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Park Eun’s Poems with Title of “Yeonghujeongja” and the Concealment Establishment of Yeongbojeong in Boryeong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0, v.43 no.3, pp.469-501
https://doi.org/10.25024/ksq.43.3.202009.469
Kim, Myung-Ra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영보정(永保亭)은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충청수영성에 소재하는 정자이며, 읍취헌 박은(揖翠軒 朴誾)은 조선최고 시인으로 추앙받는 인물로써 1503년에 「영후정자(營後亭子)」 5수를 이 영보정에서 지었다. 이 시는 읍취헌의 대표작으로써 이후 사백년 동안 영보정 제영시의 전범으로 존숭되었으며, 이 시의 유명세에 따라 영보정은 전국적인 명정자의 반열에 오르게 되고 충청수영은 천하의 명승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이렇게 영보정과 「영후정자」 시는 불가분의 관계로써 당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목대상이지만 그 시제(詩題)가 왜 그렇게 작정(酌定)되었는지 그 원인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아니하였다. 이에 따라 박은은 어찌하여 「영후정자」 시가 어떤 정자의 제영시(題詠詩)임에도 그 정자를 당당하게 내세우지 못하고, 실체가 아닌 허상(虛像)을 내세워야 했는지에 대한 이유와 당시에 정치적 요인에 대하여 밝혀보고자 한다. 조선 시대 사회에서 사화(士禍)나 정쟁의 옥사(獄事)에서의 멸문(滅門)과 참혹한 극형 집행은 사람들에게 공포감을 극대화시켜 주어 생각만 해도 치를 떨게 하였고, 사화(史禍)의 사례는 문인들에게 있어 글을 쓸 때에는 신중하게 앞뒤로 재보고 또 생각해 본 후에 붓을 잡도록 생활화되어 있었다고 본다. 왜 「영후정자(營後亭子)」라고 시제를 붙였을까 라는 과제는 ‘영보정은 1504년 이량(李良)이 처음 지은 것이 아니라, 1468년 강순(康純)이 창건했다’는 김명래(2019)의 영보정 강순 창건에 관한 주장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박은은 「영후정자」를 지을 때 영보정이 36년 전에 강순이 창건했던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을 것이다. 박은 이후에 영보정 제영시를 지은 문인들도 이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일언반구도 언급하지 않았던 것은 그 시대의 불문율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강순은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류 되어 사형당한 대역 죄인인데, 그가 창건한 영보정을 시의 제목으로 어떻게 쓸 수 있겠는가. 지금까지 문인들은 박은의 시에 관련된 연구나 영보정에 관련된 연구에서, 「영후정자」라는 시제가 왜 그래야 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었겠지만, 그 인과 관계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추적하지는 아니하였다.

keywords
영보정(永保亭), 박은(朴誾), 「영후정자(營後亭子)」, 강순(康純), 충청수영(忠淸水營), Yeongbojeong, Park Eun, Yeonghujeongja, Kang Soon, Chungcheongsooyeong


Reference

1

李孟休, 『蛾述錄』, 奎章閣 所藏 古 3436‒13.

2

李宜茂, 「永保亭記」, 『蓮軒雜稿』.

3

홍순석, 『박은 시문학 연구』. 한국문학사, 2004.

4

구본현, 「충남 보령의 永保亭 題詠詩 연구」. 『한국한시연구』 20권 20호, 2012, 337‒372쪽.

5

구지현, 「朴誾 詩의 文藝美 硏究」.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

김명래, 「충청수영 영보정의 遊息과 詩境 공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획계) 34권 8호, 2018. 77‒86쪽.

7

김명래, 「보령 영보정 창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획계) 35권 2호, 2019, 105‒114쪽.

8

김은정, 「읍취헌 박은의 교류와 유람의 한시 천마잠두록」. 『한국한시작가연구』 4권, 1999, 201‒229쪽.

9

김현주, 「읍취헌 박은 시의 풍격 연구」. 『한문학논집』 23권, 2004, 33‒55쪽.

10

이세혁, 「保寧永保亭 題詠詩 硏究」.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1

이재숙, 「內浦 지역 누정문학 연구: 忠淸水營의 永保亭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34권, 2016, 285‒317쪽.

12

전용숙, 「박은 한시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13

정민규, 「읍취헌 박은의 한시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