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후기 관상감(觀象監) 관원의 친족 네트워크와 결속

The Kinship Network and Unity of Gwansanggam(觀象監) Government Offici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3, pp.45-86
https://doi.org/10.25024/ksq.42.3.201909.45
나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후기 관상감 관원의 명단인 『운관선생안(雲觀先生案)』을 중심으로, 음양과 중인들의 관직 중심 친족 네트워크를 추출하고, 이들이 강력한 결속을 다지고 있었던 현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강력한 결속력은 한편으로 자신들 집단만의 지식과 관직의 독점적 양태를 드러냈지만 이와 함께 관상감 업무의 전문성을 계승하고 유지하는 효과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관상감 관원의 친족 네트워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은 단순히 대에 걸친 세전 양상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형제와 외척(外戚), 처가(妻家) 관계 등 다양한 혈연 네트워크를 통해 결속을 다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들의 결속이 기술・지식의 전승과 삼역관이라는 일종의 전문지식체계를 구성하여 전문성을 유지하는 효과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조기교육을 통해 가내에서 해당 직종의 전문가로서 훈련받았고, 역서 편찬을 위해 협업으로 간행에 참여하여야 했는데, 이들은 평소 친족 네트워크로 결속된 친밀한 인사들이었다. 이들 관상감 관원은 이러한 그들만의 지식을 담보로 ‘삼역관(三曆官)’이라는 다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전문지식집단을 구성하였다. 이들이 강력한 세전과 통혼으로 친족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은 이와 같은 집단지식체계를 구축하여 지식을 온전히 계승하고 나아가 발전시키는 토대로 삼으려 한 것이었다. 전근대시대에서의 지식전달은 이처럼 동일한 친족 내부에서 계승하는 것이 효율적이었으므로, 이와 같은 집단지식체계 구축을 위해 강력한 결속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천문학 업무의 집단지식체계는, 기본적으로 가계 지식의 전승을 기반으로 역서의 협동 간행으로 이어져, 음양과 중인이 조선시대 내내 관련 지식을 양성하며 조선 사회의 중요한 한 축을 유지시켜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결속이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사례는, 이들 전문직 중인이 이해관계로 묶인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집단의 모습도 존재했지만, 이뿐 아니라 기술과 지식을 상호 전수하며 집단 내부의 협동을 중시했던 전통도 분명 공존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관상감(觀象監, Gwansanggam: The Royal Astronomical Bureau), 음양과(陰陽科, yin and yang), 중인(中人, Jungin), 선생안(先生案,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잡과(雜科, Japkwa), 잡과방목(雜科榜目, The list of People who passed the Japkwa exam), 운관선생안(雲觀先生案, The list of the Gwansanggam Government official), 결속(結束, unity), 인적 네트워크(human Network), 친족 네트워크(Kinship Network), 관원(官員, government official)


참고문헌

1

『雲觀先生案(규장각, 古大5120‒131)』.

2

『삼역청선생안(규장각, 古大5120‒135)』.

3

『서운관지』.

4

『대전통편』.

5

『經國大典』.

6

『雲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45]).

7

『잡과방목‒觀象監榜目』(규장각[古4652.5‒16]).

8

『雲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45]).

9

『운과방목(雲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1751]).

10

『雲觀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大 5120‒130]).

11

『陰陽科榜目』(일본 東洋文庫[Ⅶ‒2‒266]).

12

『姓源綠(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영인 제13호)』.

13

김두헌, 『조선시대 기술직 중인 신분 연구』. 경인문화사, 2013.

14

김양수, 『조선후기 중인 집안의 발전』. 백산자료원, 2008.

15

서울역사박물관, 『웃대, 중인 문화를 꽃피우다』. 서울역사박물관, 2010.

1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한국근현대이행기 중인 연구』. 신서원, 1999.

17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 중인 연구』. 이회문화사, 1999.

18

전용훈, 『한국천문학사』. 들녘, 2017.

19

경석현, 「조선후기 천문학겸교수의 활동과 그 의미」. 『동방학지』 176, 2016, 121‒152쪽.

20

김두헌, 「19세기 운학 완천 합격자와 그들의 가계」. 『전북사학』 33, 2008, 143‒183쪽.

21

나일성・오완탁・오용해・나사라, 「7대에 걸친 관상감 관원 집안」. 『한국기상학회가을학술대회 초록집』, 2015, 446‒447쪽.

22

백옥경, 『조선전기 역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3

안상현, 「김영과 1792년에 출간된 새로운 『보천가』」. 『천문학논총』 26, 2011, 147‒157쪽.

24

이남희, 「조선시대 잡과방목의 자료적 성격」. 『고문서연구』 12, 1998, 121‒158쪽.

25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 교육의 변화와 특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3, 2014, 33‒63쪽.

26

이수동, 『조선시대 음양과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7

정옥자, 「조선후기의 기술직중인」. 『진단학보』 61, 1986, 45‒63쪽.

28

허윤섭, 「조선후기 관상감 천문학 부문의 조직과 업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