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Re‒evaluation of Syngman Rhee’s Diplomacy in America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Era: In Connection with his Ideology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4, pp.137-168
https://doi.org/10.25024/ksq.40.4.201712.137
Yoo Na You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evaluate Syngman Rhee’s diplomacy in America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Era. Past studies evaluated the subject only from the perspectiv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However, his diplomacy needs to be re-evaluated by connecting Syngman Rhee’s ideology and nation building plan. Syngman Rhee carried out his diplomacy based on his core ideologies of independence, liberal democracy, liberal economics, anti-communism, and realistic international politics. After liberation, indepen‒dence was difficult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intensifying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The Soviet Union’s attempts to establish a separate government in the north, the breakdown of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a Left-Right Coalition made Syngman Rhee’s nation building plan difficult. As a result, Syngman Rhee went to America and tried to conduct his diplomacy based on his ideologies. In an era of intensification of the Cold War, Syngman Rhee laid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ng a liberal democratic nation in the sou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his diplomacy.

keywords
이승만, 방미외교, 사상, 국가구상, 냉전, Syngman Rhee, Diplomacy in America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Era, thoughts, Nation building plan, Cold War


Reference

1

《경향신문》,

2

《대동신문》,

3

《동아일보》,

4

《매일신보》,

5

《서울신문》,

6

《신한민보》,

7

《자유신문》,

8

《조선일보》.

9

『개벽』,

10

『동광』,

11

『삼천리』,

12

『평화와 자유』.

13

FRUS.

14

가브릴 코로트코프 저, 어건주 역, 『스탈린과 김일성(1)』. 동아일보사, 1992.

15

고정휴.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16

국사편찬위원회 편. 『디한민국사자료집』 28권. 국사편찬위원회, 1996.

17

국사편찬위원회. 『소련군정문서, 남조선정세보고서』. 국사편찬위원회, 2003.

18

김국후, 『평양의 소련군정』. 한울, 2008.

19

김동환 편, 『평화와 자유』. 삼천리사, 1931.

20

김영호, 『대한민국의 건국혁명 2』.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21

김용삼, 『대한민국 건국의 기획자들: 이승만 인맥을 중심으로 본 건국 전후의 비화(秘話)』. 백년동안, 2015.

22

김학은, 『이승만의 정치·경제사상: 1899‒1948』.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23

김학준, 『북한의 역사(1)』.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a.

24

김학준, 『북한의 역사(2)』.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b.

25

로버트 올리버 저, 황정일 역, 『이승만』.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26

리승만, 『독립정신』. 정동출판사, 1993.

27

손세일, 『이승만과 김구』 제6권[제3부 어떤 나라를 세울까 1945‒1950(Ⅰ)]. 조선뉴스프레스, 2015.

28

송남헌, 『解放三年史(1)』. 까치, 1985.

29

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 편, 『The Syngman Rhee Correspondence in English, 1904‒1948. 7.』. Korea(South): Institute for Modern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 2009.

30

우남실록편찬회, 『우남실록』. 우남실록편찬회, 1976.

31

유영익, 『이승만의 삶과 꿈』. 중앙일보사, 1996.

32

유영익, 『(건국대통령) 이승만: 생애·사상·업적의 새로운 조명』. 일조각, 2013.

33

이정식, 『이승만의 구한말 개혁운동』. 배재대학교출판부, 2005.

34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

35

이주영, 『(우남 이승만) 그는 누구인가?』. 김&정, 2008.

36

이춘근, 『미국에 당당했던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글마당, 2012.

37

이한우, 『이승만: 대한민국을 세운 독립운동가』. 역사공간, 2010.

38

이호재, 『韓國 外交政策의 理想과 現實』. 法文社, 2000.

39

임병직, 『臨政에서 印度까지: 林炳稷外交回顧錄』. 女苑社, 1966.

40

전현수 편저, 『쉬띄꼬프일기』. 국사편찬위원회, 2004.

41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2005.

42

중앙일보사 특별취재반, 『(秘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상)』. 中央日報社, 1992a.

43

중앙일보사 특별취재반, 『(秘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하)』. 中央日報社, 1992b.

44

차상철, 『이승만과 하지장군』. 백년동안, 2015.

45

한표욱, 『이승만과 한미외교』. 중앙일보사, 1996.

46

Kennan, George Frost, Memoirs (1925‒1950). Boston: Little, Brown, 1967.

47

Mastny, Vojtech, The Cold War and Soviet insecurity: the Stalin yea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8

Rhee, Syngman, Japan Inside Out. New York: London and Edinburgh, 1941.

49

Rhee, Syngman, 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Seoul: Kwanksa, 2004.

50

Truman, Harry S., Memoirs by Harry S. Truman Vol. 1. New York: A Sigent Book, 1955.

51

U.S. Department of State, FRUS Diplomatic Papers, 1945, Vol. 6: The British Commonwealth, The Far East,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9.

52

U.S. Department of State, FRUS 1947, Vol. 6: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2.

53

Yergin, Daniel, Shattered Peace. Boston: Houghton Mifflin, 1977.

54

Zubok, Vladislav M. and Pleshakov, Konstantin, Inside the Kremlin’s Cold War.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55

강만길, 「좌우합작운동의 경위와 그 성격」. 송건호·강만길 공편 『한국민족주의론 2』, 창작과 비평사, 1989, 108‒136쪽.

56

김도현, 「이승만 노선의 재검토」. 송건호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1)』, 한길사, 1995, 360‒392쪽.

57

김명섭·김정민, 「워싱턴회의 시기 이승만의 외교활동과 신문 스크랩, 1921‒1922」. 『한국정치학회보』 제51집 제2호, 2017, 175‒198쪽.

58

김영호, 「이승만의 국제정치관에 관한연구」.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8권 1호, 2016, 5‒32쪽.

59

김용직,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후기 개화기 정치외교 담론」. 송복 외, 『(저서를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69‒99쪽.

60

김재호, 「대한민국 정부수립의 경제적 기초와 근대적 재정제도의 성립」. 김용직 편,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국가체제 구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97‒165쪽.

61

송복, 「이승만의 저술 활동과 역사적 의미」. 송복 외. 『(저서를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1‒28쪽.

62

양동안, 「45‒48년 기간에 있어서 이승만의 정치활동에 관한 연구」. 『정신문화연구』 25권 3호, 2002, 187‒227쪽.

63

오영섭, 「이승만의 『청일전기』 번역·간행과 자주독립론」. 송복 외. 『(저서를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29‒68쪽.

64

오영섭, 「이승만 연보」. 2012. syngmanrhee.yonsei.ac.kr/files/chronology.pdf, 1‒9쪽.

65

유영익, 「3.1 운동 후 서재필의 신대한(新大韓) 건국 구상」. 서재필기념회 편, 『서재필과 그 시대』, 서재필기념회, 2003, 325‒402쪽.

66

유영익,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 유영익 편, 『이승만 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475‒576쪽.

67

유지윤, 「F.B. 해리스와 이승만의 관계가 대한민국 건국에 미친 영향」. 『서울신학대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제2회 콜로키움 자료집(미간행)』, 31‒47쪽.

68

이승만, 「공산당의 당부당」. 『태평양잡지』 제31호, 1923, 16‒18쪽.

69

이승만, 「조선청년에게 奇함」. 김동환 편, 『평화와 자유』, 삼천리사, 1931, 80‒82쪽.

70

이승만, 「일민주의정신과 민족운동」. 이승만, 『일민주의개술』, 一民主義普及會, 1954, 8‒16쪽

71

이완범, 「분단국가의 형성 2: 소련점령군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 김용직 편, 『사료로 본 한국의 정치와 외교』,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95‒122쪽.

72

이정식, 「건국대통령으로서의 이승만」. 유영익 편, 『이승만 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a, 29‒71쪽.

73

이정식, 「스탈린의 한반도정책, 1945」.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b, 178‒214쪽.

74

이정식, 「해방 전후의 이승만과 미국」,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c, 292‒325쪽.

75

이정식, 「해방 직후 정치 지도자 4인의 성격 구성」.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d, 223‒262쪽.

76

이정식·김은순, 「해방정국과 좌우합작」.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 326‒371쪽.

77

이주영, 「광복 후의 정국과 분단」. 차하순 외, 『한국현대사』, 세종연구원, 2013, 102‒119쪽.

78

이지수, 「제2차 세계대전과 소련의 한반도 정책」. 이인호 공편, 『대한민국 건국의 재인식』, 기파랑, 2009, 55‒92쪽.

79

이헌경, 「해방 후 남한 정치세력의 외국군에 대한 인식과 양군철퇴논쟁」.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7권 1호, 2005, 35‒74쪽.

80

장규식, 「『한국교회핍박』에 나타난 이승만의 기독교입국과 외교독립 구상」. 송복 외. 『(저서를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145‒178쪽.

81

정용욱, 「미군정기 이승만의 ‘방미외교’와 미국의 대응」. 『역사비평』 30권, 1995, 309‒332쪽.

82

정해구, 「분단과 이승만」. 『역사비평』 32호, 1996, 252‒288쪽.

83

차상철, 「외교가로서의 이승만 대통령」. 유영익 편, 『이승만 대통령 재평가』,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155‒188쪽.

84

최상오, 「이승만의 경제구상」. 최상오·홍선표 외, 『이승만과 대한민국 건국』,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65‒122쪽.

85

최정수, 「이승만의 『미국의 영향 하에 성립된 중립론』과 외교독립론」. 송복 외, 『(저서를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101‒143쪽.

86

Parrish, Scott, “A DIPLOMAT REPORTS.” CWIHP Bulletin Issue. 1, Spring 1992, 16, 21‒22쪽.

8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db.history.go.kr)

88

뉴욕타임스(nytimes.com)

89

우드로 윌슨 센터 다국적 냉전사 연구기획(wilsoncenter.org/digital‒archive)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