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ifestation of Heroism and Mystical Things in “Samgangmyeonghaengrok”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4, pp.79-110
https://doi.org/10.25024/ksq.44.4.202112.79
Lim, Hyun-a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Samgangmyeonghaengrok” is a very large novel consisting of 31 volumes and 31 books, and it proceeds as a narrative emphasizing the Confucian ideology of ‘loyalty’ ‐ ‘filial piety’ ‐ ‘chastity’. What is noteworthy is that Jeong Cheol, the main character, performs ‘filial piety’ and ‘loyalty’, and his heroism is revealed. At this time, Jeong Cheol’s heroism is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using mystical things. Most of mystical things are obtained by Jeong Cheol in the process of finding his mother, and they are used as a gift for a rite of passage to lastly find his mother. In addition, mystical things are used for the safety of Emperor Jianwen, who has been deprived of the king’s position, and also represents Jeong Cheol’s ‘loyalty’. As such, the mystical things in “Samgangmyeonghaengrok” appear to help Jeong Cheol complete his Confucian ideology, rather than improve Jeong Cheol’s heroic abilities, and at the same time reveal that he is a Confucian character.

keywords
삼강명행록, 충・효・열, 신물, 영웅성, 통과의례, Samgangmyeonghaengrok, Loyalty・Filial Piety・Chastity, Mystical Things, Heroism, Rite of Passage


Reference

1

<삼강명행록>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31권 31책.

2

김기동편, 『한국고전소설총서』 7‒13권. 태학사, 1983.

3

김석출 구연・이경하 역주, 『바리데기』. 돌베개, 2019.

4

민족문학연구소, 『한국고전문학작품론6』. 휴머니스트, 2018.

5

안기수, 『영웅소설의 수용과 변화』. 보고사, 2004.

6

이수봉, 『한국가문소설연구』. 경인문화사, 1992.

7

Arnold Van Gennep(저), 서영대(역), 『통과의례』. 인하대학교 출판부, 1986.

8

강준수, 「<바리데기>에 나타난 서사 유형 고찰」. 『인문학연구』 제55집 2호, 2016, 1‒26쪽.

9

김동욱, 「고전소설의 정난지변(靖難之變) 수용 양상과 그 의미」. 『古小說 硏究』 제41집, 2016, 311‒340쪽.

10

김수연, 「고소설의 ‘문창성’ 수용과 유(儒)・도(道) 경계의 사상 융합형 군자: <완월회맹연>의 ‘정잠’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제49집, 2020, 105‒140쪽.

11

김종철, 「19C 중반기 장편 영웅소설의 한 양상: 「옥수기」, 「옥루몽」, 「육미당기」를 중심으로」. 『韓國學報』 11권 3호, 1985, 88‒108쪽.

12

문용식, 「<삼강명행록> 연구」. 『국제어문』 제13집, 1991, 343‒378쪽.

13

민선홍, 「민담 『구렁덩덩 신선비』와 『두꺼비 신랑』의 비교」. 『口碑文學硏究』 제56집, 2020, 5‒34쪽.

14

서정민, 「<삼강명행록>의 창작 방식과 그 의미」. 『국제어문』 제35집, 2005, 71‒95쪽.

15

서정민, 「<삼강명행록>의 교양서적 성격」. 『고전문학연구』 제28집, 2005, 351‒378쪽.

16

서정민, 「<삼강명행록>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4집, 2007, 361‒383쪽.

17

임현아, 「<삼강명행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9.

18

임현아, 「<삼강명행록>의 여성 인물 연구」. 『영주어문』 제45집, 2020, 33‒59쪽.

19

조동일, 「英雄의 一生, 그 文學史的 展開」. 『東亞文化』 제10집, 1971, 165‒214쪽.

20

조홍윤, 「설화 <구렁덩덩신선비>의 서사를 통해 본 ‘관계 맺음’의 문제」. 『구비문학연구』 제43집, 2016, 191‒230쪽.

21

한길연, 「영웅소설과 대하소설의 주인공의 환상 체험의 차이와 그 의미」. 『한국문화』 제42집, 2008, 87‒107쪽.

22

한길연,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제20집, 2010, 469‒513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