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채만식 문학에 나타난 투르게네프의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urgenev in the Literature of Chae Mansik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4, pp.207-236
https://doi.org/10.25024/ksq.40.4.201712.207
김미영 (홍익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서양의 문화예술에 대한 언급을 꺼렸던 채만식은 유독 여러 수필에서 어린 시절부터 투르게네프 작품을 탐독했고, 특히 『엽인일기』는 네다섯 번 읽었으며 자신의 문학은 그것으로부터 무의식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적시하고 있다. 투르게네프의 문학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애호되었는데, 채만식은 투르게네프의 인물(성격) 중심의 소설구성과 풍자기법의 활용, 서사진행의 자연스러움, 예민한 언어감각, 서정적인 자연묘사, 농촌의 지향과 봄에 대한 갈망, 니힐리즘적 정조 등에 깊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인물(성격)이 작품을 끌고 가는 구성방식은 『태평천하』, 『탁류』, 「레듸‒메이드 인생」, 「치숙」, 「소망」, 「낙조」에서 확인된다. 부정적 인물과 긍정적 인물의 선명한 대비 속에 특히 지주를 부정적인 인물로 설정하고 있고, 또 사회주의적 성향의 지식인은 개혁적이지만 실행력이 결여된 인물로 그려져 있음도 양자의 공통적 특징이다. 기성의 모든 가치체계에 대한 부정에서 출발한 니힐리즘적 세계관과 풍자기법의 활용은 채만식과 투르게네프 문학의 친연성을 가장 여실히 보여준다. 하지만 투르게네프는 지혜로운 농노나 농민, 혹은 민중 출신의 건강한 청년에게서 미래 러시아의 가능성을 읽어내었지만, 해방 후 채만식은 일제 말 대일협력에 대한 자기반성적 문학창작에서 멈추고 있다. 끝내 그의 문학이 낙관적인 전망 획득에 실패한 것은 해방공간에서의 새로운 변혁적 주체를 발견하지 못한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문학은 인물의 성격화, 풍자의 활용, 유려한 서사전개, 화려한 말문장의 구사 등에서 매우 독자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하여 한국근대문학사를 풍요롭게 하고 있다.

keywords
Chae Mansik, Turgenev, nihilism, satire, intelligentsia, Russian literature, an effect relationshi, 채만식, 투르게네프, 니힐리즘, 풍자, 지식인, 러시아문학, 영향관계

Abstract

This article reveals how uniquely Chae Mansik portrayed bourgeois realism with satire and nihilism in his work. It was found that since middle school, Chae read all of Turgenev’s works and was unconsciously influenced by them. In particular, Turgenev’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Yeop‒In‒il‒gi(『獵人日記』, 1852) was found to be highly influential. Chae’s novels are characterized by techniques of satire, nihilism as the spirit or mood and praises of spring, their narrative focus on the main characters, graceful narrative flow, and vivid descriptions of nature and rural scenery. These characteristics are also prevalent in Turgenev’s literature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fe of Chae and his. Turgenev’s novels envision the potentialities of the Russian society’s future through the characters of wise serfs, farmers, and populace rather than greedy landowners or intellectual revolutionists. However, Chae’s novels do not portray any characters that positively influenced reformati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f Korea. Instead, Chae immersed in creating self-reflective novels on his collaboration with Japanese colonialist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keywords
Chae Mansik, Turgenev, nihilism, satire, intelligentsia, Russian literature, an effect relationshi, 채만식, 투르게네프, 니힐리즘, 풍자, 지식인, 러시아문학, 영향관계


참고문헌

1

『개벽』,

2

『문장』,

3

『별건곤』,

4

『삼천리』,

5

『여성』,

6

『조광』.

7

《동아일보》,

8

《매일신보》,

9

《조선일보》,

10

《조선중앙일보》.

11

채만식, 『채만식 단편집』. 학예사, 1939.

12

채만식, 『잘난 사람들』. 민중서관, 1948.

13

채만식, 『채만식전집 1‒10』. 창작과 비평사, 1989.

14

투르게네프 저, 김학수 역, 『사냥꾼의 수기/첫사랑/산문시』. 동서문화사, 2016.

15

투르게네프 저, 전희직 역, 『첫사랑·전날밤』. 혜원출판사, 2003.

16

투르게네프 저, 라승도 역, 『봄 물결』. 지만지, 2008.

17

투르게네프 저, 반광식 역, 『첫사랑·아버지와 아들』. 일신서적출판, 1995.

18

투르게네프 저, 김학수 역, 『처녀지·루딘』. 범우사, 1998.

19

투르게네프 저, 이철 역, 『아버지와 아들·귀족의 보금자리·엽인일기』. 휘문출판사, 1977.

20

권영민·박중소·오원교·이지연, 『한국근대문학의 러시아문학수용』.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21

김병욱 외 엮음, 『도이치 문학 용어 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22

김병철, 『서양번역문학논저연표』. 을유문화사, 1978.

23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1988.

24

김윤식, 『한국근대문학론』. 한길사, 1982.

25

김윤식, 『채만식』. 문학과 지성사, 1984.

26

D. S. 미르스끼 저, 이항재 역, 『러시아문학사』. 문원출판, 2001.

27

마르틴 하이데거 저, 박찬국 역, 『니체와 니힐리즘』. 철학과 현실사, 2000.

28

박경수 편, 『안서 김억 전집 5‒문예비평론집』. 한국문화사, 1987.

29

박정선 편, 『언제나 지상은 아름답다』(임화 산문선집), 역락, 2012.

30

방민호,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소명출판, 2001.

31

이항재, 『소설의 정치학: 뚜르게네프 소설 연구』. 문원출판, 1999.

32

정홍섭, 『채만식, 문학과 풍자의 정신』. 역락, 2004.

33

최동규, 『뚜르게네프 비교문학 비평연구』. 한국문화사, 1998.

34

손성준, 「투르게네프의 식민지적 변용: <사냥꾼의 수기>와 현진건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제54호, 2014. 4, 329‒368쪽.

35

엄순천, 「한국문학 속의 러시아문학」. 『인문학 연구』 제35권 1호, 2008, 93‒121쪽.

36

이종진, 「한국문학의 도스또옙스끼 수용과 그 현재적 의미」. 『인문과학』 29집, 1999, 301‒302쪽.

37

정호웅, 「채만식의 허무주의와 역사담당주체의 문제」. 『외국문학』 18, 열음사, 1989. 3, 232‒248쪽.

38

최동규, 「영웅의 사랑과 죽음: 『그 전야(前夜)』의 주제구성」. 『세계문학비교연구』 제54권, 2016.

39

최인선, 「니힐리즘: 새로운 지식인의 형상: 투르게네프의 『아버지와 아들』」. 『노어노문학』 제27권 제3호, 2015. 9, 119‒146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