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Theatrical Costume Depicted in Giwanbyeollok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2, pp.65-98
https://doi.org/10.25024/ksq.41.2.201806.65
Minjoo Le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기완별록』은 1865년 경복궁 중건 당시 거행된 대규모의 공연모습을 기록한 가사집이다. 경복궁 중건은 흥선대원군의 주도하에 추진된 거대한 토목공사였으며, 당시 백성들의 고된 노동을 위로하기 위한 왈자패와 놀이패들의 공연이 펼쳐졌다. 복식은 연희를 이해하는 가장 일차적인 시각정보이다. 따라서 각 인물들의 복식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연희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각 인물 속으로 몰입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완별록』에 등장하는 왈자패와 놀이패를 중심으로 각 인물들의 복식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완별록』에 등장하는 연희패는 중인 및 하층계급에 해당하는 인물들로 복식사분야에서도 가장 연구가 미흡한 부분이다. 이에 『기완별록』에 수록된 왈자패와 놀이패의 복식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조선시대 복식문화를 풍부하게 하는 동시에 조선후기 연희를 복원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Giwanbyeollok, Noripae, Waljapae, Waljapae, Reconstruction of Kyeongbokgung, 기완별록, 놀이패, 왈자패, 연행복식, 경복궁 중건


Reference

1

『문종실록』.

2

『연산군일기』.

3

『정조실록』.

4

『고종실록』.

5

『경국대전』.

6

『임하필기』.

7

『연려실기술』.

8

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두산동아, 2005.

9

강명관,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민족문학사연구』(2), 1992, 181‒207쪽.

10

김현정, 「노장과장의 연행방식 변화가 주제에 미친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1

박세연, 『조선시대 산대 기관인형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2

박윤미·임소연,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복식』(66), 2016, 1‒12쪽.

13

박은빈, 「경복궁 중건가사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4

사진실, 「산희와 야희의 공연 양상과 연극사적 의의」. 『고전희곡연구』 3집, 한국고전회, 2001, 251‒302쪽.

15

윤주필, 「경복궁 중건 때의 전통놀이 가사집 『기완별록』」. 『문헌과 해석』 9호, 문헌과 해석사, 1999, 197‒232쪽.

16

이민주, 「옥소 권섭의 학창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004, 269‒279쪽.

17

정형호, 「경복궁 중건과 안성 바우덕이의 관련성 고찰」. 『한국민속학』(53), 한국민속학회, 2011, 173‒211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