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selection of Korean culture educational elements for Mongolian learners: through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3, pp.217-243
https://doi.org/10.25024/ksq.41.3.201809.217
KIM MUN-GI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Because learning a foreign language per se is a process of being acquainted with the culture of the country, Korean cultural factors in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teaching as well so that L2 Korean learners can use them to express themselves in proper context. Particularly, due to the different cultural bases between Mongolia’s nomadic life style of Mongolia and Korea’s sedentary life style, it is essential to employ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and pedagogic method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help the Mongolian‒speaking learners of Korean overcome the differences. For Mongolians, it seems effective to use Mongolian tales, considering that their language learning is based on storytelling rather than through books. First, we select 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which are deemed meaningful for the teaching of Korean culture. Educational values are extract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elements implicated in the tales, which are then selected for educational contents. In Section Ⅱ, we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by reviewing some previous studies which examine Korean cultural education using folktales. In Section Ⅲ, literary works of 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are carefully classified and selected based on several criteria such as summary, structure and corresponding theme. In Section Ⅳ, useful cultural aspect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re identified from the chosen folktales of both countries,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shed light on through motif analysis. By engaging in diverse activities which highligh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ultural elements in Mongolian and Korean tales,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ers can achieve a comparative understanding of Mongolian and Korean cultures and on that basis,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nfidence.

keywords
몽골·한국 설화(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한국 문화 교육(Korean cultural education), 비교·대조(comparison and contrast), 교육 내용(educational contents), 화소 분석(motif analysis), 한국 문화 교육 요소(Korean culture educational elements), 활동(activities)


Reference

1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171‒192쪽.

2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12, 90‒103쪽.

3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 국립국어원, 2016, 15‒168쪽.

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편)』. 국립민속박물관, 2012.

5

데. 체렌소드놈 편저, 이안나 역, 『몽골의 설화』. 문학과 지성사, 2007.

6

박갑수,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교육』. 역락, 2013.

7

박영순,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림출판사, 2006.

8

박환영, 『몽골의 유목문화와 민속』. 민속원, 2005.

9

박환영, 『몽골의 전통과 민속 보기』. 박이정, 2008.

10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 2014.

11

설성경·박태상,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새문사, 1988, 8‒73쪽.

12

신주철,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문학교육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3

이창식,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역락, 2008.

14

임경순, 『한국어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의 이해』. HUFS BOOKS, 2009.

15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91, 15‒74쪽.

16

장장식, 『몽골유목민의 삶과 민속』. 민속원, 2005.

17

최운식, 『한국인의 삶과 문화』. 보고사, 2006.

18

카트린 푀게‒알더 저, 이문기 역, 『민담, 그 이론과 해석』. 유로서적, 2009.

19

한미라·전경숙, 『한국인의 생활사』. 일진사, 2011.

20

강현화,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요구 조사: 문화교재 개발을 위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1, 연세대학언어교육원 한국어학당, 2006, 99‒128쪽.

21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 155, 국어국문학회, 2010, 39‒78쪽.

22

권오경,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 내용 구축 방안」. 『언어와 문화』 5‒2, 한국언어문화 교육학회, 2009, 49‒72쪽.

23

김동환, 「공유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31, 국어교육학회, 2008, 297‒321쪽.

24

김민주, 「설화를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5

김은지, 「한국어교사 대상 문화 교육과정 연구: 일반대학원 문화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6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1997, 317‒325쪽.

27

김형복·이행선,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 구성 방안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18,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ㄱ, 189‒211쪽.

28

김형복·이행선,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민족문화』 65,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ㄴ, 3‒26쪽.

29

김혜진, 「설화를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고전문학과 교육』 2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249‒278쪽.

30

백봉자, 「문화 교육 자료의 개발 방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1,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006, 1‒23쪽.

31

서희정, 「도깨비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16‒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8, 185‒206쪽.

32

송용실, 「한국어 문화 교육의 실태와 교육 방향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교육 관점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3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 ‘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정신문화연구』 31‒4,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07‒130쪽.

34

안주호·투무르바트 툽싱바야르, 「몽골 현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동악어문학』 68, 동악어문학회, 2016, 253‒277쪽.

35

안희은,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6

오윤선, 「한국문화교육 제재로서의 설화의 선정과 교재화 방향」. 『고전문학과 교육』 31,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113‒143쪽.

37

윤승준·황인덕, 「한·몽설화의 비교: 爭年說話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22, 비교민속학회, 2002, 233‒260쪽.

38

이가원,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 활용방안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45, 한국문예비평학회, 2014, 379‒415쪽.

39

이성희,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9, 257‒271쪽.

40

이행선, 『한국과 몽골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1

임효례, 「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배달말 교육』 32, 배달말교육학회, 2012, 129‒158쪽.

42

장장식, 「한국과 몽골 설화의 비교연구: 비교연구의 현황과 몽골설화의 특징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33, 비교민속학회, 2007, 199‒228쪽.

43

정연숙, 「문학텍스트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양상」. 『국어교과교육연구』 21,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361‒385쪽.

44

정희정, 「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중국인 초·중급학습자 대상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5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한국언어문화학』 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04, 199‒219쪽.

46

하은하,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의 <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31, 서울여대 인문과학연구소, 2017, 73‒116쪽.

47

D.OTGONTSETSEG, 「蒙·韓 구비문학에서 말[馬]이 지니는 의미와 상징」. 『Journal of Korean Culture』 13,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71‒97쪽.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Other articles from this issue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