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7세기 홍문록(弘文錄)을 통한 인사 운영 실태와 그 변화 양상

Personnel Management Practices and Changing Trends through the Hongmunrok(弘文錄) in the 17th Centur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3, v.46 no.3, pp.45-82
윤혜민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홍문록(弘文錄)은 홍문관(弘文館)의 관원이 될 수 있는 후보자를 선발해 놓은 명부(名簿)이다. 홍문관의 관원들은 문한(文翰)을 다스리고 왕의 고문(顧問)에 대비하며 언론 활동을 수행해야 했기에, 그 선발 과정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었다. 먼저, 홍문관에서 자체적으로 후보를 선정하여 「본관록(本館錄)」을 작성한 후 도당(都堂)에서 이를 첨삭하여 「도당록(都堂錄)」을 만들어 최종적으로 후보자를 선정하는 방식이었다. 효종~숙종 초의 「본관록」과 「도당록」의 입록자 성분과 그 차이 및 이를 둘러싼 갈등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서, 그 당락의 기준과 시대별 변화 양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세 시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도당록」에 최종 입록된 자들이 주로 벌열 성관에 해당했다는 점, 한성에 거주했다는 점, 비정기시로 급제했다는 점, 시험 중위 등수가 11~13등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세 시기 모두 입록자의 고령이 탈락에 큰 요인으로 작용했음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효종 대와 현종 대의 인사 운영 차이로는 가문의 배경보다 시험을 통한 실력 검증에 대한 비중이 높아진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숙종 초에는 시험을 통한 실력 있는 자의 선발을 우선시 하면서도, 급변하는 정국에 홍문록의 시행 빈도가 높아지고 탈락률이 크게 낮아지면서, 일부의 가문 또는 당색에서 입록자가 다수 배출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하나의 당색으로만 채워지는 것은 경계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벌열 외의 성관과 지방 거주자의 비율이 크게 증가한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한편, 홍문록의 인선에 국왕이 개입한 사례도 보이는데, 효종 대 이경억(李慶億)과 숙종 대 이사명(李師命)이 실력으로써 특별히 제수된 것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17세기 서인과 남인의 갈등이 고조되던 시기에도 홍문록을 통한 홍문관 관원의 선발은 학문적인 소양을 갖추고 중직을 담당할 수 있는 실력자를 가려내기 위한 기조 위에서, 권점자(圈點者)의 사의(私意)보다는 공적인 선발 기준이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홍문록(弘文錄), 홍문관(弘文館), 청요직(淸要職), Hongmunrok, Hongmun-gwan, Cheongyojik

Abstract

The Hongmunrok is a list of candidates selected to become officials of the Hongmun-gwan(弘文館).The process of selecting Hongmun-gwan officials was conducted with great care. First, the Hongmun-gwan selected candidates and compiled the Bon-gwanrok(本館錄). Then, the Do-dang(都堂) reviewed and revised the list to create the Do-dangrok(都堂錄), which was ultimately used to select the candidate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registra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on-gwanrok and Do-dangrok from the reigns of King Hyojong to King Sukjong, as well as the conflict associated with them, it is evident that the criteria and trends in the selection process varied by era. Common features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three eras were that a high proportion of Hanyang residents were selected, the high age of registrant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disqualification, and the proportion of additional Do-dangrok registrants gradually increased. Differences in personnel management during the three eras included a decreasing emphasis on family background and a greater emphasis on skills through examinations. This trend was especially pronounc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In the early years of King Sukjong’s reign, just as in King Hyojong’s reign, many officials from powerful clans were selected as registrants, and the proportion of registrants affiliated to certain factions chan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political climate. On the one hand, registrants were not exclusively selected based on their faction affiliation, and there was a trend of selecting individuals with basic skills, such as those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cases where the king intervened in the selection process of Hongmunrok, such as the special exclusion of Lee Kyung-yuk(李慶億) during King Hyojong’s reign and Lee Sa-myeong(李師命) during King Sukjong’s reign. The selection of Hongmun-gwan officials through the 17th century Hongmunrok operated under a system that applied public selection criteria, rather than the personal preferences of influential figures(圈點者), to identify talented individuals with scholarly knowledge and ability to handle high-level positions.

keywords
홍문록(弘文錄), 홍문관(弘文館), 청요직(淸要職), Hongmunrok, Hongmun-gwan, Cheongyojik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