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지역 문화 자료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의 교수-학습 내용과 활동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Using Local Cultural Material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4, pp.153-186
https://doi.org/10.25024/ksq.44.4.202112.153
김문기 (경성대학교)
최경안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특정 지역의 문화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 교육에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교수‒학습의 내용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먼저 단원 개발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①모든 지역 문화 자료의 활용, ②다른 문화 자료로의 확장 가능, ③읽기 자료로 제시, ④지역 문화와 한국 문화의 이해, ⑤모든 시・공간적 자료의 활용, ⑥학습자 중심의 활동, ⑦고급 수준의 학습자 대상 등이다. 그리고 단원 구성 방안은, ①학습 목표 제시, ②해당 지역의 소개, ③지역 문화에 대한 본문 텍스트의 제시, ④본문 텍스트와 관련된 확장된 읽기 자료의 제시, ⑤각 텍스트에 해당하는 읽기 확인 문제, 문법과 표현 문제, 문화 활동 등의 제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원 개발의 원칙과 구성 방안을 바탕으로 ‘경주’ 지역의 ‘석굴암’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단원 구성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지역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 전반에 관련된 학습자 주도적인 문화 활동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한국 문화 교육, 지역 문화, 교수‒학습 내용, 경주, 석굴암, Korean Culture Education, Regional Culture, Teaching‒Learning Contents, Gyeongju, Seokguram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method of Korean culture education by using local cultural materials, especially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ing contents and activities.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using cultural materials of a specific region,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eaching‒learning. First, the basic principles of unit development are as follows. ①Use of all local cultural materials, ②expandability to other cultural materials, ③main text is presented as reading materials, ④understanding local and Korean culture, ⑤use all temporal and spatial materials, ⑥learner‒centered activities, ⑦learner's level is advanced. In addition, the unit composition plan includes: ①the presentation of the aims of the lesson, ②an introduction to the region, ③the presentation of the main text on the local culture, ④the presentation of extended reading materials related to the main text, and ⑤the presentation of reading verification problems, grammar and expression problems, cultural activities, etc. for each text. Based on this, an example of the actual unit composition was presented targeting ‘Seokguram’ in Gyeongju.

keywords
한국 문화 교육, 지역 문화, 교수‒학습 내용, 경주, 석굴암, Korean Culture Education, Regional Culture, Teaching‒Learning Contents, Gyeongju, Seokguram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 <우리말샘>(opendic.korean.go.kr).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stdict.korean.go.kr).

3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 1‒8』(증보판). 하우, 2019.

4

국립국어원, 『한국어와 한국문화 중급 1』. 하우, 2020.

5

국립국어원, 『한국어와 한국문화 중급 2』. 하우, 2020.

6

국립국어원,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1』. 하우, 2020.

7

국립국어원,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하우, 2020.

8

나찬연·권귀숙·김문기·김미애·차도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읽기』. 오미, 2019.

9

세종학당재단, 『세종한국문화 1』. 다락원, 2017.

10

세종학당재단, 『세종한국문화 2』. 다락원, 2020.

11

이행선·김형복·김문기, 『중국과 한국 설화로 배우는 한국어&한국 문화』. 오미, 2019.

12

임수경·강소영·신정아,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 대학 문화』. 이모션북스, 2020.

13

장은경 외, 『일 년 열두 달 한국문화』. 역락, 2020.

14

조항록 외, 『문화가 있는 한국어 읽기 1‒6』. 다락원, 2019.

15

김금숙,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한국문화 수업 사례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제13권 제1호, 2016, 1‒29쪽.

16

김문기·이행선,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요소 연구」. 『정신문화연구』 제41권 제3호, 2018, 217‒242쪽.

17

김영순, 「지역문화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제8호, 2006, 127‒148쪽.

18

김용남,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지역학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2020, 127‒139쪽.

19

김윤주, 「언어‒내용 통합 교육을 위한 CALLA 모형 적용 방안」. 『한국어문교육』 제32호, 2020, 287‒313쪽.

20

김정은, 「한국 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콘텐츠의 활용 방안 연구」. 『교육문화연구』 12호, 2006, 219‒238쪽.

21

김진호, 「중·상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실천방안」. 『리터러시연구』 제11권 3호, 2020, 193‒219쪽.

22

김형복·이행선,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 구성 방안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18, 2017, 189‒211쪽.

23

남궁정·김견훤, 「문학공간 답사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교육 방안 연구」. 『문화와 융합』 제41권 2호, 2019, 581‒614쪽.

24

민정호·전한성, 「지역 맞춤형 융합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제10집 2호, 2016, 279‒308쪽.

25

박지애,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문화와 융합』 제40권 4호, 2018, 267‒290쪽.

26

박현진,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 내 문화 구성 체계 분석」. 『한민족문화연구』 71, 2020, 351‒374쪽.

27

백승국·이미정, 「지역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안」. 『중등교육연구』 54권 2호, 2006, 123‒144쪽.

28

이선이,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법」. 『한국어 교육』 14권 1호, 2003, 153‒171쪽.

29

이유경,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재의 문화 제시 양상 연구: 교재의 유형과 출판 시기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ean Culture』 52권, 2021, 163‒194쪽.

30

이은희, 「한국문화교육 자료로서 무속신화의 활용 방안」. 『어문논집』 제72집, 2017, 475‒510쪽.

31

이희정,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 역사문화 교육방안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제64집, 2019, 1‒30쪽.

32

진대연, 「한국 문화 교육의 개선을 위한 역사 문화 교육과정 시론」. 『교육문화연구』 제21‒4호, 2015, 141‒177쪽.

33

진대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지역문화 활용에 대한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19권, 2016a, 153‒174쪽.

34

진대연,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교수 설계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제38집, 2016b, 223‒252쪽.

35

진대연,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제15권 제3호, 2018, 243‒270쪽.

36

차윤정, 「한국어교육에서 지역 자료를 활용한 역사문화 교육 방안」. 『우리말연구』 59집, 2019, 203‒227쪽.

37

황혜연·서은숙,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위한 「한국사회이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 방안」. 『다문화와 평화』 제12집 1호, 2018, 134‒156쪽.

38

경주시청 홈페이지(www.gyeongju.go.kr/tour).

39

남한 관광지도 엽서(www.notefolio.net/eunbi/47163).

40

지역N문화 홈페이지(www.nculture.org).

4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