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동양화론(東洋畵論)에서 ‘사(似)’개념의 자의성(恣意性) 고찰 -형사(形似)·신사간(神似間)에 존재하는 ‘사(似)’의 개념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rbitrariness ‘likely(似)’ concept on the theory of oriental painting: Focused on ‘likely(似)’ concept existed between the shape copied·mentally copied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1, pp.229-250
https://doi.org/10.25024/ksq.42.1.201903.229
권윤희 (한국외국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동양화론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심미용어가 형사(形似)·신사(神似)이다. 형사·신사는 회화를 형(形)·신(神)의 측면에서 심미함으로 나타난 미학개념이다. 회화에서 형사(形寫)가 하나의 방법이며 행위라면 형사(形似)는 인식과 심미의 결과이다. 형사·신사의 개념은 동양회화의 창작원리이면서 심미·품평의 기준도 된다. 특히 중형사(重形似)·중신사(重神似)는 형사를 중시하느냐 신사를 중시하느냐의 방향에 따라 정해지는 상대성의 개념이다. 이는 결국 감상자의 감상과 인식에 따를 수밖에 없는 개념이다. 동양 회화에서 형사·신사의 관점은 이를 감상하는 감상자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감상자의 관점과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를 동양화론에서 ‘사(似)’의 자의성(恣意性)으로 본다. 그러므로 ‘사(似)’개념에서 자의성은 감상자의 이론적인 심미공간이다. 감상하는 행위도 창조행위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동양화론(東洋畵論)의 형사(形似)·신사간(神似間)에 존재하는 ‘사(似)’는 감상자의 독자적인 감상행위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사(似)’의 자의(字意)가 자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keywords
심미(審美, aesthetic), 형사(形似, shape copied), 신사(神似, mentally copied, 사 개념(似, ‘likely’ concept), 자의(恣意, dixit)


참고문헌

1

『荀子』,

2

『周易』,

3

『韓非子』,

4

『東坡全集』,

5

『史記』,

6

『淮南子』,

7

『齊白石, 畵集序』,

8

『文心雕龍』,

9

『周易正義』,

10

『弘明集』,

11

『朱子語類』.

12

敏澤, 『中國文學理論 批評史』. 誠信女子大學校 出版部, 2008.

13

韋政通, 『中國哲學モ辭典』. 大林出版社, 1978.

14

張法, 『中國美學史』. 푸른숲, 2012.

15

張少康, 『中國古典文學創作論』. 法人文化社, 2000,

16

蔡儀 저, 강경호 역, 『文藝美學』. 東文選, 1989.

17

顧愷之, 「魏晉勝流畫贊」. 上海人民出版社, 1985.

18

鄧椿, 『畵繼』. 中國人民出版社, 1995.

19

王微, 『敍畵』. 中國人民出版社, 1995.

20

王履, 『華山圖序』. 中華書局, 1973.

21

周羽, 『文人畵의 審美品格』. 武漢大學出版社, 2006.

22

張彦遠, 『歷代名畵記』. 中國人民出版社, 1995.

23

張函·張中秋, 『國學擧要』. 湖北敎育出版社, 2000.

24

宗白華, 『藝境』. 北京大學 出版社, 2005.

25

宗炳, 「畵山水序』. 中國人民出版社, 1995.

26

朱景玄, 『唐朝名畵錄』. 中國人民出版社, 1995.

27

楊成寅, 『石濤畵學』. 陜西師範大學出版社, 2004.

28

姜一涵, 『石濤畵語錄 硏究』. 中國文化大學出版社, 中華民國 76.

29

陳明, 『審美意識 價値論』. 安徽大學出版社, 2006.

30

黃凱鋒, 『審美價値論』. 云南大學 出版社, 2005.

31

林同華, 『中華美學大辭典』. 安徽敎育出版社 2002.

32

段玉裁, 『說文解字注』. 天工書局印行, 中華民國 76.

33

葉朗, 『中國美學史大綱』. 上海人民出版社, 1985.

34

安永吉, 『宋代 畵論에 나타난 形神論 硏究』.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