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장(醬) 명칭에 대한 고찰: 문헌 자료와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mes of Jang: Focusing on Onsite Dialects and Literary Material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2, v.45 no.4, pp.49-85
https://doi.org/10.25024/ksq.45.4.202212.49
김지숙 (경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에서는 문헌을 기반으로 하여 방언 자료에서 장 어형의 쓰임은 어떠한지를 ‘쟝, 지령’ 형과 ‘된쟝’ 형으로 구분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상위 범주의 ‘장’은 문헌에서는 ‘간장, 지령’과 된장과 간장을 가르기 전의 상태를 지칭하는 것인데, 이는 방언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醬油, 즉 간장을 뜻하는 ‘쟝’은 ‘>간쟝>간장’의 형태로 변화를 거쳐 현대어 ‘간장’이 되었고, ‘지령’은 강원, 경기, 경상, 함경 지역의 현대 방언형으로도 확인이 가능한데, 17세기부터 ‘지령, 지렁’ 등의 형태와 구개음화에 대한 과도교정 형태가 나타났다. 한편, 『한불자전』에 ‘지령’이 표제어로 등재된 것을 보면 적어도 일정 시기에 ‘지령’은 어느 지역의 방언이 아닌 ‘쟝’과 동등한 표제어로 동일한 의미를 지녔다가 현재는 방언 형태의 하나로 변모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로 인해 현대어에서도 다양한 ‘지령’ 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현대어 ‘된장(-醬)’에 해당하는 형태는 ‘된쟝, 됨, 된댱’의 형태와 ‘토쟝, 건쟝’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된장이 방언에서도 ‘장’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해 문헌과 방언의 의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장’은 ‘간장, 지령’을 또는 간장과 된장을 아우르는 상위어를 지칭하는 의미에서 현재에는 간장과 된장을 통칭하거나 간장 또는 된장을 ‘장’이라고 지칭하는 의미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간장과 된장은 동시에 같은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이로 인해 ‘장’이 일정 시기에 ‘간장’ 외에도 ‘간장, 된장을 가르기 전’과 ‘간장, 된장 통칭, ‘된장’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즙장’을 통해서는 과거 장(汁醬) 또는 김치(汁菹)로 취급했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keywords
Jang, Names, Ganjang, Doenjang, Literary, Dialects, 장(醬), 명칭, 간장, 된장, 문헌, 방언


참고문헌

1

『계축일기(17세기)』,

2

『광재물보(19세기)』,

3

『구활촬요보유방(1660)』,

4

『국한회어(1895)』,

5

『규곤요람(연세대본)(1894)』,

6

『규합총서(1809)』,

7

『김성일가(19세기)』,

8

『동의보감(1613)』,

9

『몽어유해(1790)』,

10

『박통사신석언해(1765)』,

11

『방언유석(1778)』,

12

『번역노걸대(1517),

13

『병자일기(1636)』,

14

『보감록(1927)』,

15

『사시찬요초(1655)』,

16

『수운잡방(1552)』,

17

『시의전서(19세기)』,

18

『신간구황촬요(1660)』,

19

『신증유합(1576)』,

20

『양주방(1837)』,

21

『역어유해(1690)』,

22

『온주법(19세기)』,

23

『유합(1664)』,

24

『유합영장사(1700)』,

25

『유희물명고(1824)』,

26

『음식디미방(1670)』,

27

『음식방문(미상)』,

28

『음식법(19세기)』,

29

『주방문(17~18세기)』,

30

『주식방문(19세기)』,

31

『주식시의(19세기)』,

32

『진주하씨묘출토언간(17세기 전)』,

33

『추사가언간(1793)』,

34

『추사언간(1841)』,

35

『한불자전(1880)』,

36

『한영자전(1897)』,

37

『훈몽자회(1527)』.

38

고농서국역발간추진위원, 『고농서국역총서』. 17호, 수원: 농촌진흥청, 2010.

3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40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1999.

41

김상보, 『한국 음식생활 문화사』. 서울: 광문각, 1997.

42

김종규, 『장류 관련 연구 업적집』. 화갑기념논문집 발간위원회, 2003.

43

김지숙, 민족생활어 보고서 『장(醬) 담그기』. 국립국어원, 2008.

44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경상북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472~495쪽.

45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향토음식편』. 국립문화재연구소, 1984.

46

우리마당 터, 『민속학술자료총서: 먹거리 장류』. 서울: 우리마당터, 2003.

47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서울: 민음사, 1991.

48

윤숙자, 『한국의 저장 발효음식: 이론과 실제』. 서울: 신광출판사, 1997.

49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서울: 동아출판사, 1991.

50

이해준・정승모・정연식・전경목・송찬섭,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6.

51

정동효, 『발효』. 서울: 대광서림, 1997.

52

정동효・이한창・심상국・한복려, 『콩발효 식품』. 서울: 홍익재, 2006.

53

문세영, 『조선어사전』. 조선어사전간행회, 1938[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4

한복려・한복진, 『종가집 시어머니 장 담그는 법』. 서울: 둥지, 1995.

55

한복진, 『우리생활 100년: 음식』. 서울: 현암사, 2011.

56

이효지 외, 『주식방문』. 파주: 교문사, 2017.

57

김지숙, 「장 명칭의 분화 양상 연구 (1)」. 『방언학』 14호, 2011, 137~165쪽.

58

김지숙, 「장(醬) 명칭의 분화 양상 연구 (2)」. 『방언학』 15호, 2012, 1~34쪽.

59

김지숙, 「김치 명칭에 대한 고찰: 문헌 자료와 방언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82호,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3~34쪽.

60

안용근・문영자, 「전통즙장-전통즙장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8권5호,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835~848쪽.

61

윤덕인, 「전통 장류의 변천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관대논문집』 28권 2호, 2000, 257~286쪽.

62

이준환, 「방언사전의 방언 어휘 수록 및 기술 현황, 성과와 한계」. 『코기토』 77호, 부산대학교인문학연구소, 2015, 70~109쪽.

63

이태영, 「국어사전과 방언의 정보화」. 『국어문학』 61호, 국어문학회, 2016, 51~75쪽.

64

조정아, 「언간 자료에 나타나는 생활 물명의 어휘사적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박사학위논문, 2016.

65

최영진, 「『Jusikbangmun(주식방문)』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음식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1권 6호,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554~572쪽.

66

최영진 외, 「17세기 이전 장류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조리과학학회지』23권 1호, 2007, 107~123쪽.

67

한복려, 「『산가요록』의 분석 고찰을 통해서 본 편찬 연대와 저자」. 『농업사연구』2권 1호, 2003, 13~29쪽.

68

한복려・김귀영, 「『계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초기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3권 4호, 2018, 307~321쪽.

69

홍윤표, 「간장과 된장과 고추장의 어원」. 『쉼표 마침표』 제29호 3월, 국립국어원, 2008, 19~34쪽.

70

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 연구를 통한 조리 용어 통합 검색 시스템 개발(연구책임자: 백두현) DB.

71

지역어 조사 자료(국립국어원) DB.

72

한민족 언어 정보화 자료 CD.

73

한국고전종합 DB(http://db.itkc.or.kr).

7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75

한식문화사전(https://www.kculture.or.kr).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