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920년대 조선불교의 승려 결혼에 대한 논쟁: 조선인의 찬반 논쟁을 중심으로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Marriage of Monks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Modern Joseon: Focused on the Korean People’s Argument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4, pp.7-40
https://doi.org/10.25024/ksq.44.4.202112.7
제점숙 (동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글은 1920년대 중후반 『조선불교』 잡지에 나타난 승려 결혼과 관련된 논쟁을 선행연구와 대조하여 고찰한 것이다. 승려 결혼에 대하여 찬성(친일)과 반대(항일)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내용으로 기고문을 살펴본다면 찬반이 뒤엉킨 그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다. 승려 결혼을 반대하는 이들 중에는 총독부, 일본불교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고, 또한 승려 결혼에 반대하면서도 오히려 지계(持戒)의 문제를 역으로 승려 결혼으로 해결하고자 하기도 하였다. 이들이 상정하는 올바른 승려의 모습은 대체로 전통적인 참선과 산속 사원 생활 등을 떠올리는 현실과 동떨어진 초현실적이고 신비롭고 숭엄적인 것이었다. 한편, 승려 결혼에 찬성하는 의견을 내놓은 이들은 승려 결혼 문제를 조선불교의 사회화, 민중화, 보편적 종교와 연결하기도 하였다. 또한, 승려 결혼과 파계와의 관련성을 날카롭게 지적하는데, 승려가 고기를 취하고 결혼하는 행위 자체에는 이미 파계라는 사상을 내재시켜 놓았음을 지적한다. 하지만, 이러한 찬반 의견을 내놓은 이들은 그들이 생각하는 조선불교의 미래는 달랐지만, 승려 결혼 찬반의 주장보다는 조선불교의 미래를 걱정하는 공통점이 확인된다. 오늘날 역사 관점에서 그들을 바라보았을 때 느껴지는 이러한 불협화음은, 당시 그들의 시선에서 바라본다면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었는지 모를 것이다.

keywords
승려결혼, 대처승, 조선불교단, 조선불교, Marriage of Monks, Married Monk, Joseon Buddhist Association, Joseon Buddhis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marriage of monks in the magazine Joseon Buddhism in the mid to late 1920s, in comparison to the preceding studies. It is possible to check their diverse voices entangled with pros and cons by examining the overall contents of contributions, breaking from the frame of pro‒Japanese and anti‒Japanese over the marriage of monks. Some who opposed the marriage of monks showed favorable attitudes to the Government General and Japanese Buddhism while others would resolve the problem of the observance of the Buddhist commandments inversely with the marriage of monks, going against their marriage. The image of the right monks they assumed was mostly something surreal, mysterious, solemn far from reality, which reminds people of the traditional Zen meditation and mountain temple lif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agreed on the marriage of monks connected the issue of the marriage of monks to the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Joseon Buddhism, and universal religion. In addition, they keenly point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riage of monks and the violation of the Buddhist precepts that the idea of the violation of the Buddhist precepts has already been inherent in eating meat and the marriage of monks. However, among those who advocated such pros and con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ommon ground that is concerned about the future of Joseon Buddhism rather than arguing the pros and cons of the marriage of monks, even though their views on future of Joseon Buddhism differed. This dissonance felt when examined from today’s historical perspective could be a phenomenon taken for granted by their eyes at the time.

keywords
승려결혼, 대처승, 조선불교단, 조선불교, Marriage of Monks, Married Monk, Joseon Buddhist Association, Joseon Buddhis


참고문헌

1

朝鮮總督府, 『寺刹住持就職認可 및 本末寺法中 改定의 件』. 1926.

2

朝鮮總督府, 『寺刹住持就職認可 本末寺法中改正 其他에 關한 件』. 1927.

3

栗山泰音, 『僧侶家族論』. 東京: 櫻樹下堂, 1917.

4

上坂倉次, 『僧侶妻帯の諸問題』. 東京: 明治仏教研究会, 1939.

5

김광식, 「1926년 불교계의 대처식육론과 백용성의 건백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1집, 1997, 213‒249쪽.

6

마이카 아워백, 「‘친일불교’ 역사학의 재고: 조선불교단과 1920년대 조선에서의 승려결혼에 대한 논쟁」. 『아세아연구』 제51권 3호, 2008, 15‒53쪽.

7

박재현, 「근대 불교의 대처식육 문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철학』 제93집, 2007, 47‒70쪽.

8

윤기엽, 「일제강점기 朝鮮佛敎團의 연원과 史的 변천: 조선불교단 임원진의 구성과 이력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제97호, 2017, 293‒322쪽.

9

조성택, 「근대불교학과 한국 근대불교」. 『민족문화연구』 제45호, 2006, 77‒108쪽.

10

逸見通漢, 「即行は時期尚早ではないか」. 『朝鮮佛敎』 제27호, 1926, 18‒19쪽.

11

川村五峯, 「オレは寺に居る間は断じて妻帯せぬ―ドクトル渡邊海旭和尙のこと」.『朝鮮佛敎』 제29호, 1926, 25쪽.

12

後藤瑞嚴, 「朝鮮仏教界に及ぼす結果が注目に値せん」. 『朝鮮佛敎』 제27호, 1926, 17쪽.

13

佐藤稠松, 「親鸞とルーテル‒東西両教の改革と妻帯問題」. 『朝鮮佛敎』 제28호, 1926, 13‒15쪽.

14

中村三笑, 「朝鮮僧侶の肉食妻帯に就て」. 『朝鮮佛敎』 제27호, 1926, 2‒7쪽.

15

姜泰秀, 「禪敎兩宗の区別を明らかにせよ」. 『朝鮮佛敎』 제29호, 1926, 20‒21쪽.

16

具萬化, 「その罪三千大千世界に唾棄する處無し」. 『朝鮮佛敎』 제28호, 1926, 19쪽.

17

金松月, 「朝鮮仏教僧侶の破戒的運動」. 『朝鮮佛敎』 제27호, 1926, 15‒17쪽.

18

金連聲, 「なんと尊い問題であらうかー私は朝鮮僧侶の肉食妻帯の實現を渴望します」. 『朝鮮佛敎』 제27호, 1926, 27‒28쪽.

19

金連聲, 「なんと尊い問題であらうか」. 『朝鮮佛敎』 제28호, 1926, 22‒23쪽.

20

金連聲, 「知識人と私(ニ)」. 『朝鮮佛敎』 제39호, 1927, 24‒26쪽.

21

金蓮湖·朴大奎, 「彼は全鮮仏教の病毒である」. 『朝鮮佛敎』 제28호, 1926, 23‒24쪽.

22

釋時鏡, 「妻를 置하고 肉을 食하는 승려계에 대하여」. 『朝鮮佛敎』 제28호, 1926, 19‒20쪽.

23

安鍚淵,「釋尊의 嫡子로 娶妻食肉이 可乎아呀‒時代己晩이다」. 『朝鮮佛敎』 제27호, 1926, 24‒27쪽.

24

吳官守, 「奇怪な夭物が東亞に橫行する」. 『朝鮮佛敎』 제29호, 1926, 18‒20쪽.

25

兪萬兼, 「宗敎行政の立場から」. 『朝鮮佛敎』 제27호, 1926, 31‒32쪽.

26

英虎, 「噫、朝鮮佛敎の末路」. 『朝鮮佛敎』 제28호, 1926, 16‒18쪽.

27

李混惺, 「朝鮮佛教の興廢は何の関係もない」. 『朝鮮佛敎』 제27호, 1926, 13‒14쪽.

28

全日源, 「僧侶帶妻肉食에 對하야」. 『朝鮮佛敎』 제28호, 1926, 25‒26쪽.

29

澤光範, 「必要にあらず止むを得ざるなり」. 『朝鮮佛敎』 제27호, 1926, 22‒23쪽.

30

韓鐘秀, 「吾が佛教の大賊である」. 『朝鮮佛敎』 제29호, 1926, 20쪽.

31

洪鎭赫, 「朝鮮佛教の復興は耳朶的な覚醒と僧侶の人格向上に在る」. 『朝鮮佛敎』 제27호, 1926, 20‒22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