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심훈의 시조관과 시조의 변모 과정 연구

A Study on Sim Hun’s Perspective on Sijo and Change Process of Sim Hun’s Sijo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3, pp.121-156
https://doi.org/10.25024/ksq.42.3.201909.121
허진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심훈이 남긴 시조의 현황과 그의 시조관 및 시조의 변모 양상과 주제를 검토하였다. 첫째, 심훈이 남긴 시조는 총 27편이며, 그가 남긴 시조의 작품 수는 연시조를 개별 작품으로 본다면, 더 늘어날 수도 있다. 둘째, 심훈은 「프로문학에 직언 1, 2, 3」에서 음풍영월 식의 시조, 사군자 뒤풀이에 지나지 않는 시조를 배격하고, 시조에 ‘새로운 혼’을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서 ‘새로운 혼’이란 실생활에서 비롯하는 실감실정의 정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필경사잡기」에서 심훈은 자신을 남구만 및 임포와 대비하며, 농촌을 음풍영월의 대상으로 삼기 위해 당진에 온 것이 아님을 밝혀두었다. 셋째, 심훈의 시조 세계는 개인적 기록에서 공적인 기록으로, 애국심 등의 추상적인 관념의 세계에서 농촌의 구체적인 현실로 나아가는 지향을 보인다. 1920년의 일기에 삽입된 그의 시조는 개인적 우정을 다루고 있는데 반해, 1930년대에 발표된 「항주유기」 시조에 심훈은 조국과 민족에 대한 식민지 청년으로서의 자기의식을 표현했다. 그리고 1933‒1934년 무렵에 발표한 농촌을 다룬 시조에서 심훈은 그 자신이 「프로문학에 직언 1, 2, 3」에서 밝혔던 시조에 대한 입장을 실천하는 한편, 식민지 농촌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keywords
심훈(Sim Hun), 시조관(Perspective on Sijo), 「항주유기」(“Hangzhouyugi”), 시조(Sijo), 농촌(Farming Village), 『심훈 시가집』(『Sim Hun’s Poetry and Songs』)


참고문헌

1

《동아일보》,

2

《중외일보》.

3

심 훈, 『심훈문학전집』. 탐구당, 1966.

4

심 훈, 『그날이 오면: 심훈 시가집 친필 영인본』. 맥, 2013.

5

심 훈, 『심훈 전집』. 글누림, 2016.

6

최남선, 『百八煩惱』(영인본). 한국학연구소, 1987.

7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02.

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2005.

9

최원식 외, 『韓國 近代 文學史의 爭點』. 창작과 비평, 1990.

10

김준, 「심훈 시조 연구」. 『열상고전연구』 59집, 2017, 167‒191쪽.

11

신웅순, 「심훈 시조고(考)」. 『한국문예비평연구』 36집, 2011, 183‒200쪽.

12

유병석, 「沈熏의 生涯 硏究」. 『국어교육』 14권, 1968, 10‒25쪽.

13

정은경, 「심훈 문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2000년대 이후 새로운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67집, 2018, 227‒255쪽.

14

주인, 「‘심훈’ 문학 연구 방법에 대한 서설」. 『어문논집』 34집, 2006, 249‒269쪽.

15

하상일, 「심훈과 중국」. 『비평문학』 55호, 2015, 201‒231쪽.

16

하상일, 「심훈의 중국체류기 시 연구」. 『한민족 문화연구』 51집, 2015, 75‒108쪽.

17

하상일, 「심훈의 「항주유기」와 시조 창작의 전략」. 『비평문학』 61호, 2016, 203‒226쪽.

18

하상일, 「심훈의 생애와 시세계의 변천」. 『동북아 문화연구』 49집, 2016, 95‒116쪽.

19

하상일, 「심훈과 항주」. 『현대문학의 연구』 65권, 2018, 71‒96쪽.

20

한기형, 「습작기(1919‒1920)의 심훈」. 『민족문학사연구』 22권, 2003, 190‒222쪽.

21

하상일, 「‘백랑(白浪)’의 잠행, 혹은 만유: 중국에서의 심훈」. 『민족문학사연구』35권, 2007, 438‒460쪽.

22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http://www.nl.go.kr/newspaper).

23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http://newslibrary.naver.com).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