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411년 제주도 간본 『논어(論語)』의 서지학적 연구

A Bibliographic Study on Analects of Confucius, a Printed Book of 1411 on Jeju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1, pp.33-53
https://doi.org/10.25024/ksq.42.1.201903.33
김민현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논어』는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보관된 오채현 소장 자료 중 하나이다. 본서는 1411년 제주도안무사 김정준(金廷儁, ?‒?)이 제주도민들을 교화하기 위해 간행하여 향학에 반포한 것이며 그 저본은 당시 생원이었던 고득종(高得宗, 1388‒1452)이 소장한 ‘『집석(輯釋)』 선본(善本)’이다. 이는 예사의(倪士毅, 1303‒1348)가 편찬한 『사서집석(四書輯釋)』 가운데 『논어집석(論語輯釋)』 20권을 의미한다. 예사의의 『사서집석』은 현재 원나라 지정(至正) 연간에 건양(建陽)의 일신당(日新堂)에서 간행된 원간본과 명나라에서 간행한 판본(1406년 博雅堂刊本, 1440년 詹氏進德堂本) 등이 전해지는데, 본서는 초기에 간행된 원간본 계통을 저본으로 삼았음을 연구를 통해 밝힐 수 있었다. 또한 본서에는 간행에 동원된 각승(刻僧) 16인, 교정(校正)에 성균유학(成均幼學)과 성균생원(成均生員) 3인, 감독관 1인이 기록되어 당시 간행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1411년 제주도 간본 『논어』는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현전본 논어 중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의 판본으로 확인되어 주목할 만하다.

keywords
논어(論語, Analects of Confucius), 사서집석(四書輯釋, Saseojipseok), 고득종(高得宗, Goh Deuk‒jong), 김정준(金廷儁, Kim Jeong‒jun), 예사의(倪士毅, Ye Sa‒ui), 제주도(濟州島, Jeju Island)

Abstract

The Analects of Confucius introduc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materials owned by Oh Chae‒hyeon and housed at the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It was published and distributed to Hyanghak(鄕學) to enlighten the people of Jeju Island by Kim Jeong‒jun(金廷儁,?‒?), who was the Anmusa(安撫使) of the island in 1411. Its original script was the “Seonbon of Jipseok(輯釋 善本)” owned by Goh Deuk‒jong(高得宗,1388‒1452), who was an esquire at that time. It consists of 20 volumes of Noneojipseok(論語輯釋) of Saseojipseok(四書輯釋) published by Ye Sa‒ui(倪士毅,1303‒1348), which was transmitted in the original publication version published by Ilsindang(日新堂) of Geonyang(建陽) during the Jijeong(至正) years of Yuan dynasty and in the woodblock‒printed version[Bakadangganbon(博雅堂刊本) in 1406 and Cheomssijindeokdangbon(詹氏進德堂本) in 1440] published in Ming.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book was based on the original publication version published in the early days. There were 16 Gakseongs(刻僧) mobilized in its publication, three Seonggyun Yuhaks(成均幼學) and Saengwons(成均生員) in its correction, and one supervisor, which helps to estimate the size of its publication. Saseojipseok(四書輯釋), which is the original script of the book, is considered as one of the greatest works to reflect the academic character of the Sinan school(新安學派) and the Ihak(理學) ideology. It is also noteworthy as the earliest woodblock‒printed book among the currently available versions of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nation.

keywords
논어(論語, Analects of Confucius), 사서집석(四書輯釋, Saseojipseok), 고득종(高得宗, Goh Deuk‒jong), 김정준(金廷儁, Kim Jeong‒jun), 예사의(倪士毅, Ye Sa‒ui), 제주도(濟州島, Jeju Island)


참고문헌

1

『太祖實錄』.

2

『太宗實錄』.

3

倪士毅, 『論語』.

4

倪士毅, 『中庸朱子或問』.

5

正祖, 『弘齋全書』.

6

成海應, 『硏經齋全集』.

7

나카스나 아키노리 저, 강영매 역, 『우아함의 탄생: 중국 강남 문화사』. 민음사, 2009.

8

中國國家古籍保護中心 編, 『第三批國家珍貴古籍名錄圖錄』. 北京: 國家圖書館出版社, 2012.

9

고창석, 「元明交替期의 濟州島: 牧胡亂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4, 1985, 1‒24쪽.

10

金昌賢, 「고려‒조선초 탐라고씨의 동향」. 『한국중세사연구』 7, 1999, 279‒319쪽.

11

김충열, 「性理學의 東漸 과정: 朱子學 持入을 기점으로」. 『南冥學硏究論叢』 12, 2003, 1‒52쪽.

12

박철상, 「조선 최고의 병서 제주도판 黃石公素書의 출현과 의미」. 『문헌과 해석』45, 2008, 265‒274쪽.

13

安賢珠, 「조선시대에 간행된 漢文本 『論語』의 板本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24, 2002, 311‒344쪽.

14

양기석, 『四書大全에 인용된 학자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5

오창림, 「조선 초기 고득종(1388‒1452)의 시문과 서예 연구」. 『탐라문화』 54, 2017, 237‒263쪽.

16

윤봉택, 「제주지방의 조선시대 출판문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이강한, 「13‒14세기 고려와 원제국의 탐라(제주) 정책」. 『한국학논총』 48, 2017, 73‒123쪽.

18

T. 테무르, 「明初 유배지로서 탐라: 운남 몽골인의 타향살이 역정을 중심으로」. 『濟州島硏究』 48, 2017, 27‒48쪽.

19

顧永新, 「從四書輯釋的編刻看四書學學術史」. 『北京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版)』43, 2006, 104‒113쪽.

20

김호, 「《四書輯釋》在韓國的編刻與其學術內涵」. 『中國文學』 94, 2018, 49‒63쪽.

21

문화재청(http://www.cha.go.kr/).

22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23

한국고전번역원종합DB(http://db.itkc.or.kr/).

24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https://www.nl.go.kr/korcis/).

2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26

搜韻網 影印古籍資料(https://sou‒yun.com/).

27

國立公文書館(http://www.archives.go.jp/).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