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Korean Linguistic Study on English‒Korean Dictionary, Corean Words and Phrases(1902)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1, pp.327-364
https://doi.org/10.25024/ksq.44.1.202103.327
Dongkyong Ju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하지(J.W.Hodge)가 1902년에 개정증보하여 발행한 『Corean Words and Phrases』의 체재 및 표제어와 기술부에서 제공된 정보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1902)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가 낯선 영어 사용자가 간단한 의사소통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으며 하지(1902)의 표제어 선정및 의미 기술은 철저히 이러한 편찬 목적과 대상 독자를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첫째, 전문어나 고유어보다는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기초어휘를 대상으로표제어를 선정하였다. 둘째, 한국어 자모의 로마자 표기법을 제안하고, 한국어대응어와 한국어 관용어구, 한국어 예문의 발음을 한국어의 음운 현상을반영하여 로마자로 표기하였다. 셋째, 영어와 한국어의 문법적 차이를 기술하고, 문법(문장 종결법, 높임법)과 의미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대응어를 보여주었다. 또한 많은 수의 예문을 제공하여 사전에 등재된 표제어를 한국어로 발화하고 문장 안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하지(1902) 는 영한사전이지만 표제어와 관련하여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1,000개가넘는 한국어 어휘와 표현 및 그에 대한 영어 기술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지(1902)는 표제어나 대응어의 한국어와 관련한 언어적 정보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표제어가 어떠한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갖고 있는지도 여러 가지형식을 차용해 비교적 자세히 설명하였다.

keywords
개화기, Corean Words and Phrases(1902), 영한대역사전, 표제어 선정, 의미 기술, Enlightment Period, Corean Words and Phrases(1902), English‒Korean Dictionary, the selection of headwords, the semantic description


Reference

1

Gale, James Scarth, 『韓英字典한영뎐(A Korean‒English Dictionary)』. Yokohama: Kelly & Walsh, 1897.

2

Gale, James Scarth, 『三千字典(Present day English‒Korean: Three Thousand Words)』. 京城: 朝鮮耶蘇敎書會, 1924.

3

Hodge, John W. Corean Words and Phrases: Being a Handbook and Pocket Dictionary for Visitors to Corea and New Arrivals in the Country(2nd Edition). Seoul: The Seoul Press‒Hodge & Co, 1902.

4

Jones, George Heber, 『英韓字典영한자뎐(An English‒Korean Dictionary)』. Tokyo, Japan: Kyo Bun Kwan, 1914.

5

Scott, James, English‒Corean Dictionary: Being a Vocabulary of Corean Colloquial Words in Common Use. Corea: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 1891.

6

Underwood, Horace Grant, 「Part Ⅱ. An English‒Korean Dictionary」, 『韓英字典한영자뎐(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in Two Parts Korean‒English & English‒Korean )』. Yokohama: Kelly & Walsh; London: Trubner & Co, 1890.

7

Underwood, Horace Grant& Underwood, Horace Horton, 『英鮮字典(An English‒Korean Dictionary )』. 京城: 朝鮮耶蘇敎書會, 1925.

8

Les Missionnaires de Corée,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韓佛字典(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Yocohama: C. Lévy Imprimeur‒Libraire, 1880.

9

김민수, 『全訂版 新國語學史』. 일조각, 1996.

10

김남신 외,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호랑이, 늑대, 표범의 서식분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2‒4, 2019, 35‒45쪽.

11

남길임, 「부표제어의 범위와 유형」. 『한국사전학』 9, 2007, 143‒161쪽.

12

박대헌, 「개화기조선어사전의 출판구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3

양명희, 「띄어쓰기 변천을 통해 본 의식 연구」. 『국어국문학』 163, 2013, 197‒223쪽.

14

윤애선, 「LEXml을 이용한 『한영자전(1911)』의 지식베이스 설계: 『한불뎐(1880)』과의 통합적 지식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불어불문학연구』 87, 2011, 343‒399쪽.

15

이은령, 「개화기의 이중어사전: 『불한사전』과 『한불자전』에 나타난 화용정보와 언어사용역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15‒30쪽.

16

이응호, 「외국인의 사전편찬사업」. 『명지어문학』 7, 1975, 15‒28쪽.

17

이준환,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와 국어 어휘 및 번역어 고찰: 공통 표제어 대응 어휘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80, 2012, 401‒444쪽.

18

정동경, 「한국어 대역사전 비교 연구: 19세기 말‒20세기 초에 간행된 한영사전의 거시구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90, 2020, 51‒96쪽.

19

조남호, 「서양인 편찬의 개화기 대역사전에 대한 종합적 검토: 어휘 연구 자료의 관점에서」. 『국어사연구』 22, 2016, 47‒80쪽.

20

한성우, 「『한불자전』과 『한영자전』의 로마자 표기법 연구」. 『한국학연구』 58, 2020, 235‒264쪽.

21

황호덕, 「번역가의 왼손, 이중어사전의 통국가적 생산과 유통」. 『상허학보』 28, 2010, 93‒145쪽.

22

황호덕・이상현, 「번역과 정통성, 제국의 언어들과 근대 한국어」. 『아세아연구』 54‒3, 2011, 41‒97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