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Yuanhenglizhen(元亨利貞) of Yiling(『周易』): Focusing on Wang Bi(王弼)·Cheng Yi(程頤)·Zhu Xi(朱熹)·Jeong Yak‒yong(丁若鏞)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1, pp.49-72
https://doi.org/10.25024/ksq.40.1.201703.49
Geunsik Seo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왕필의 원형이정(元亨利貞) 해석은 건괘 「문언전」을 살펴보라고 할 만큼 「문언전」에 의지하고 있다. 건괘 「문언전」에서는 원형이정을 “원(元)하고 형(亨)하고 이(利)하고 정(貞)하다”라고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6괘에서는 “원형(元亨)하고 이정(利貞)하다”라고 해석하였다. 이런 점으로 본다면 왕필은 『역경』과 『역전』을 분리해서 본 것 같지는 않다. 정이는 왕필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으므로, 원형이정을 “원(元)하고 형(亨)하고 이(利)하고 정(貞)하다”라고 해석하였다. 정이는 다른 5괘와 모순되게 무망괘와 혁괘에서는 원형이정을 “원형하고 이정하다”라고 해석하였다. 원형이정의 해석을 통일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완전한 해석은 아니다. 주희는 정이가 『금역(今易)』에 주석한 것과는 다르게 『고역(古易)』에 주석을 하고 있다. 그리고 『역경』과 『역전』을 분리하여 『역경』의 내용은 점사(占辭)로 여겼다. 그는 원형이정을 “원형하고 이정하다”라고 해석하였다. 정약용은 주희가 원형이정을 “원형하고 이정하다”라고 해석한 부분을 받아들인다. 또 정약용은 ‘정(貞)’자를 “일을 맡아 처리한다”로 해석함으로써 원형이정에 대한 의미를 주희보다 명확하게 하였다. 정약용의 해석은 완전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역학 역시 문헌적 근거가 희박한 양호작괘법(兩互作卦法)을 사용하고 있다.

keywords
왕필의 의리역학, 정이의 의리역학, 주희의 상수·의리역학, 정약용의 상수역학, 원형이정, 문언전, 설괘전, Wang Bi’s YiliYixue, Cheng Yi’s YiliYixue, Zhu Xi’s Yili·Xiangshuyixue, Jeong Yak‒yong’s Xiangshuyixue, Yuanhenglizhen, Wenyanzhuan, Shuoguazhuan


Reference

1

王弼, 『周易注』 『王弼集校釋』 上, 下. 中華書局, 1999.

2

廖名春·康學偉·梁韋弦, 『周易硏究史』. 湖南出版社, 1991.

3

정약용, 『주역사전』 『(교감·표점)정본 여유당전서』(전37책).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4

程頤, 『周易程氏傳』 『二程集』 上, 下. 中華書局, 2008.

5

朱伯崑, 『易學哲學史』(全4冊). 崑崙出版社, 2005.

6

朱熹, 『周易本義』 『朱子全書』(全27冊). 上海古籍出版社, 2002.

7

김인철, 『다산의 주역 해석체계』. 경인문화사, 2003.

8

박주병, 『주역반정(周易反正): 정약용 역학을 중심으로』. 서문당, 2002.

9

방인, 『다산 정약용의 『주역사전』 기호학으로 읽다』. 예문서원, 2014.

10

朱伯崑 저, 김학권 외 역, 『역학철학사』 1‒8권. 소명출판, 2012.

11

鈴木由次郞, 『漢易硏究』. 東京: 明德出版社, 昭和38년(1963).

12

김영우, 『정약용의 역학 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3

김왕연, 『다산 역학의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14

김인철, 『다산 『주역』 해석체계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15

문재곤, 『한대역학연구: 괘기역학(卦氣易學)을 전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16

박주병, 『『주역』의 괘에 대한 연구: 정약용 역학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7

백은기, 『주자역학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18

서근식, 「다산 정약용의 ‘시괘법(蓍卦法)’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9

서근식, 『조선후기 실학파의 『주역』 해석방법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0

서근식, 「주자 『역학계몽』의 체계적 연구」. 『동양고전연구』 제43집, 동양고전학회, 2011. 6.

21

엄연석, 『정이 『역전』의 역학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22

유문상, 『다산 역학의 특성과 윤리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3

이세동, 『주자 《주역본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4

임채우, 『왕필 역 철학 연구: 이간어반사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5

장정욱, 『『주역』의 구성체제와 역상의 상징체계: 다산역학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6

정해왕, 『주역의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 정약용의 역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27

황병기, 『다산 정약용의 역상학』.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