹우당 소장 은사첩 고찰」. 書誌學硏究 제33집, 2006, 217‒249쪽.

6

金一根, 解說·校註 李朝御筆諺簡集 . NARA PUBLISHING CO., 1959.

7

金一根, 親筆諺簡總攬 . 景仁文化社, 1974.

8

金一根, 三訂版 諺簡의 硏究 . 건국대학교출판부, 1986·1999.

9

박부자, 「숙명신한첩의 국어학적 특징」. 조선 왕실의 한글 편지 숙명신한첩 , 국립청주박물관, 2011.

10

박부자, 「복식명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4호, 2014, 7‒41쪽.

11

박재연, 「진주 유씨가 묘 출토 언간의 어휘론적 고찰」. 한글필사문헌과 사전편찬 , 역락, 2012, 13‒47쪽.

12

이기대, 「 明成聖后御筆 연구」. 한국민족문화 4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13

이종덕, 17세기 왕실 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4

이종덕, 「숙명신한첩에 대한 몇 가지 고찰」. 조선 왕실의 한글 편지 숙명신한첩 ,국립청주박물관, 2011.

15

임재완, 정조대왕의 편지글 . 삼성미술관 Leeum, 2004.

16

조정아,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에 나타난 복식명 연구」. 藏書閣 제32집,2014, 136‒166쪽.

17

황문환·임치균·전경목·조정아·황은영,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1‒3권. 역락, 2013.

18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 색인 DB 구축 http://ffr.krm.or.kr/base/td003/index.html

19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20

한식아카이브 http://archive.hansik.org/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