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북한 고등학교 『조선력사』 교과서 ‘머리말~발해와 신라’ 부분의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 고찰

A Study on Kim Il-Sung’s Kyosi and Kim Jong-Il’s Malsseum in the Parts from Foreword to Balhae and Silla of 『Chosun History』(High School Textbook of North Korea)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2, v.45 no.2, pp.7-52
https://doi.org/10.25024/ksq.45.2.202206.7
박찬흥 (국회도서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북한 고등학교 『조선력사』 교과서의 ‘머리말~발해와 신라’ 부분에 수록된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가르침 및 말씀은 ‘수령체제’가 확립된 1980년대 교과서에서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김일성 교시가 김정일 말씀보다 2배 더 많으며, ‘수령’으로서의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김정일 말씀은 김일성 교시를 보완・대체하는 내용이며, 주체사상이나 단군릉 등 새로운 경향을 반영하였다. 머리말에서는 역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조선인민의 슬기로움’을 찬양하는 김일성 교시만이 수록되었다. 원시사회의 김일성 교시는 창조적 생산 활동이 중심이었다가 1983년판부터 줄어들었고, 주체사상의 사회역사원리가 반영된 김정일 말씀이 추가되었다. 노예사회에서의 김일성 교시는 계급투쟁과 생산 활동 및 문화 등이 고르게 수록되었다가 1995년판에서 ‘조선민족문화의 우수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1983년부터 수록된 김정일 가르침은 특히 고조선을 자주 언급했다. 삼국시기에서는 삼국 문화와 고구려를 강조했고, 1995년판부터 김정일 말씀에서 ‘강성대국 고구려’를 더욱 부각했다. ‘발해와 신라’에서는 발해의 반침략투쟁과 융성 및 신라의 문화를 강조했다.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은, 역사학습이란 자주성을 위한 인민대중의 투쟁과 창조의 역사를 학습하는 것이라는 ‘주체의 학습론’에 충실한 것이다. 1990년대부터 국내외적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조선민족제일주의’와 ‘강성대국론’을 반영한 교시와 말씀이 많이 수록되었다.

keywords
조선력사, 김일성 교시, 김정일 말씀, Joseon History, Kim Il‒Sung’s Kyosi, Kim Jong‒Il’s Malsseum


참고문헌

1

『조선력사』(상). 학우서방, 1963.

2

김병룡・리태영, 『조선력사』고등중학교 2.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94.

3

리인형, 『조선력사』고등중학교 2.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95.

4

오영철, 『조선력사』고등중학교 3.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2001.

5

오영철・한영찬, 『조선력사』고등중학교 3.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99.

6

홍성찬・신예순・강백영, 『조선력사』고등중학교 3.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82.

7

홍성찬, 『조선력사』고등중학교 2.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83.

8

고영환, 『우리 민족제일주의론』. 평양: 평양출판사, 1989.

9

국사편찬위원회 편, 『북한의 역사학』 (1).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2.

10

금성청년출판사 편, 『주체의 학습론』.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1982; 서울: 미래사, 1989[재출판].

11

김석형・박시형, 『조선력사』. 평양: 교육성, 1953; 동경: 학우서방, 1954[번각].

12

김일성, 『김일성선집』 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0.

13

김정일,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4

사회과학원,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회주의교육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5.

15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편, 『조선전사』 1(원시편)~15(근대편3).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1980.

16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고고학연구소, 『조선전사』 1(원시편)~5(중세편(발해 및 후기신라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17

사회과학출판사 편, 『주체사상의 사회역사원리』 주체사상 총서 2. 서울: 백산서당, 1989.

18

안병우・도진순 편, 『북한의 한국사 인식』 Ⅰ. 서울: 한길사, 1990.

19

오경섭, 『주체사상의 구조와 정치적 기능의 변화』. 성남: 세종연구소, 2012.

20

이종석, 『북한의 역사』 2(주체사상과 유일체제 1960~1994). 서울: 역사비평사, 2011.

21

정영순・김도형・정경희・권희영, 『북한의 역사교육』.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22

주성철・림오성・김승일, 『장군님과 력사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14.

23

한국역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 『북한의 역사만들기』. 서울: 푸른역사, 2003.

24

권오영, 「단군릉 사건과 대동강문화론의 전개」. 『북한의 역사만들기』, 서울: 푸른역사, 2003, 87~109쪽.

25

김복영, 「북한의 「조선력사」 교과서에 나타난 미국관: 한국의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와 비교를 중심으로」. 『社會科敎育』 26, 1993, 116~125쪽.

26

김석형, 「해방 후 조선 력사학의 발전」. 『력사과학』 1962‒2, 1962, 1~12쪽.

27

김일성, 「사상 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 『김일성선집』 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0, 325~354쪽.

28

김정일, 「주체사상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 『근로자』 543(1987년7호), 근로자사, 3~19쪽.

29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8~81쪽.

30

박현순, 「북한의 생활풍속사 연구」. 『북한의 역사만들기』, 서울: 푸른역사, 2003, 183~208쪽.

31

徐載鎭, 「북한의 민족주의: 주체사상의 이론적 변용을 중심으로」. 『統一硏究論叢』 2‒1, 민족통일연구원, 1993, 71~96쪽.

32

염홍철, 「최근 10년간(′76.7~′86.6) 북한의 대내・외정책에 관한 실증적 연구」.『한국정치학회보』 21‒2, 1987, 291~312쪽.

33

윤종진, 「북한 고등중학교 『공산주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사상교양’ 내용연구」. 『국민윤리연구』 47, 2001, 101~120쪽.

34

이찬희, 「북한의 역사교육 연구: 「조선력사」 신・구 교과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35

이찬희, 「북한 중학교 『조선력사』 교과서 내용 분석」. 『北韓硏究學會報』 8‒1, 2004, 195~219쪽.

36

임채완, 「北韓의 民族主義 理論과 그 變化推移」. 『정신문화연구』 17‒2(통권 55), 1994, 37~52쪽.

37

전호태, 「삼국에 대한 인식」. 『북한의 한국사 인식』 Ⅰ, 안병우・도진순 편, 서울: 한길사, 1990, 105~147쪽.

38

조은성, 「김일성과 김정일 ‘말씀’의 사회통합적 기능: 1990~2000」.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9

지수걸, 「북한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체계와 내용」. 『북한의 역사학』 (1),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2, 145~197쪽.

40

홍지선, 「북한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 연구: 『국어문학』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8, 2012, 433~466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