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한글본 가상존호 책문의 제작 배경과 특성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Hangeul Investiture Letters Conferring Additional Posthumous Titles on the Royalty of the Joseon Dynas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3, pp.191-216
https://doi.org/10.25024/ksq.41.3.201809.191
김봉좌 (서울시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글본 가상존호책문(加上尊號冊文)의 제작 배경을 이해하고, 그 형태적 특징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글 책문의 성격과 용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전하는 한글본 가상존호책문은 총4건으로, 1866년(고종 3) 2월 10일에 국왕 고종이 대왕대비 신정왕후·왕대비 효정왕후·대비 철인왕후를 위하여 각각 존호를 올린 책문 3건, 1890년(고종 27) 2월 11일에 왕세자가 왕비 민씨(명성황후)를 위하여 존호를 올린 책문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글 책문은 국왕 및 비빈에게 올리는 내입건(內入件), 낭독을 담당하는 여관을 위한 이습건(肄習件), 여성 집사의 소지건(所持件)으로 구분 제작되었는데, 가상존호 책문은 모두 비빈에게 올리는 내입건에 해당된다.

keywords
한글 문헌(Hangeul manuscripts), 책문(investiture letter), 존호(posthumous title), 가상존호의례(posthumous title‒conferring rite), 조선 왕실 의례(Joseon royal rite)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Hangeul‒written investiture letters that confer additional posthumous titles on the royalty of the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ir production background, physical features and contents. There are a total of four extant Hangeul investiture letters that confer ancillary posthumous titles on particular individuals of the Joseon Dynasty. Three of them record King Gojong's conferral of additional posthumous titles on Great Royal Dowager Queen Shinjeong, Queen Dowager Hyojeong, and Queen Mother Cheolin on February 10, 1866. The other letter, written by the crown prince on February 11, 1890, confers a posthumous title on his mother, Queen Myeongseong. In general, investiture letters were produced in Hangeul for three purposes: as court documents presented to the king, the queen, and royal consorts for their approval; as practice materials by which a designated court matron rehearsed reading the contents of funerary rituals; and as preservation materials for the court matron. All existing Hangeul investiture letters that confer additional posthumous titles are court documents presented to queens.

keywords
한글 문헌(Hangeul manuscripts), 책문(investiture letter), 존호(posthumous title), 가상존호의례(posthumous title‒conferring rite), 조선 왕실 의례(Joseon royal rite)


참고문헌

1

「孝裕獻聖王大妃加上尊號冊文」. 장서각 K2‒4158.

2

「明憲大妃加上尊號冊文」. 장서각 K2‒4057.

3

「明純大妃加上尊號冊文」. 장서각 K2‒4056.

4

「명셩황후상됴호옥문」. 장서각 K2‒4047.

5

「문조비신정왕후가상존호옥책」. 국립고궁박물관 종묘13406.

6

「헌종계비효정왕후가상존호옥책」. 국립고궁박물관 종묘13440.

7

「철종비철인왕후가상존호옥책」. 국립고궁박물관 종묘13456.

8

「고종비명성왕후가상존호옥책」. 국립고궁박물관 종묘13471.

9

「翼宗妃·憲宗妃·哲宗妃上尊號玉冊文」. 규장각 奎27379.

10

「高宗加上尊號玉冊文」. 장서각 K2‒4030‒4032.

11

「神貞王后加上尊號玉冊文」. 장서각 K2‒4097.

12

「孝定王后加上尊號玉冊文」. 장서각 K2‒4164/4168.

13

「明成皇后上尊號玉冊文」. 장서각 K2‒4045/4943.

14

「대왕대비뎐 가샹존호보 친젼의」. 장서각 K2‒2801.

15

「경인이월십일일 뎐마마 존호시 비관 긔」. 장서각 왕실고문서 1682.

16

「경인이월십일일 냥뎐마마 존호시 비관 긔」. 장서각 왕실고문서 1686.

17

『尊崇都監儀軌』. 규장각 奎13448.

18

『加上尊號都監儀軌』. 규장각 奎13473.

19

『藏書閣韓國本解題: 史部16』.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6.

20

『藏書閣韓國本解題: 史部1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7.

21

『장서각한글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 2000.

22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6.

23

김봉좌, 『조선시대 유교의례 관련 한글문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4

김봉좌, 「순조대 진작 의례와 한글 기록물의 제작: 1827년 慈慶殿進爵儀禮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통권140호, 2015, 151‒179쪽.

25

김봉좌, 「綏嬪 朴氏 한글 冊文의 제작 배경과 특성」. 『진단학보』 제129호, 2017, 153‒179쪽.

26

김종수, 「왕대비 加上尊號儀의 의례와 음악: 정조대(1776‒1800) 『尊號都監儀軌』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제47집, 2011, 71‒107쪽.

27

김종수, 「조선시대 大殿·中殿 尊號儀禮의 변천과 用樂 고찰」. 『한국음악사학보』 제49집, 2012, 143‒179쪽.

28

김종수, 「조선시대 대왕대비·왕대비 尊號儀禮의 변천과 用樂 고찰」. 『한국음악연구』 제52집, 2012, 5‒37쪽.

29

장을연, 「冊文의 筆寫本에 관한 서지학적 고찰」. 『서지학보』 제33호, 2009, 185‒213쪽.

30

장을연, 『朝鮮時代 冊文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1

최영희, 「조선시대 한글 필사본 『整理儀軌』 서체의 특징 연구」. 『서예학연구』 제23호, 2013, 173‒204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