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Conceptualization of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Focus on the Interpretation of a House by the Korean Traditional Famili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4, pp.7-36
https://doi.org/10.25024/ksq.39.4.201612.7
Kim, Kyoung-e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radition implies not only timeness which has been continued from the past but also valueness as the present meaning. Korean head family is an appropriate subject to analyze modernization as it has maintained one of the life styles from the past until modern tim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 through capturing the context for modernization of tradition, and investigating the grounds of modernization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is tradition modernized?” This study approaches “house” not as a physical environment but as a family, and selects four Korean traditional houses‒Seongyojang, Nongam Traditional House, Hakbong Traditional House, and Imcheonggak in Andong‒which have a social standing as the Korean head family and are opened to the public for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s. It tries to collect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among descendants of those houses and a field study. The data is then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interpretative paradigm.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each traditional house has a unique identity according to universal criteria of the times and different historical contexts.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is that “house” is the identity of their family, and they regard the root of identity as the essence of tradition, investing tradition with the present meaning. Thus, tradition implies normativity since it is premised on the value of the social groups sharing that tradition. In this context, “modernization of tradition” means not only a collective process for interpretation as of present but also justification of that normativity in the present ag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eals with normativity as one of the attributes of tradition, and proposes that consideration on the essence of tradition is critical to figure out modernization. The concept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 can provide clues about Korean things and Koreanes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Koreanization discourse.

keywords
전통의 현대화(Modernization of Tradition), 한국성(Koreaness), 전통가문(Traditional Family), 종가(Korean Head Family)


Reference

1

강신택, 『 행정사상과 연구의 논리』. 조명문화사, 2013.

2

강영환, 『 집의 사회사』. 웅진출판, 1992.

3

강윤정, 「근대기 고성이씨 문중의 정치적 동향과 사회경제적 변화」. 『 안동학연구』6권, 2007, 195‒222쪽.

4

고병익, 『 동아시아의 전통과 변용』. 문학과지성사, 1996.

5

권숙인, 「일본의 전통, 교토의 섬유산업을 뒷받침해 온 재일조선인」. 『 사회와역사』91권, 2011, 325‒372쪽.

6

기다 겐·노에 게이이치·무라타 준이치·와시다 기요카즈 저, 이신철 역, 『 현상학사전』. 도서출판비, 2011.

7

김봉렬, 『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앎과 삶의 공간 2』. 돌베개, 2006.

8

김종서, 「전통사상의 개념」. 김종서 외, 『 전통사상의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9

류정아,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전통성’의 의미: 남프랑스 한 마을의 전통축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28권, 1995, 79‒99쪽.

10

류춘규, 『 유교식 제사의 전승과 제문 연구‒경북지역 종가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11

문옥표, 「문화유산으로의 전통공예: 일본 교토 니시진오리의 사례」. 『 한국문화인류학』44권 3호, 2011, 3‒35쪽.

12

박해광·송유미, 「문화적 정체성과 전통」. 『 문화와 사회』제3권, 2007, 85‒122쪽.

13

서병패, 「19세기 강릉지방 토지수유에 대하여‒선교장을 중심으로」. 『 백산학보』46권, 1996, 351‒380쪽.

14

운장각건립추진위원회, 『 운장각』. 운장각건립추진위원회, 1987a.

15

운장각건립추진위원회, 『 학봉선생의 생애와 사상』. 운장각건립추진위원회, 1987b.

16

유홍준,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말하지 않은 것과의 대화』. 창작과비평사, 1997.

17

윤학준, 『 나의 양반문화 탐방기 I』. 길안사, 1994.

18

윤현호, 「세계유산 등재 이후 관광으로 인한 양동마을 전통의 재구성」. 『 관광연구』29권 2호, 2014, 1‒23쪽.

19

이남인, 『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2014.

20

이성원, 『 천년의 선비를 찾아서』. 푸른역사, 2008.

21

이순형, 『 한국의 명문종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2

이충양, 「1980년대 중국에서의 전통문화와 현대화 논쟁」. 『 중어중문학』29권, 2001, 577‒600쪽.

23

이희봉, 「상류 전통주거 강릉 선교장의 해석」. 『 건축역사연구』8권 4호, 1999, 39‒62쪽.

24

이희봉·김태식, 「강릉 선교장 가족성원의 역할을 통해 본 전통 주거공간의 재조명」.『 환경과학연구』8권, 1997, 293‒311쪽.

25

전병재, 「한국사회에서의 전통과 현대」. 『 한국사회』1권, 1998, 9‒25쪽.

26

전진성, 『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27

주간한국, 「종가기행28. 고성 이씨 임청각 이명」. 『주간한국 』, 2007.

28

중앙시사매거진, 「안동 선비정신의 미학③ 학봉 김성일 13대 종손 독립지사 김용환」.『중앙시사매거진』6호, 2016년 5월 17일.

29

차장섭, 『선교장, 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집 이야기』. 열화당, 2011.

30

최봉영, 『한국인의 가(家)의 현실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교육학 박사학위논문, 1992.

31

하상복, 「광화문의 정치학: 예술과 권력의 재현」. 『한국정치학회보』43권 3호, 2009, 77‒98쪽.

3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 『조선시대 명가의 고문서: 안동 고성이씨·의정부반남박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33

허은,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독립투사 이상룡 선생의 손부 허은여사 회고록』. 정우사, 2008.

34

Beck, Ulrich & Giddens, Anthony. Reflexive Modernization: Politics, Traditionand Aesthetics in the Modern Social Ord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35

Bendix, Reinhard, “Tradition and Modernity Reconsidered.” Comparative Studiesin Society and History, Vol. 9(3), 1967, pp. 292‒346.

36

Eisenhardt, Kathleen M. & Graebner, Melissa E., “Theory Building from Cases: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0(1), 2007, pp. 25‒32.

37

Giddens, Anthony. Runaway World: How Globalization: How GlobalisationIs Reshaping Our Lives. Routledge, 2003(앤서니 기든스 저, 박찬욱 역. 『질주하는 세계』. 생각의나무, 2000).

38

Handler, Richard & Linnekin, Jocelyn, “Tradition, Genuine or Spurious,” TheJournal of American Folklore. Vol. 97(385), 1984, pp. 273‒290.

39

Hobsbawm, Eric J.,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 Press, 1992(에릭 홉스봄·사라 모건 저, 박지향 역.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40

Jacob, Struan, “Edward Shils Theory of Tradition.” Philosophy of the SocialSciences, Vol. 37(2), 2007, pp. 139‒162.

41

Lutz, J. G. & El‒Shakhs, S., Tradition and Modernity: The Role of Traditionalismin the Modernization Proces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2.

42

Shils, Edward A. Tradition. London: Faber & Faber, 1981a.

43

Shils, Edward A, “Tradition.” Society for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History, Vol. 13(2), 1981b, pp. 122‒159.

44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Minnesota Press, 2001(이‒푸 투안 저, 심승희·구동회 역.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45

《경북일보》, 「종가19. 안동 농암 이현보 농암종택」. 2016년 6월 12일자.

46

《매일신문》, 「임청각 ‘비운의 80년’ 문서로 드러난 ‘애국’」. 2015년 12월 16일자.

47

《중앙일보》, 「600년 장수 대물림 … 농암종가 밥상의 힘」. 2012년 5월 11일자.

4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검색어: 전통).

49

메리엄 웹스터 사전, http://learnersdictionary.com/definition(검색어: tradition, custom, convention, routine).

50

오래된 약속 12편. 독립투쟁의 산실 임청각과 석주 이상룡(2014년 12월 25일 방영), http://andongmbc.co.kr/adboard/index.php?doc=program/vod2/HDvod View.php&ca_id=1101i0.

51

한국고택문화재소유자협의회, http://www.apkch.org/profile.

52

EBS 다큐멘터리 ‘도올이 본 한국독립운동사’ 제6부. 서간도 바람 부는 임청각:신흥무관학교 역사와 그 민족사적 의의/안동지역 보수유림의 혁신적 성향 심층분석.

53

축제(祝祭). 대구MBC 창사47주년 특집

54

다큐멘터리.KBS 6시내고향, 2015년 10월 1일.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