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덧배기의 동작 분석에 의한 특성 연구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utbeki dance through movement analysi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3, pp.393-420
https://doi.org/10.25024/ksq.41.3.201809.393
최흥기 (경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예부터 전래되어온 덧배기는 경상도 지역의 서민들이 생활 속에서 즐겼던 향토춤이며, 자유롭고 다양한 몸짓으로 추었던 허튼춤이다. 이 춤은 경상도 각 지역마다 풍속에 의한 차이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마다 다르고 지역적 풍속마다 다르게 표현되는 경상도 덧배기의 동작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정리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 이 춤은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서민들의 생활 풍습과 동떨어진 춤이 되었고, 이제는 보호하고 전승해야만 하는 희소한 춤이 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이 연구는 먼저 경상도 지역에서 다양하게 추어왔던 허튼춤의 동작을, 지난 시대의 사진 자료에 나타난 신체 형상을 분석하고, 이를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그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함께 사라져가는 이 지역의 비형식적인 춤을 체계화하고 전승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keywords
덧배기(Dutbeki), 허튼춤(Huttonchum), 배김새(Beakimse), 경상도 민속춤(Kyungsangdo folk dance), 울산덧배기(Ulsan Dutbeki)

Abstract

Dutbeki, which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past, is a local dance enjoyed by the folks of Kyungsangdo Province. It is a type of Huttonchum dance performed with free and varied bodily gestures. Because of different local customs existent in various parts of the region, Dutbeki dance shows distinct features from performer to performer and from locale to locale. This makes it rather cumbersome to analyze in an orderly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movements. Today, with rapid changes in social circumstances, the dance has become disconnected from the life of local folks. These days it is rarely performed, so it requires an urgent attention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for survival. At this juncture, my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movements of Huttonchum, which is performed in wide variations in Kyungsangdo Province. Bodily motions appearing in photographic images from the previous era are examined for systematic compil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I hope that this work provides a sound basis to facilitate its transmission to the next generations and thereby save it from the danger of extinction amidst the rapid progression of social change.

keywords
덧배기(Dutbeki), 허튼춤(Huttonchum), 배김새(Beakimse), 경상도 민속춤(Kyungsangdo folk dance), 울산덧배기(Ulsan Dutbeki)


참고문헌

1

『예기(禮記)』.

2

『소학(小學)』.

3

『포박자(抱朴子)』.

4

김온경, 『한국민속무용연구』. 형설출판사, 1982.

5

송석하, 『韓國民俗考』. 日新社, 1960.

6

이두현, 『한국연극사』. 학연사, 1991.

7

정병호, 『韓國의 傳統춤』. 집문당, 1999.

8

김진곤, 「현곡 이유수의 「매귀악(埋鬼樂)의 연구와 복원」에 대한 고찰」. 『울산매귀악』, 울산중구문화원, 2011, 67‒100쪽.

9

국립국어원, 표준어국어대사전(http://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10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front=A38F679151584A177EC6D259FA0E95EB).

11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front=A38F679151584A177EC6D259FA0E95EB).

12

경주어 대사전(http://saturi767.tistory.com/1483).

13

경주어 대사전,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aturi76&logNo=80113438703).

14

동래야류, 제작연도 1969년, 16mm 기록영화, 국립무형유산원(https://www.youtube.com/watch?v=bGqW4ThMksE&t=613s).

15

제작연년도 1965년, 16mm 기록영화, 고성오광대, 마산대학 부설 가라문화연구소 소장 김용태교수, 보관: 국립무형유산원(https://www.youtube.com/watch?v=p9‒gzAPRK2M&t=3073s).

16

진주검무, 국립무형유산원 디지털 아카이브(https://www.youtube.com/watch?v=aS2MwosPQho).

17

Daum(한국어)(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108630&supid=kku000134848).

18

Daum(한국어),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112145&supid=kku000139305#kku000139305).

19

송석하, 「朝鮮各道民俗槪觀」. 『新東亞』, 50‒56호, 1935년 12월‒1936년 8월.

20

송석하, 「鳳山탈춤 座談會」. 『朝光』, 1937년 3월, 58‒69면.

21

송석하, 「地神밟기舞踊」. 『新東亞』, 50‒56호, 1935년 12월‒1936년 8월.

22

송석하, 「民俗舞踊展望」. 《京鄕新聞》, 1946년 12월 19일자.

23

송석하, 「五廣大劇及 野遊劇」. 《東亞日報》, 1935년 7월 6일자.

24

정상박: 2016년 10월, 울산박물관 앞 식당에서 좌담 회식 후에.

25

조동일: 2016년 7월 14일, 울산상고 울산부모교육협동조합 주최 강연 질의에서.

26

김덕명(1924‒2015, 경남무형문화재 3호): 1995년 6월, 자택에서 「기방에 대한 담화」.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