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체험경제이론에 의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Experiential Economy Theory on Perceived Valu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3, pp.1-24
https://doi.org/https://doi.org/10.16981/kliss.53.3.202209.1
김미정 ((사)한국북큐레이터협회)
이병기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반영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4가지 요소 즉, 오락적 경험, 교육적 경험, 현실 도피적 경험, 심미적 경험을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가설 1(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프로그램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은 심미적 경험과 오락적 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가설 2(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경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북큐레이션,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체험경제이론, 지각된 가치, 지속적 참여 의도

Abstract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experiential economy theory,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that experience perception of the program has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and perceived value of the program.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organized so that practitioners can experience activities for 4 experience element,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escapist experience, 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experience economic theory. This study surveyed 195 peopl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research hypothesis 1 (the perception of experiences in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affects the perceived value of the program) revealed that aesthetic and entertainment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and research hypothesis 2 (the perception of experience in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howed that all other factors except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keywords
북큐레이션,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체험경제이론, 지각된 가치, 지속적 참여 의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