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Names of Jang: Focusing on Onsite Dialects and Literary Material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2, v.45 no.4, pp.49-85
https://doi.org/10.25024/ksq.45.4.202212.49
Jisuk Kim
  • Downloaded
  • Viewed


Reference

1

『계축일기(17세기)』,

2

『광재물보(19세기)』,

3

『구활촬요보유방(1660)』,

4

『국한회어(1895)』,

5

『규곤요람(연세대본)(1894)』,

6

『규합총서(1809)』,

7

『김성일가(19세기)』,

8

『동의보감(1613)』,

9

『몽어유해(1790)』,

10

『박통사신석언해(1765)』,

11

『방언유석(1778)』,

12

『번역노걸대(1517),

13

『병자일기(1636)』,

14

『보감록(1927)』,

15

『사시찬요초(1655)』,

16

『수운잡방(1552)』,

17

『시의전서(19세기)』,

18

『신간구황촬요(1660)』,

19

『신증유합(1576)』,

20

『양주방(1837)』,

21

『역어유해(1690)』,

22

『온주법(19세기)』,

23

『유합(1664)』,

24

『유합영장사(1700)』,

25

『유희물명고(1824)』,

26

『음식디미방(1670)』,

27

『음식방문(미상)』,

28

『음식법(19세기)』,

29

『주방문(17~18세기)』,

30

『주식방문(19세기)』,

31

『주식시의(19세기)』,

32

『진주하씨묘출토언간(17세기 전)』,

33

『추사가언간(1793)』,

34

『추사언간(1841)』,

35

『한불자전(1880)』,

36

『한영자전(1897)』,

37

『훈몽자회(1527)』.

38

고농서국역발간추진위원, 『고농서국역총서』. 17호, 수원: 농촌진흥청, 2010.

3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40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1999.

41

김상보, 『한국 음식생활 문화사』. 서울: 광문각, 1997.

42

김종규, 『장류 관련 연구 업적집』. 화갑기념논문집 발간위원회, 2003.

43

김지숙, 민족생활어 보고서 『장(醬) 담그기』. 국립국어원, 2008.

44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경상북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472~495쪽.

45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향토음식편』. 국립문화재연구소, 1984.

46

우리마당 터, 『민속학술자료총서: 먹거리 장류』. 서울: 우리마당터, 2003.

47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서울: 민음사, 1991.

48

윤숙자, 『한국의 저장 발효음식: 이론과 실제』. 서울: 신광출판사, 1997.

49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서울: 동아출판사, 1991.

50

이해준・정승모・정연식・전경목・송찬섭,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6.

51

정동효, 『발효』. 서울: 대광서림, 1997.

52

정동효・이한창・심상국・한복려, 『콩발효 식품』. 서울: 홍익재, 2006.

53

문세영, 『조선어사전』. 조선어사전간행회, 1938[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4

한복려・한복진, 『종가집 시어머니 장 담그는 법』. 서울: 둥지, 1995.

55

한복진, 『우리생활 100년: 음식』. 서울: 현암사, 2011.

56

이효지 외, 『주식방문』. 파주: 교문사, 2017.

57

김지숙, 「장 명칭의 분화 양상 연구 (1)」. 『방언학』 14호, 2011, 137~165쪽.

58

김지숙, 「장(醬) 명칭의 분화 양상 연구 (2)」. 『방언학』 15호, 2012, 1~34쪽.

59

김지숙, 「김치 명칭에 대한 고찰: 문헌 자료와 방언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82호,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3~34쪽.

60

안용근・문영자, 「전통즙장-전통즙장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8권5호,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835~848쪽.

61

윤덕인, 「전통 장류의 변천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관대논문집』 28권 2호, 2000, 257~286쪽.

62

이준환, 「방언사전의 방언 어휘 수록 및 기술 현황, 성과와 한계」. 『코기토』 77호, 부산대학교인문학연구소, 2015, 70~109쪽.

63

이태영, 「국어사전과 방언의 정보화」. 『국어문학』 61호, 국어문학회, 2016, 51~75쪽.

64

조정아, 「언간 자료에 나타나는 생활 물명의 어휘사적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박사학위논문, 2016.

65

최영진, 「『Jusikbangmun(주식방문)』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음식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1권 6호,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554~572쪽.

66

최영진 외, 「17세기 이전 장류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조리과학학회지』23권 1호, 2007, 107~123쪽.

67

한복려, 「『산가요록』의 분석 고찰을 통해서 본 편찬 연대와 저자」. 『농업사연구』2권 1호, 2003, 13~29쪽.

68

한복려・김귀영, 「『계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초기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3권 4호, 2018, 307~321쪽.

69

홍윤표, 「간장과 된장과 고추장의 어원」. 『쉼표 마침표』 제29호 3월, 국립국어원, 2008, 19~34쪽.

70

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 연구를 통한 조리 용어 통합 검색 시스템 개발(연구책임자: 백두현) DB.

71

지역어 조사 자료(국립국어원) DB.

72

한민족 언어 정보화 자료 CD.

73

한국고전종합 DB(http://db.itkc.or.kr).

7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75

한식문화사전(https://www.kculture.or.kr).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