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970~1980년대 북한의 병자호란 인식과 역사서술

North Korean Historical Narrative and Recognition on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1636 in 1970~1980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2, v.45 no.2, pp.53-87
https://doi.org/10.25024/ksq.45.2.202206.53
장정수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주체사관의 적용된 1970~1980년 북한의 주요 역사서에 수록된 병자호란 관련 역사서술을 검토함으로써 해당 시기 북한 역사인식의 한 단면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대외항쟁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북한의 대외관계 역사서술은 방향성 면에서 남한의 그것과 유사했다. 하지만 1970~1980년대 주체사관이 역사서술에 본격적으로 구현되면서 북한의 대외관계 분야의 역사서술은 ‘반침략투쟁사’로 고착화되었고 침략‒투쟁의 이분법적 선악구도가 형성되면서 사실상 퇴보했다. 이 같은 경향은 조선시대의 대외항쟁사 서술에서도 나타나는데 특히 ‘병자호란’ 부분에서 두드러졌다. 이 무렵 출간된 북한의 역사서에서는 병자호란 당시 인민의 반외세적 투쟁이 이전보다 더욱 강조되면서 서술이 단조로워졌고, 현재 북한 지역의 의병 활동이 부각되었다. 뿐만 아니라 인민의 투쟁을 중앙 정부의 사대주의와 구분하여 유의미한 성과로 평가하면서 패전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도외시하였다. 이러한 역사서술은 대외관계사에 대한 해석의 여지를 좁힘으로써 건설적 논의의 진전을 이루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였다.

keywords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Historical Viewpoint of Self‒reliance, The Synoptic History of Korea, The Whole History of Korea, Historical Narratives, History of Foreign Resistance, 병자호란, 주체사관, 조선통사, 조선전사, 역사서술, 대외항쟁사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narratives of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based on historical viewpoint of self‒reliance in the history books published during the 1970~1980’s in North Korea. From 1950s to mid‒1960s, the North Korean government/scholarship narrated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history of resistance against foreign power, where it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e South Korean historiography at the time. However, after adopting the Juche, or the Self‒Reliance, ideology as the historical view, the narrative in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illuminated the ‘history of struggle against the foreign invasion’, creating the dichotomous structure, where good people resisted against the evil invaders. The same situation is found in the historical narratives of foreign relations on the Joseon dynasty, and this trend became particularly apparent in the studies on First and Second Manchu invasions alike. In North Korean history publications in 1970~80s, the resistance of the people against the Manchu invaders was emphasized and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ies raised by commoners in the region of current North Korean territory was magnified. Further more the resistance of the people was dissociated from the diplomatic policy of the feudal government and semanticized as a positive accomplishment, distorting the historical fact that they were defeated by the Manchu invaders. This narrative of history narrowed the width of interpretations on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thus creating an environment difficult for providing constructive discussions.

keywords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Historical Viewpoint of Self‒reliance, The Synoptic History of Korea, The Whole History of Korea, Historical Narratives, History of Foreign Resistance, 병자호란, 주체사관, 조선통사, 조선전사, 역사서술, 대외항쟁사


참고문헌

1

국방부 정훈부 편, 『대외항쟁사』. 서울: 국방부 정훈부, 1954.

2

국사편찬위원회 편, 『북한의 역사학(1)』.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2.

3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29.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3.

4

국사편찬위원회 편, 『북한의 한국사 연구동향(4)』.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4.

5

金鍾權, 『國難史槪觀』. 서울: 明文堂, 1957.

6

稻葉岩吉, 『光海君時代の滿鮮關係』. 京城: 大阪屋號書店, 1933.

7

림학선 외, 『조선력사(고등중학교 제4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82.

8

박시형, 『조선중세사(하)』. 평양: 국립출판사, 1956

9

박영해・문병우・김재홍, 『평양의 반침략투쟁사(리조편)』.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10.

10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편, 『조선통사(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11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편, 『조선전사』 10.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12

양형섭, 『1592~1598년 임진조국전쟁에서의 인민의병투쟁』. 평양: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1957.

13

李仁榮, 『韓國滿洲關係史의 硏究』. 서울: 乙酉文化社, 1954.

14

정두희, 『하나의 역사, 두 개의 역사학: 개설서로 본 남북한의 역사학』. 서울: 소나무, 2001.

15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력사 연구소, 『조선통사(상)』. 평양: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력사 연구소, 1956.

16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력사 연구소, 『조선통사(상)』. 평양: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력사 연구소, 1962.

17

조원래, 『새로운 관점의 임진왜란사 연구』.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5.

18

총련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편, 『조선력사(고급1)』. 평양: 학우서방, 1972.

19

한국역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 『북한의 역사 만들기』. 서울: 푸른역사, 2003.

20

계승범, 「정묘호란의 동인 재고」. 『洌上古典硏究』 71호, 2020, 247~279쪽.

21

박찬흥, 「북한 <조선력사>(상)(1963) 교과서의 대외관계사 서술 검토」. 『白山學報』 119호, 2021, 171~194쪽.

22

이준성, 「1950~60년대 <조선통사(상)> 간행과 북・소 역사학계 갈등」. 『사학연구』 137호, 2020, 7~48쪽.

23

장정수, 「병자호란시 조선 勤王軍의 남한산성 집결 시도와 활동」. 『韓國史硏究』 173호, 2016, 161~211쪽.

24

鄭杜熙, 「북한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조선왕조의 유산」. 『東亞硏究』 34호, 1997, 159~177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