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퇴계 이황의 『계몽전의(啓蒙傳疑)』에 나타난 철학적 특징

Toegye Lee Hwang(退溪 李滉)’s Philosophy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1, pp.7-30
https://doi.org/10.25024/ksq.41.1.201803.7
서근식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주희는 『역학계몽』 「서문」에서 상수와 의리를 통합하고 상수 부분의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역학계몽』을 저술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황은 주희의 『역학계몽』을 해설한 『계몽전의』에서 한대 상수역학적 이론들을 상당 부분 받아들이고 있으며, 주희는 정이의 의리역학적 책인 『정씨역전』을 지양하고 있지만 이황은 정이의 의리역학적 부분을 『주역석의』에서 받아들이고 있다. 이황은 『계몽전의』에서 납갑법과 같은 한대 상수역학의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계몽전의』라고 해서 주희의 견해만 따라간다면 『역학계몽』 이상의 해설이 나올 수 없다고 본 것 같다. 그렇다면 이황은 상수역학자인가? 아니면 의리역학자인가? 『계몽전의』의 견해를 보면 상수역학자 같고 『주역석의』를 보면 의리역학자 같다. 그러나 이황의 다른 편지글이나 저작들 속에서는 계속해서 리(理)를 중심에 두고 있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황이 진정으로 『계몽전의』와 『주역석의』를 통해서 주장하고 있는 것은 주희의 도덕형이상학을 보다 강조하고 따라가는 것이었다. 이황의 사상은 『계몽전의』에서는 상수역학, 『주역석의』에서는 의리역학, 그리고 심성론(心性論)으로서의 리(理)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이황은 다양한 관점을 취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하나의 관점으로 요약해본다면 리(理)를 중심으로 하여 상수역학과 의리역학을 통합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Lee Hwang, ZhuXi, Qimengchuanyi, Zhouyisyiyi, Yixueqimeng, Xiangshuyixue, Yiliyixue, Li, 李滉, 朱熹, 啓蒙傳疑, 周易釋義, 易學啓蒙, 象數易學, 義理易學, 理, 이황, 주희, 『계몽전의』, 『주역석의』, 『역학계몽』, 상수역학, 의리역학,


참고문헌

1

이황, 『계몽전의』. 『증보 퇴계전서』(전5책),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2a.

2

이황, 『주역석의』. 『증보 퇴계전서』(전5책),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2b.

3

호광 등, 『주역』. 보경문화사 영인본, 1994.

4

朱熹, 『易學啓蒙』. 『朱子全書』(全27冊). 中國: 上海古籍出版社, 2002a.

5

朱熹, 『周易本義』. 『朱子全書』(全27冊). 中國: 上海古籍出版社, 2002b.

6

朱熹, 『周易參同契考異』. 『朱子全書』(全27冊), 中國: 上海古籍出版社, 2002c.

7

朱熹, 『朱子語類』. 『朱子全書』(全27冊). 中國: 上海古籍出版社, 2002d.

8

黃宗羲, 『易學象數論』. 『黃宗羲全集』(全12冊), 中國: 浙江古籍出版社. 2005.

9

김영남, 「주자와 이퇴계의 『주역』 해석에 보이는 상수의 의미」.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0

김익수, 『주자와 퇴계의 역학사상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11

김익수, 「퇴계의 역학관(Ⅰ): 도·서론(圖·書論)을 중심으로」. 『퇴계학연구』 제3집, 건국대학교퇴계학연구소, 1989. 11.

12

김익수, 「퇴계의 역학관(4): 변점론(變占論)을 중심으로」. 『논문집』 제12집, 한국체육대학교, 1989. 12.

13

김익수, 「퇴계의 역학관(Ⅱ): 괘획(卦畫)의 원리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제14집, 동양철학연구회, 1994. 12.

14

김익수, 「퇴계의 역학관(3): 「명시책(明蓍策)」론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제16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02. 6.

15

서근식, 「朱子 『易學啓蒙』의 體系的 理解」. 『東洋古典硏究』 第43輯, 東洋古典學會, 2011. 6.

16

서근식, 「退溪 李滉의 『啓蒙傳疑』에 대한 體系的 硏究」. 『溫知論叢』 第31輯, 溫知學會, 2012. 4.

17

서근식, 「『주역』 원형이정(元亨利貞) 해석의 비교 연구: 왕필(王弼)·정이(程頤)·주희(朱熹)·정약용(丁若鏞)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제146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3.

18

송인창, 「퇴계 이발설의 역학적 이해」. 『주역연구』 제6집, 한국주역학회, 2001. 8.

19

엄연석, 「李滉의 『啓蒙傳疑』와 象數易學」. 『韓國思想과 文化』 第11輯, 修德文化社, 2001. 3.

20

엄연석, 「退溪學派의 義理易學的 목표와 象數易學」. 『奎章閣』 第26輯,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3. 12.

21

엄연석, 「퇴계 역학사상의 체계와 새로운 연구방향」 『退溪學論集』 第3號, 嶺南退溪學硏究所, 2008. 12.

22

엄연석, 「퇴계의 역학사상에서 象數와 義理의 가역적 전환문제」. 『退溪學과 儒敎文化』 第49輯, 慶北大學校退溪硏究所, 2011. 8.

23

엄연석, 「퇴계 역학 문헌의 상수·의리학적 특성과 미래적 연구방향」. 『退溪學論集』 第17號, 嶺南退溪學硏究所, 2015. 12.

24

이선경,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제28집,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3.

25

이선경,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陽明學』 第28號, 한국양명학회, 2011. 4.

26

임병학, 「退溪의 河圖洛書論과 그 性理學的 의의」. 『退溪學과 儒敎文化』 第46號, 慶北大學校退溪硏究所, 2010. 2.

27

정병석, 「周易에 대한 退溪의 義理的 觀點」. 『退溪學報』 第115輯, 退溪學硏究院, 2004. 6.

28

최정준, 「退溪의 『啓蒙傳疑』에 관한 硏究: 『周易質疑』와 관련하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9

황병기, 「퇴계 이황의 주역학(周易學)과 『주역석의(周易釋義)』」. 『國學硏究』 第25輯, 한국국학진흥원, 2014. 12.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