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From April Revolution to the 2017 Candlelight Protest: Street Democracy and the 60‒year democratic Revolution in Korea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0, v.43 no.1, pp.85-132
https://doi.org/10.25024/ksq.43.1.202003.85
Lee Wan Bo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1960년 봄부터 시작하여 1980년 봄, 1987년 6월, 2016‒2017년 촛불시위로 거리에서 50여년간 이어진 혁명은 단속적(斷續的)이었지만 민주화 추구라는 면에서 계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50여년 간의 장기혁명(2020년에도 거리 시위는 현재진행형이므로 ‘60년 혁명’이라고 확대해석할 수 있다)은 ‘민주화를 열망하는 비조직 민중에 의한 단속적(斷續的) 계승혁명’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4・19에서 86세대・촛불로 이어진 장기혁명은 바로 세대를 넘은 혁명인 것이다. 이 연구는 개별적 혁명사례만을 따로 고찰하는 기존의 단절적인 현대한국혁명사례연구를 하나로 이어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한국현대혁명은 1960년 봄과 1980년 광주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비폭력적이고 평화적인 명예혁명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또한 한국의 ‘60년민주화혁명’은 비조직 민중이 주도했으므로 비폭력적이고 평화적인 혁명이 될 수 있었다. 따라서 ‘비조직, 비폭력, 단속적 계승혁명’은 한국현대혁명이 가지는 독특한 3대 특성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keywords
4・19(April Revolution), Candlelight Protest, 386 generation, Candlelight generation, democratization, revolution, generation, intermittent-yet-successive revolution, Korea’s 60‒year democratic Revolution, unorganized Minjung, non‒violence, Democracy in the Streets, 4・19, 촛불시위, 386세대, 촛불세대, 민주화, 혁명, 세대, 단속적(斷續的) 계승혁명, 한국60년민주화혁명, 비조직 민중, 비폭력, 거리 시위


Reference

1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4.

2

김선기, 『청년팔이 사회: 세대론이 지배하는 일상 뒤집기』. 오월의 봄. 2019.

3

김원, 『민주노조, 노학연대 그리고 변혁』.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

4

김정훈・심나리・김항기 저, 우석훈 해제, 『386 세대유감: 386세대에게 헬조선의 미필적고의를 묻다』. 웅진지식하우스. 2019.

5

박재흥, 『한국의 세대문제』. 나남. 2005.

6

박태순・김동춘, 『1960년대의 사회운동』. 까치. 1991.

7

우석훈・박권일, 『88만원 세대: 절망의 세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레디앙. 2007.

8

이정식 편, 『해방30년사 3: 제2공화국』. 성문각. 1976.

9

이철승,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 지성사. 2019.

10

이해영 편, 『1980년대 혁명의 시대』. 새로운 세상. 1999.

11

전상진, 『세대 게임: ‘세대 프레임’을 넘어서』. 문학과 지성사. 2018.

12

정대철, 『장면은 왜 수녀원에 숨어 있었나』. 동아일보사. 1997.

13

정성호, 『20대의 정체성』. 살림출판사, 2006.

14

한국사회학회 편, 『한국사회의 세대문제』. 나남, 1990.

15

홍성태 글, 노순택 사진, 『생각하는 한국인들을 위한 반미 교과서』. 당대. 2003.

16

한윤형, 『키보드 워리어 전투일지 2000‒2009』. 텍스트, 2009.

17

김경화, 「촛불집회와 태극기집회: 한국 사회와 데모」. 김경화, 이토 마사아키, 『21세기 데모론: 변화를 이끄는 유쾌하고 떠들썩한 저항의 미디어, 데모』, 눌민. 2018, 37‒58쪽

18

안병욱, 「‘촛불혁명’과 세계의 혁명사」. 한국학중앙연구원・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한국프랑스사학회 공동주최 2019년도 3・1운동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프랑스혁명에서 ‘촛불혁명’까지: 혁명의 세계사를 향하여](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6. 28).

19

오제연, 「이완범, 「4월 혁명과 세대」에 대한 토론문」. 한국학중앙연구원・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한국프랑스사학회 공동주최 2019년도 3・1운동 100주년 기념국제학술회의[프랑스혁명에서 ‘촛불혁명’까지: 혁명의 세계사를 향하여](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6. 28).

20

이규봉, 「79년 인간연구반 80년 서클연합회」. 자유교양50주년편집위원회 편, 『연세자유교양』, 청아출판사, 2019, 86‒93쪽.

21

이철승, 「세대, 계급, 위계: 386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Generation, Class, and Hierarchy: 386‒Generation in Power and Increase in Inequality)」. 『한국사회학』 53집 1호, 2019, 1–48쪽.

22

이헌환, 「전환기의 보훈 정책: 국가 정체성의 재정립을 위한 시론」.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주최 학술토론회(약산 김원봉의 독립운동에 대한 현재적 검토), 2019년 4월 1일.

23

정헌목, 「미완 혹은 진행 중인 혁명: 촛불 이후 한국사회의 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한국프랑스사학회 공동주최 2019년도 3・1운동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프랑스혁명에서 ‘촛불혁명’까지: 혁명의 세계사를 향하여](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6. 28).

24

Lee, Hyeon Woo, “Political Implication of Candle 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Korea Observer, vol. 40 no. 3. 2009, pp. 495‒526.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