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Experiential Evolution of Physiognomy: Focusing on Choi Hanki’s Human Assessment(測人)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5, v.38 no.4, pp.39-62
https://doi.org/10.25024/ksq.38.4.201512.39
SEO YOUNG YI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Choi Han‒ki’s method of Human Assessment(測人) was the experiential evolution of physiognomy that overcame the problems with the deterministic view of the traditional physiognomy. Choi understood that “figuring people out” was a deterministic opportunity to distinguish between success and failure of human life. Even though he actively embraced the classical physiognomy as one way of human assessment, he believed that it had decisive limitations in that ① it regards human beings that are the ground of human assessment as individual beings, ② does not consider Haengsa(行事) that can make people different from their innate biological appearances, and ③ overlooks the unpredictable nature of human mind. In an effort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Chi Hanki’s Human Assessment included three major changes: ① Human beings are not individual beings that are separated from one another but “beings within the world” or “beings within the relationships” that need to deal with things properl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world; ② “Haengsasang”(行事相) should be introduced as an important element for a cross check with physiognomic judgments; and ③ People may show unpredictable psychological twis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human assessment. With those points Choi Hanki seems to have made certain progress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classical method of physiognomy, which makes deterministic judgments on noble and mean, good and bad luck only based on the surface features which comprise human body and physical conditions. Choi Hanki’s Human Assessment can make one of the crucial contributions to reading people as long as it does not confine its application to the social and political areas. Furthermore, it will provide some realistic insights to our specific realistic issue, “How can we interact with others?”

keywords
상법, 최한기, 측인, 상호작용, Physiognomy, Choi Hanki, Human Assessment, interaction


Reference

1

麻衣相士, 麻衣相法 . 台北: 武陵, 2000.

2

陳摶, 神相全篇 . 台南: 大孚, 1986.

3

崔漢綺, 明南樓全集 1‒3. 여강출판사, 1986.

4

강선구, 얼굴유형과 성격 간의 관계에 대한 인상학적 연구 . 동방대학원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0.

5

강선희·김효동·이경원, 「동양 관상학을 적용한 성격별 얼굴 설계 시스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21, 한국디자인학회, 2008.

6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 문학과지성사, 2005.

7

구자익, 「최한기의 「감평」 연구: 「감평」의 구성에 있어서 기수(氣數)의 체계와 의미」.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8

김경희, 「아이 메이크업 적용을 위한 우리나라 성인 여성 눈썹과 눈의 형태 분석」. 한국미용학회지 14, 한국미용학회, 2008.

9

김미애, 「얼굴유형별 창업자의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0

김수동, 「눈썹유형별 의복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감성과학 9, 한국감성과학회, 2006.

11

김지홍,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관상학적 분류를 통한 외형적 형태와 내면적 성격의 기본 모델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49, 한국디자인학회, 2002.

12

노양진, 몸·언어·철학 . 서광사, 2009.

13

노양진, 몸이 철학을 말하다 . 서광사, 2013.

14

들뢰즈, 질·펠릭스, 가타리 저, 김재인 역, 천개의 고원 . 새물결, 2001.

15

레이코프, G & M, 존슨 저, 임지룡 외 역, 몸의 철학: 신체화된 마음의 서구 사상에 대한 도전 . 박이정, 2002.

16

문만기, 「혜강 최한기 인물감평 이론의 현대 과학적 해석과 응용: 스마트폰 중독진단 척도의 자기통제감과 인물감평 변인과의 관계」. 예술과 미디어 14,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17

박성수, 「한국형 인사고과제도에 관한 연구: 실학자 최한기의 인정 을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27, 한국인사관리학회, 2003.

18

설혜심, 서양의 관상학 그 긴 그림자 . 한길사, 2002.

19

윌슨, 에드워드 저, 최재천·장대익 역, 통섭: 지식의 대통합 . 사이언스북스, 2005.

20

이석환, 「최한기 인정 「감평」의 인사평가에 관한 연구: 현대 기업의 인사평가방식과 관련하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1

이승연, 「최한기의 측인학과 상법: 인정 ‘측인문’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53, 새한철학회, 2008.

22

이승환, 「朝鮮後期 科弊와 崔漢綺의 測人學: 人政 「測人門」을 中心으로」. 한국사상사학 16, 한국사상사학회, 2001.

23

이영찬, 「최한기의 인물감평과 사회심리학의 대인지각 비교」. 한국학논집 4,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2.

24

이영찬, 「최한기의 기학적 인간학과 인물감평 범주」. 동양사회사상 27,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a.

25

이영찬, 「최한기의 측인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학논집 52,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b.

26

이훈구, 인상심리학 . 학지사, 2014.

27

주선희, 동·서양 인상학연구의 비교와 인상관리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