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f Changeological Ground on Feng Shui Ethic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2, pp.297-339
https://doi.org/10.25024/ksq.42.2.201906.29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풍수계의 현실은 풍수 윤리관이 풍수 이론체계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풍수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윤리관의 철학적 지반(地盤)이 『주역』에 있음을 밝히고, 『주역』의 인간관과 윤리관에 대한 역학적 해석을 토대로 풍수 윤리관을 새롭게 정초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풍수 고전에 나타난 윤리관을 논의의 출발로 삼고, 특히 오늘날 풍수 윤리관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 주목하여 비판적 검토를 하려 한다. 이것은 풍수 윤리관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지반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풍수 윤리관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지반구축을 위해 풍수의 기둥이 된 역학(易學)과의 관계를 주목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풍수는 역학의 큰 틀 아래서 이론적 사유체계를 갖추었고 역학을 응용하여 이론적 원리를 구축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각도에서 태극(太極), 도(道), 건(乾), 곤(坤), 성명(性命) 등의 역학적 개념과 범주를 토대로 역학적 사유에 나타난 인간의 본성(本性)과 윤리도덕(倫理道德)의 근거와 원리를 집중적으로 논의하려고 한다. 역학적 개념과 범주를 통해 인간의 본성(本性)이란 천도(天道)가 인간에 내재된 것이며, 윤리 도덕의 근거는 비록 성(性)을 매개로 하고 있지만, 인간을 넘어서는 초월적 존재인 도(道)에 그 지반을 두고 있다는 철학적 논점들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keywords
풍수 윤리관(ethics), 철학적 지반(philosophical ground), 역학적 개념(changeological concept), 인간의 본성(human nature), 윤리도덕의 근거(principles of ethics and morals)


Reference

1

『老子』,

2

『大學』,

3

『中庸』.

4

『朱熹集』 卷 36, 「答陸子靜」.

5

곽신환, 『주역의 이해』. 서광사, 2010.

6

고회민 저,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7

김동규 역저, 『인자수지』(前). 명문당, 2008.

8

복응천 저, 신평 譯註, 『고전 풍수학 설심부』. 관음출판사, 1997.

9

유교사전편찬위원회, 『유교대사전』. 박영사, 1990.

10

윤홍기, 『땅의 마음』. 사이언스북스, 2011.

11

이홍우, 『성리학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4.

12

채성우 원저, 김두규 역해, 『명산론』. 비봉출판사, 2010.

13

채원정 著, 양금국 点校, 류보동 主編, 『圖注 發微論』. 내몽고인민출판사, 2010.

14

최창조, 『땅의 논리 인간의 논리』. 민음사, 2006.

15

최창조, 『최창조의 새로운 풍수이론』. 민음사, 2014.

16

하효흔 저, 태극풍수지리연구회 역, 『중국 풍수사』. 논형, 2014.

17

胡舜申 저, 金枓圭 역주, 『地理新法』. 비봉출판사, 2005.

18

김연재, 「乾坤의 合一로부터 본 『역전』의 審美的 人間學: 善과 美의 일치와 윤리적교화」. 『유교사상연구』 제28집, 2007, 155‒182쪽.

19

최창조, 「한원진의 一原分殊의 역학방법론과 人物性異論의 논법: 太極圖의 해석을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제55집, 2013, 513‒554쪽.

20

김혜정, 「중국 풍수지리학의 사상적 연원」.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1

김흥곤, 「대학 캠퍼스의 입지와 공간 구성에 관한 풍수지리적 분석」. 영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6.

22

박정해, 「풍수 발복론의 역사적 전개와 한계성 비판」. 『한국사상과 문화』 제84집, 2016, 438‒463쪽.

23

신영대, 『『주역』의 응용역학 연구: 象數易의 術數文化現象을 中心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4

오석종, 「『周易』의 倫理 敎育的 意味 論意에 대한 一考察」. 『주역철학과 문화』제1권, 2003, 362‒391쪽.

25

박광서, 「유성룡의 선대 음・양택에 관한 풍수지리적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6

林甲娘, 「음택풍수설화연구」. 『한국학논집』 제13집, 1986, 153‒176쪽.

27

정병석, 「역경 상징체계의 함의」. 한국주역학회편, 『주역의 현대적 조명』, 범양출판부, 1992, 219‒245쪽.

28

최영진, 『역학사상의 철학적 탐구: 『주역』의 음양대대적 구조와 중정사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a.

29

최창조, 「「繫辭傳」에 있어서의 善의 성립근거: ‘繼之者善’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9b, 17‒29쪽.

30

최창조, 「『周易』 『十翼』의 性論에 관한 고찰」. 『동양철학』 제3호, 1992, 7‒16쪽.

31

홍보남, 『한국 풍수설화에 나타난 풍수이론 특징』.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