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순조대 진작 의례와 한글 기록물의 제작-1827년 자경전진작의례(慈慶殿進爵儀禮)를 중심으로

The Royal Banquet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Functions of Hangeul Records: Focusing on Royal Protocol for the Court Feast at Hall of the Mother’s Good Fortune in 1827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5, v.38 no.3, pp.151-178
https://doi.org/10.25024/ksq.38.3.201509.151
김봉좌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1827년(순조 27) 9월 10일에 효명세자가 순조와 순원왕후를 위하여 주관 설행한 진작 의례(進爵儀禮)를 중심으로 조선후기 왕실 잔치를 위하여 제작한 한글 문헌의 종류와 기능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당시 진작 의례에 관한 기록으로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가 편찬되었는데, 한문본뿐만 아니라 한글 번역본도 함께 제작되었다. 또 의례의 절차를 기록한 한글 홀기 역시 현전하고 있다. 이처럼 한글 문헌이 제작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의례의 절차와 관련 인물들을 조사하고 정리함으로써 왕실의 한글 사용 양상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별 한글 문헌으로 제작된 치사(致詞), 악장(樂章), 의주(儀註), 홀기(笏記), 의궤(儀軌)의 제작 배경을 비롯하여 형태, 내용, 기능 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모두 왕실 여성을 위한 것이나, 순원왕후와 세자빈을 위해서는 치사, 악장, 의주, 의궤가 제작되었으며, 비빈의 의례를 보좌하는 여관(女官)을 위해서는 치사, 악장, 홀기가 제작되었다. 동일한 내용의 문헌이라도 사용자의 지위에 따라 기능뿐만 아니라 제작 재료와 형태가 달랐다.

keywords
Royal Protocol for the Court Feast at Hall of the Mother’s Good Fortune, Hangeul Manuscripts, Praise, Lyric, Explanation of the Ritual, Potable Record of Ritual Protocol, Royal Protocol, 자경전진작정례의궤, 한글 문헌, 치사, 악장, 의주, 홀기, 의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orms and functions of hangeul manuscripts that were produced for royal banquet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wine offering rite held by Crown Prince Hyomyeong for the King Sunjo and Queen Sunwon on September 10, 1827. When Royal Protocol for the Court Feast at Hall of the Mother’s Good Fortune was compiled to record the wine offering rite, not only Chinese manuscripts but also hangeul manuscripts were produced. And potable record of ritual protocols for the rite written in hangeul are ext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se hangeul manuscripts, this paper examined first the aspects of use of hangeul in royal household by means of review and classification on the procedures and all concerned of the ritual. In the following, this paper took a closer look at the form, content, function as well as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each hangeul manuscript such as praise, lyric, explanation of the ritual, potable record of ritual protocol, and royal protocol. All of these manuscripts were made for women of royal household, and more specifically, manuscripts for Queen Sunwon and Crown Princess were praise, lyric, explanation of the ritual, and royal protocol; manuscripts for housewives of royal families were praise, lyric, and portable ceremony procedure. Even though the contents were equal,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materials, forms as well as the func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keywords
Royal Protocol for the Court Feast at Hall of the Mother’s Good Fortune, Hangeul Manuscripts, Praise, Lyric, Explanation of the Ritual, Potable Record of Ritual Protocol, Royal Protocol, 자경전진작정례의궤, 한글 문헌, 치사, 악장, 의주, 홀기, 의궤


참고문헌

1

「대뎐즁궁뎐샹존호후 왕셰진쟉례 홀긔」(규장각 奎 27612).

2

「대뎐즁궁뎐샹존호시 왕셰친샹보진치젼문표리례 홀긔」(규장각 奎27613).

3

「대왕대비뎐 가샹존호보 친전의」(장서각 K2‒2802).

4

뎡니의궤 (프랑스 국립동양언어문화대학교도서관).

5

(고려대학교박물관·동아대학교박물관 교류전) 동궐(東闕) , 고려대학교박물관, 2012.

6

上號都監儀軌 (규장각 奎 13344, 장서각 K2‒2814).

7

御製慈宮樂章 (규장각 奎 7084).

8

御製慈宮臨華城行宮進饌樂章 (규장각 奎 2065).

9

園幸乙卯整理儀軌 (규장각 奎 14532).

10

慈慶殿進爵整禮儀軌 (규장각 奎 14535, 장서각 K2‒2858).

11

경뎐진쟉졍례의궤 (규장각 古 4256.5‒2).

12

金奉佐, 조선시대 유교의례 관련 한글문헌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3

김종수, 「奎章閣 所藏 연향 관련 儀軌 고찰」. 韓國學報 第29 卷4號, 2003, 56‒92쪽.

14

김종수, 「조선시대 大殿·中殿 尊號儀禮의 변천과 用樂 고찰」. 韓國音樂史學報 第49輯, 2012, 143‒179쪽.

15

김종수, 「조선 후기 內宴 儀禮의 변천」. 溫知論叢 第35輯, 2013, 415‒453쪽.

16

신경숙, 「19세기 궁중연향 한글 악장 ‒夜宴의 <樂歌三章>을 중심으로‒」. 시조학논총 제20집, 2004a, 173‒195쪽.

17

신경숙, 「순조조 외연의 한글 악장 –효명세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韓國詩歌硏究 第15輯, 2004b, 287‒313쪽.

18

옥영정, 「한글본 뎡니의궤 의 서지적 분석」. 書誌學硏究 第39輯, 2008, 139‒168쪽.

19

이화숙, 「《경뎐 진쟉 졍례 의궤》의 어휘와 번역 양상」. 국어교육연구 제44집,2009a, 321‒352쪽.

20

이화숙, 조선시대 한글 의궤의 국어학적 연구 ‒《경뎐진쟉졍례의궤》와《뎡니의궤》를 중심으로‒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b.

21

韓熙珍, 「조선 후기 箋文 연구 ‒賀箋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2.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