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시대 일월성신문경(日月星辰文鏡)의 제작과 특징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of Ilwolseongsinmun in the Joseon Dynas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3, v.46 no.3, pp.317-358
권주영 (국립문화재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일월성신문경은 해, 달, 별 문양이 장식된 거울로 오늘날 무속의례의 무구 중 하나인 명도(明圖 혹은 明斗)라 불린다. 본 연구는 전세품인 90점의 일월성신문경을 모아 유형별로 분석해 등장 배경과 변화 과정을 밝히는 데 주목했다. 그 결과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지며, A유형은 해, 달, 별을 원문으로 표현하고 별자리를 선으로 잇는 천문도식 표현을 따른다. 등장 배경은 17세기의 소형 천문도와 길상문의 유행의 영향이며 무속이 국가의 제도권에서 벗어나 정치적 기능을 상실하고 민간화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생각된다. B유형은 천문도식의 별자리 표현에서 벗어나 해와 달, 북두칠성으로 구성되면서 도식화된다. 무속의례의 공간이 임시적이고 개방적인 장소가 되면서 일상 공예품을 무구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C유형은 19세기에 유입된 서양의 펜타그램(pentagram) 문양을 수용하여 별을 오각성문으로 표현하고 오늘날의 정형화된 일월성신문으로 변화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조선후기에는 새롭게 등장한 유리거울의 유행과 확산에 의해 금속제 거울이 점차 사라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월성신문경이 새롭게 등장한 점은 무속의례의 연희화를 위한 것이다. 무속은 민간화되면서 가시적 효과를 위해 공연적 요소가 필요해졌고 다른 종교들의 의례 행위와 도구를 받아들이며 부단하게 융합했다. 불교와 도교의 종교 의례에서는 예로부터 ‘거울이 곧 신체(神體)’라는 관념을 기반으로 동경을 사용했다. 오늘날 고도로 발전된 무속의례가 완성되는 과정 중에 일월성신문경 또한 명도(明圖)로 자리 잡으며 독특한 한국의 무구로 탄생하고 발전한 것으로 이해된다.

keywords
The Mirror of Ilwolseongsinmun, shamanic ritual, Myeongdo, astronomical chart, musical performance, 일월성신문경, 무속의례, 명도, 천문도, 연희

Abstract

The mirror of Ilwolseongsinmun is decorated with patterns of the sun, moon, and stars, and is today called Myeongdo, one of the tools of shamanism. This study focused on the background to its appearance and the process of change. Three types were identified after analyzing 90 remains, which are chartered products. Type A follows an astronomical representation that expresses the sun, moon, and stars in the original text and connects constellations with lines. The background to its appearance is the influence and prevalence of small astronomical charts and a decorative coin in the 17th century. Its appearance suggests that shamanism had started to deviate from the state’s institutional sphere, lost its political function, and had become civilian. Type B is schematic, and deviates from the astronomical representation of constellations consisting of the sun, moon, and the Big Dipper. It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using everyday crafts as tools of sharmanism, where the space for shamanic rituals becomes a temporary and open place. Type C accepts the Western pentagram pattern introduced in the 19th century, expresses stars as pentagrams, and changes to today’s standardized Ilwolseong Newspaper, and continues to this day. In the late Joseon Dynasty, metal mirrors gradually disappeared due to the growing trend of using new glass mirrors; nevertheless, the mirror of Ilwolseongsinmun appears newly to be used in the performance of shamanistic rituals. As shamanism was privatized, performance elements were needed for visible effects, and they were constantly fused by accepting ritual acts and tools from other religions. Metal mirrors have long been used in the religious rituals of Buddhism and Taoism, based on the idea that “mirrors are the body.”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oday’s highly developed shamanic rituals, the mirror of Ilwolseongsinmun has also became a tool of shamanism, and it is understood that it was conceived and developed as a unique Korean pattern and form.

keywords
The Mirror of Ilwolseongsinmun, shamanic ritual, Myeongdo, astronomical chart, musical performance, 일월성신문경, 무속의례, 명도, 천문도, 연희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