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 송남잡지』

Data Literacy Education and ‘Songnamjapji’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4, pp.187-220
https://doi.org/10.25024/ksq.44.4.202112.187
최원재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데이터 사회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이에 맞는 창의력 교육에도 주목해야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데이터 리터러시의 특징 중에서 데이터 큐레이션은 데이터를 배열하는 데 있어 인지적 비축분과 창의적 사고를 요구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창의적 사고란 이성적 논리뿐 아니라 ‘아하! 순간’으로 불리는 직관적 통찰력(영감)도 포함한다. 데이터 큐레이션에 필요한 유추 능력은 데이터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요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추 능력을 기르는 데 시는 훌륭한 방법으로 이미 여러 사례가 있다. 특히 데이터를 바탕에 두는 관찰을 통한 시 짓기는 데이터 큐레이션을 만드는 창의적인 활동으로 수치 데이터 시각화 일변도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에 활동한 송남 조재삼은 그가 교육 서적으로 규정한 그의 데이터베이스인 『송남잡지』에서 시를 활용한 데이터 큐레이션을 보여주는데 교육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양상은 다분히 데이터 리터러시를 교육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참고하여 오늘날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접목시켜볼 만하다.

keywords
Semantic Data Curation, Aha! Moment, Creativity, Poem, Songnamjapji,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아하! 순간’, 창의력, 시(詩), 『송남잡지』

Abstract

A great deal of attention is being paid on data literacy these days when data‒driven society is coming closer and accordingly data literacy education to improve creativity is needed. Data curation, one of data literacy properties, requires cognitive reserve and creative reasoning in linking data and here creative reasoning includes not only rational logics but also intuitional inspiration called ‘Aha! Moment’. Also, inference ability which is essential in data curation demands a perfect understanding of data and poetry is a masterful way to develop it. With abundant data given one uses a technique of composing poems through observing the data, which can be a creative activity for data curation making a big contribution to enhancement of current data education where one deals mainly with numerical data. Jaesam Jo who l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resented several data curations that consist of poems in his database ‘Songnamjapji’ he defined as an archive educational book, which is thought of as a useful vehicle of teaching data literacy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keywords
Semantic Data Curation, Aha! Moment, Creativity, Poem, Songnamjapji,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아하! 순간’, 창의력, 시(詩), 『송남잡지』


참고문헌

1

강민구, 교감국역 『송남잡지』. 소명출판, 2008.

2

강선우·김선, 『Re‒스타트, 다시 시작하는 교육』. 혜화동, 2020.

3

김경집, 『생각의 융합』. 더숲, 2015.

4

김광희, 『창의력은 밥이다』. 넥서스BIZ, 2011.

5

데이비드 이글먼·앤서니 브란트(저), 엄성수(역), 『창조하는 뇌』. 쌤앤파커스, 2017.

6

마르틴 아우어(저), 안성기(역), 『파브르 평전』. 청년사, 2003.

7

셀리 카슨(저), 이영아(역), 『우리는 어떻게 창의적이 되는가』. RHK코리아, 2012.

8

스탠라이(저), 신다영(역), 『어른들을 위한 창의학 수업』. 에버리치홀딩스, 2007.

9

스티브 존슨,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한국경제신문, 2012.

10

이홍·전윤숙·박은아·한병철, 『지식과 창의성 그리고 뇌』. 도서출판 청람, 2005.

11

최원재, 『인문기술자』. 운현서재, 2019.

12

키스 소여(저), 유지연(역), 『지그재그, 창의력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청림출판, 2014.

13

강난영, 「한문교육에서의 松南雜識 활용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14

강민구, 「『송남잡지』를 통해 본 조선 유서의 심미성과 의식성」. 『한국사상사학』 제59집, 2018, 221‒249쪽.

15

강민구, 「조선 3대 유서의 편찬 의식에 대한 연구」. 『다산과 현대』 제3집, 2010, 79‒114쪽.

16

김미혜·정혜경, 「조선후기 漢詩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7, 528‒543쪽.

17

김지현,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프로그램 내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35권 제4호, 2018, 7‒36쪽.

18

김진일, 「파브르는 오직 곤충학자였나?」. 『자연보존』 제157집, 2012, 2‒14쪽.

19

박영순·강이철, 「시 수업에서 비유를 활용한 언어적 창의성 신장 방안」.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08,

20

양영옥, 「조선 후기 類書의 전통과 『송남잡지』(松南雜識)』」. 『대동문화연구』. 제92집, 2015, 251‒287쪽.

21

양진조, 「조선후기 세시기속시 고찰: 대보름 연작형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문화재』 제40집, 2007, 307‒323쪽.

22

이상아, 「시 교육에서 창의적인 학습자에 대한 탐색」. 『우리말글』 제67집, 2015, 29‒52쪽.

23

이정기, 「과학기술인과 문학인의 대화, 우주 시대의 시, Ray Bradbury를 중심으로」. 『과학과 기술』 제10권 제7호, 1977, 42‒45쪽.

24

이정미,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53권 제1호, 2019, 159‒179쪽.

25

임후성, 「금남 최부의 「탐라시삼십오절」」. 『도서문화』 제36집, 2010, 345‒369쪽.

26

오수진·백윤철·권지은,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 활성화 방안」. 『연구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11호, 2019, 483‒492쪽.

27

조석연, 「『송남잡지』(松南雜識)』에 기록된 ‘영산(靈山)’에 관한 연구」. 『공연문화연구』 제40집, 2020, 269‒306쪽.

28

최옥선,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교양교육연구』 제9권 제4호, 2015, 311‒321쪽.

29

최원재,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동국사학』 제68권, 2020, 33‒85쪽.

30

한상우,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35권 제4호, 2018, 223‒236쪽.

31

Jess Crilly, Gustavo Grandal Montero, Sarah Mahurter, Inspirational encounters: the management and use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in the art and design library, 2018(DOI: doi.org/10.29085/9781783302024.012).

32

「게임회사는 신입에 코딩 과외, 배터리 회사는 물리학 수업 개설」. 《조선일보》, 2021년 9월 7일자.

33

「학교 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 활용 방안 탐색」. 《KICE 연구리포트》, 2019년.

34

「서울형 메이커 교육, 4차 산업 혁명을 준비하다」. 《서울교육》, 특별기획 2018 여름호(231호).

35

「시와 과학은 연관성 높아」. 《사이언스타임즈》, 2013년 7월 3일자.

36

IT and Life(zephy2.tistory.com/12).

37

패스트캠퍼스(fastcampus.co.kr).

38

러닝스푼즈(learningspoons.com).

39

대한화학회(new.kcsnet.or.kr/contest_poem_result).

40

최원재 프로젝트(dh.aks.ac.kr/~pattern/wiki/index.php).

41

University of Illinois Center For Online Learning, Research and Service (https://www.uis.edu/colrs/pedagogy‒andragogy‒and‒heutagogy/).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