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Self‒helping Effectiveness of Thoughts and Anti‒addictive Narrations behind Addictive Behavior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1, pp.141-162
https://doi.org/10.25024/ksq.39.1.201603.141
Hyekyeong Cho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의식과 감정이 아울러 작용하는 정서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독 현상의 발현과정을 분석하고, 중독의 실제적 욕구 메시지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결핍과 충족의 자기서사를 활용하여 중독의 의미망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글은 중독 현상을 제어하는 데 실효적인 관점을 구축하기 위해 중독 현상이 보여주는 표면적 양태보다 고통의 최초 원인이 자리하는 심층적 욕구의 구조에 주목해야 함을 논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욕구의 대체과정에서 사용되는 쾌락의 대상을 사후적·법제적으로 차단하기보다 고통의 원인에 대한 인지구조를 해설하고 행위 주체로 하여금 고통의 원인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 이유를 제시하였다. 이 글은 중독의 행위 조정을 위한 대안으로, 이면적 욕구 메시지 발견을 위한 자기서사 구축의 3단계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중독의 대상이 주는 쾌락, 즐거움의 유입을 문장으로 진단하고 그것의 대비적 상태를 다시 문장으로 환원하여 스트레스 원인을 가시적으로 진단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와 더불어, 중독 행위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 대안의 실효성을 논구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 매슬로의 ‘자존의 욕구 단계’와 연관되는 경험과 인식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자구책의 역량과 통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가와 지각의 기준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사고의 유연성을 얻도록 하는 것의 필요성을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물리적 재화가 아닌 상념의 시간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높은 실효성을 지니며, 중독을 비롯한 삶의 문제에 대해 자율적 대응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중독, 중독 행위, 인문학, 자기서사, 반중독 서사, 생애 난민, 욕구 메시지, 상념, addiction, addictive behaviors, humanities, self‒narrative, anti‒addiction narrative, existential drifter, desires message, thoughts


Reference

1

고병인, 『중독자 가정의 가족치료』. 학지사, 2003.

2

김기태 외, 『알코올 중독의 이해』. 양서원, 2005.

3

박상규 외, 『중독의 이해와 상담 실제』. 학지사, 2009.

4

송욱, 『성 중독의 이해와 상담』. 총신대학교출판부, 2015.

5

안영실 외, 『임상 실제에서의 알코올 중독 치료』. 양서원, 2010.

6

장은주, 『유교적 근대성의 미래』. 한국학술정보, 2014.

7

Capuzzi, David, et. al. 저, 신성만 외 역, 『중독 상담』. 박학사, 2013.

8

Katsiaficas, George 저, 원영수 역, 『한국의 민중봉기』. 오월의봄, 2015.

9

Kuhar, Michael 저, 김정훈 역, 『중독에 빠진 뇌』. 해나무, 2014.

10

Miller, William R. 저, 조성희 외 편역, 『중독과 동기면담』, 시그마프레스, 2007.

11

Negri, Antonio, et. al. 저, 정남영 외 역, 『공통체』. 사월의책, 2014.

12

Richard, Denis 저, 윤예니 역, 『약물중독』. NUN, 2011.

13

Schaef, Anne W., et. al. 저, 강수돌 역, 『중독 조직: 조직은 어떻게 우리를 속이고병들게 하는가?』. 이후, 2015.

14

Urschel, Harold C., et. al. 저, 조성희 외 역, 『중독된 뇌 살릴 수 있다』. 학지사, 2012.

15

Valleur, Marc 저, 최의선 역, 『도박중독』, NUN, 2010.

16

김범식·김학범, 「중독범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중독범죄학회보』제1권 1호, 2011, 89‒113쪽.

17

안상원·한상철, 「도박 중독자의 2차 범죄화 예방방안에 관한 연구: 치료 프로그램중심으로」. 『한국중독범죄학회보』제3권, 2013, 90‒114쪽.

18

오세연, 「사례분석을 통한 도박중독의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제1권, 2011, 23‒45쪽.

19

임성범, 「대학생의 도박중독 요인에 관한 연구: 도박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제33권 2호, 2013, 489‒524쪽.

20

한종수, 「한국의 비정규직 근로자 실태 및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평화학연구』제16권 3호, 2015, 151‒174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