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3·1 운동기의 ‘평화’사상: 조소앙과 한용운을 중심으로

The March 1st Movement and ‘Peace’ Thought: Focus on Cho So-ang and Han Young-woo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4, pp.39-66
https://doi.org/10.25024/ksq.41.4.201812.39
이지원 (대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은 1919년 3·1 운동 시기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자 지식인이었던 조소앙과 한용운의 ‘평화’ 표상과 지향을 살펴본 것이다. 이는 3·1 운동을 통해 한국근대사상사에서 평화사상이 진전되는 것을 구명하는 것인 동시에, 20세기 세계평화사에서 동아시아 평화사상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3·1 운동기 한국 지성들이 표상하고 지향하였던 ‘평화’는 서구 열강들의 ‘평화의 발명’이나 ‘전쟁이 없는 상태’의 평화 개념을 넘어서는 내용이었다. 그것은 제국주의의 식민지에 대한 억압적·폭력적 지배를 반대한 평화사상이었으며, 인간에 대한 차별과 억압이 없는 ‘적극적 평화’와 인권으로서 ‘평화권’을 지향하였다. 또한 글로벌(global) 평화와 함께 동아시아 역내 국가 간의 평등과 독립이 유지되는 글로컬(glocal) 평화라는 이중 과제의 해결을 지향하였다. 조소앙과 한용운이 표상하고 지향한 평화는 내적으로 국민주권과 외적으로 주권 국가 간의 평등을 전제로 하였다. 민주민권이 중심이 된 조선의 독립은 동양평화·세계평화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다. 조소앙이나 한용운은 평화를 근대적 국민임을 자각하고 동양평화와 인류평등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표상하고 지향하였다. 그것은 평화시위와 같은 방법론적인 평화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생각과 시대의 품격을 보여주는 원리적 가치로서의 평화였다. 원리적 가치로서 평화사상은 동아시아의 사상적, 종교적 통합의 면모도 보이고 있었다. 3·1 운동기 사상과 실천에서 시대와 함께 했던 조소앙이나 한용운의 ‘평화’는 베르사이유의 조약 같은 정치적 협상으로 얻어지는 평화가 아니라, 평등, 민주, 민권의 평화라는, 오늘날에도 적용되는 보편적인 가치로서의 평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또한 보편적 가치를 저항의 수단으로 동원하며 식민지민의 생존과 독립을 지향한 정치적 담론이자, 세계시민의식을 지향한 평화사상이었다.

keywords
3·1 운동(March 1st Movement), 조소앙(Cho So-ang), 한용운(Han Young-woon), 평등과 민권의 평화(peace for equality and civil rights), 세계평화(world peace), 동양평화(East Asia peace), 대동평화(Daedong peace)


참고문헌

1

姜德相, 『現代史資料 26: 三一運動篇(2)』. 東京: みすず書房, 1967.

2

국가보훈처 편,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1): 국제연맹 편』. 1991.

3

국가보훈처, 『미주한인 민족운동자료』. 1998.

4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1990.

5

정원택, 『志山外遊日誌』. 탐구당, 1983.

6

『소앙선생문집』 상·하. 삼균학회, 1979.

7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8

『韓龍雲全集』 1, 2. 불교문화연구원, 1973.

9

구대열, 『한국국제관계사연구 1』. 역사비평사, 1995.

10

김기승, 『조소앙이 꿈꾼 세상』. 지영사, 2004.

11

마이클 하워드 저, 안두환 역, 『평화의 발명: 전쟁과 국제질서에 대한 성찰』. 전통과현대, 2000.

12

빌헬름 얀센 저, 한상희 역,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5: 평화』. 푸른역사, 2010.

13

서울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편, 『종교와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4

와타나베 히로시·박충석 편, 『한국·일본, ‘서양’』. 아연출판부, 2008.

15

요한 칼퉁 저, 강종일 외 역,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16

이리에 아키라, 『20세기의 전쟁과 평화』. 연암서가, 2016.

17

이호재 편, 『한반도 평화론』. 법문사, 1989.

18

하영선 외,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개념 형성사』. 창작과비평사, 2009.

19

하영선 편, 『21세기 평화학』. 풀빛, 2002.

20

홍선희, 『조소앙의 삼균주의 연구』. 부코, 2014.

21

E. H. Carr, Twenty Years' Crisis, 1919‒1939. NewYork: Harper and Bow, 1964.

22

Peter N. Stearns, Peace in World History . Routledge: NewYork & London, 2014.

23

家永三郞, 『日本平和論大系1』. 東京: 日本圖書センタ, 1993.

24

강재언, 「사상사에서 본 3·1 운동」. 『근대 한국사상사 연구』. 한울, 1983, 237‒273쪽.

25

김용직, 「3·1 운동의 정치사상」. 『동양정치사상사』 4‒1, 2005, 47‒66쪽.

26

김희곤, 「신한청년당의 결성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 1986, 141‒175쪽.

27

박찬승, 「3·1 운동의 사상적 기반」.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편, 『3·1 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1989, 407‒439쪽.

28

삿사 미츠아키, 「조소앙의 대동사상과 아나키즘」. 『한국종교』 40, 2016, 221‒246쪽.

29

서굉일, 「조소앙의 육성교와 21세기 문명」. 『삼균주의 연구논집』 19, 1999, 155‒179쪽.

30

신용하, 「3·1 독립운동 발발의 경위: 초기 조직화단계의 기본과정」. 윤병석·신용하·안병직 편, 『한국근대사론』 2, 지식산업사, 1977, 156‒180쪽.

31

이동기, 「평화사란 무엇인가」. 『역사비평』 106, 2014, 16‒36쪽.

32

이보연, 「3·1 운동에 있어서 민족자결주의의 도입과 이해」. 『3·1 운동 50주년 기념논집』 동아일보사, 1969, 378‒399쪽.

33

이예안, 「‘영원평화’의 기대지평과 근대한국: 일본제국주의 기획과 칸트의 세계시민주의 이상」. 『개념과 소통』 17, 2016, 40‒85쪽.

34

이지원, 「역대 한국정부의 3·1절 기념사를 통해 본 3·1 운동의 표상과 전유: 정신적 측면을 중심으로」. 『서울과역사』 99, 2018, 243‒281쪽.

35

임재성, 「평화권, 아래로부터의 만들어지는 인권」. 『경제와 사회』 91, 2011, 167‒210쪽.

36

장인성, 「3·1 운동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정의와 평화」. 『대동문화연구』 67, 2009, 435‒477쪽.

37

전상숙, 「‘평화’의 적극적 의미와 소극적 의미: 3·1 운동 심문조서에 드러난 ‘민족대표’의 딜레마」. 『개념과 소통』 4, 2009, 35‒61쪽.

38

조동걸, 「3·1 운동의 이념과 사상」. 『3·1 운동과 민족통일』, 동아일보사, 1989, 11‒44쪽.

39

조동걸.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1917년의 <대동단결선언>」. 『한국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연구』, 지식산업사, 1989, 314‒338쪽.

40

허수, 「20세기초 평화론」. 『역사비평』 106, 2014, 37‒68쪽.

41

홍이섭, 「3·1 운동의 사상사적 위치」(1969). 『홍이섭전집』 6,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77‒85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