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신여성을 둘러싼 기표와 현실 -장혁주와 백신애-

The Image and Reality of New Woman: In the Case of Chang Hyeok Chu and Baek Sin A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1, pp.251-282
https://doi.org/10.25024/ksq.42.1.201903.251
이진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을 둘러싼 기표와 현실의 문제에 대해 장혁주와 백신애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당시 식민지 조선을 풍미했던 신여성 기표에 내재된 주체성의 담론 효과를 살펴보는 동시에 장혁주와 백신애의 존재방식에 대해 호명기제와 수행성의 맥락에서 젠더론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백신애 모델소설은 제국과 식민지의 남성 간 상상되고 공유된 ‘신여성 판타지’이면서, 장혁주의 식민지 남성성을 재구성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문화 장치였다. 그러나 장혁주는 이 과정에서 자기모순에 빠지면서 자신의 젠더/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실패하였다. 반면 백신애에게 신여성이라는 기표는 호명되는 정체성이나 담론 구성물이 아니라 주체 구성의 장소이자 질문의 대상이었다. 또한 그녀는 담론 구성물/실체로서 신여성이라는 주체 위치에 대해 수행/연기를 통해 전유함으로써 현실의 여성 주체가 될 수 있었다. 즉 장혁주가 실패한 바로 그 지점에서, 백신애는 역설적으로 성공하였던 것이다.

keywords
신여성(New Woman), 호명기제(Naming Mechanism), 수행성(Performativity), 모델소설(Model Novel), 장혁주(Chang Hyeok Chu), 백신애(Baek Sin Ae)

Abstract

This paper inquires Chang Hyeok Chu and Baek Sin Ae as the problem of image and reality about new woman in colonial Joseon. For this purpose, I tried to reveal the discourse effect of new woman based on Chang Hyeok Chu and Baek Sin Ae between the naming mechanism and performativity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Baek Sin Ae model novel was a cultural device for reconstructing the colonial masculinity of Chang Hyeok Chu, as well as a ‘new woman fantasy’ imagined and shared between empire and colonial man. However, in this process, Chang Hyeok Chu failed to form his own gender/ethnic identity while falling into self contradiction. On the other hand, the sign of new woman was not the identity or discourse composition, but the place of subject composition and questioning to Baek Sin Ae. In addition, she was able to become the female subject of reality by appropriating through the discourse composition/reality about the subject position of the new woman as the performativity/acting of the discourse. In other words, at the very point where Chang Hyeok Chu failed, Baek Sin Ae succeeded paradoxically.

keywords
신여성(New Woman), 호명기제(Naming Mechanism), 수행성(Performativity), 모델소설(Model Novel), 장혁주(Chang Hyeok Chu), 백신애(Baek Sin Ae)


참고문헌

1

『만국부인』,

2

『별건곤』,

3

『삼천리』,

4

『신여성』.

5

게릴라걸스 저, 우효경 역, 『그런 여자는 없다: 국민여동생에서 페미나치까지』.후마니타스, 2017.

6

게일 루빈 저, 신혜수·임옥희·조혜영·허윤 역, 『일탈: 게일 루빈 선집』. 현실문화, 2015.

7

구모룡 엮음, 『백신애 연구』. 도서출판 전망, 2011.

8

김경일, 『신여성, 개념과 역사』. 푸른역사, 2016.

9

김경일 외, 『한국 근대 여성 63인의 초상』.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

10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식민지조선의 신여성 담론과 젠더정치, 1920‒1934』.소명출판, 2009.

11

나카네 타카유키 저, 건국대학교 대학원 일본문화언어학과 역, 『‘조선’ 표상의 문화지: 근대 일본과 타자를 둘러싼 지(知)의 식민지화』. 소명출판, 2011.

12

레윈 코넬 저, 안상욱·현민 역, 『남성성/들』. 이매진, 2013.

13

백신애기념사업회 편, 『슈크림』. 만인사, 2010.

14

서영인·이승신 엮음, 『백신애, 소문 속에서 진실 찾기: 일제강점기 대표적 여성작가 백신애를 모델로 한 일본어 소설 연구』. 한티재, 2017.

15

심진경, 『여성과 문학의 탄생』. 자음과 모음, 2015.

16

연구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 『매체로 본 근대 여성 풍속사: 신여성』. 한겨레신문사, 2005.

17

우에노 치즈코 저, 나일등 역,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2.

18

유선영, 『식민지 트라우마: 한국 사회 집단 불안의 기원을 찾아서』. 푸른역사,2017.

19

이중기, 『방랑자 백신애 추적보고서』. 도서출판 전망, 2014.

20

이중기 엮음, 『백신애 선집』. ㈜현대문학, 2009.

21

임지현·사카이 나오키, 『오만과 편견』. 휴머니스트, 2003.

22

주디스 버틀러 저, 조현준 역,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23

주디스 버틀러 저, 유민석 역, 『혐오 발언』. 알렙, 2016.

24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편, 『친일인명사전③』. 민족문제연구소, 2009.

25

한지희, 『우리시대 대중문화와 소녀의 계보학』.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5.

26

권오현, 「백신애 소설의 전형기 신여성 형상화 양상」. 구모룡 엮음, 『백신애 연구』, 도서출판 전망, 2011, 211‒226쪽.

27

김연숙, 「사적 공간의 미시 권력, 소문」. 태혜숙 외 편,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여성공간』, 도서출판 여이연, 2004, 214‒240쪽.

28

김지영a, 「경계인의 정체성과 모성 강박」. 구모룡 엮음, 『백신애 연구』, 도서출판전망, 2011, 152‒189쪽.

29

김지영b, 「‘개척’과 ‘갱생’, ‘신민‒되기’ 사이의 미묘한 거리: 장혁주의 <어느 독농가의술회><순례><개간>을 중심으로」. 『만주연구』 15, 2013, 207‒233쪽.

30

김학동, 「일본으로 귀화한 장혁주의 삶과 문학」. 『일본어문학』 47, 2010, 201‒220쪽.

31

노지승, 「사랑이라는 이름의 이념과 혁명: 백신애 글쓰기와 삶에 대한 주석달기」. 『구보학보』 18, 2018, 1‒46쪽.

32

박종홍, 「신여성의 ‘양가성’과 ‘집 떠남’ 고찰」. 『한민족어문학』 48, 2006, 307‒332쪽.

33

배경민, 「식민지 조선의 모더니티에 대한 양가적 정서 구조 연구: <미몽>의 멜로드라마적 특징을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16, 2010, 153‒178쪽.

34

신승모, 「도쿄 이주(1936년) 후의 장혁주 문학에 나타난 정체성의 모색: 연속과변용의 이해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30, 2006, 321‒358쪽.

35

이승신, 「이시카와 다쓰조의 작품에 나타난 조선인 여성 표상: 소설 <봉청화>를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47, 2012, 193‒210쪽.

36

한승우, 「자기변명의 문학: 백신애를 모델로 한 장혁주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74, 2018, 199‒233쪽.

37

홍기돈, 「백신애가 지향한 이념의 방향과 문학 좌표의 설정」. 구모룡 엮음, 『백신애연구』, 도서출판 전망, 2011, 29‒49쪽.

38

Sedgwick, Eve Kosofsky, Between Men: English Literature and Male Homosocial Desir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2016).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