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Concept Mapping of Factors Contributing to Successful Counseling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hat make parent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successful in school. To seek those factors perceived by teachers, this study used concept mapping and thereafter compared the levels of importance with the levels of execution among factors which were necessary to effective parent counseling. 15 teacher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successful parent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66 non-redundant statements extracted from that group interview were sorted and rated by themselves. Eight thematic cluster-map was generat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eacher Competence Enhancement’, ‘Teacher Training Support’, ‘Mutu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Material Resource and Human Resource’, ‘Multi-cultural School Counseling’, ‘Various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Providing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level of importance and execution in all the category. Finally, the stud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keywords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 counseling, Multicultural counseling, Concept mapping, 다문화 가정, 학부모 상담, 다문화 상담, 개념도 연구방법

Reference

1.

김광수, 정태희 (2010). 다문화 가정 학생지도를 위한 학교상담의 방향과 과제. 한국초등교육, 20(2), 197-213.

2.

김선경, 전재영 (2012). 기업상담소 방문 결정이유에 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65-483.

3.

김성현 (2009).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상담 전략. 사회변화와 상담의 진화. 2009년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 자료.

4.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5.

김진영, 황매향 (2010). 초등교사의 다문화 가정 아동 지도 경험. 초등상담모형과 지원체계 구축. 2009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 자료.

6.

김태호 (2008). 진로상담자의 다문화상담능력 증진 방안. 진로개발직업상담연구회 2008년 12월 콜로키움 자료집. 22-23.

7.

문인숙 (2011). 초등학교 상담활동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및 교사의 상담 실태와 인식 차이 비교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9.

박찬옥, 이은경 (2012). 출신 국가별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다문화콘텐츠연구, 12, 65-94.

10.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 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11.

송미경, 이은경, 신효정 (20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0(3), 1627-1643.

12.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임영선 (2007). 다문화 가정 외국인 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13.

안병환 (2009).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다문화 교육 접근 방향 탐색. 한국교육논단, 8(2), 155-177.

14.

양미진, 이동훈, 고홍월, 김영화, 남현주 (2012).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분석. 상담학연구, 13(3), 1181-1209.

15.

오성배 (2008).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장과정 탐색. 다문화 가정과 아동청소년상담: 지원체계, 상담사례.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16.

윤선호 (2004).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인희 (2007). 인지행동치료 집단훈련과 초등학교 저학년아동 공격성감소의 관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지영 (2012).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 스트레스가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2), 105-125.

19.

임미선, 박정윤 (2011). 보육교사의 다문화 가정에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7), 25-37.

20.

임은미, 김은주, 정성진 (2009). 국내 다문화 연구와 다문화 상담 연구의 현황. 상담학연구, 10(3), 1291-1304.

21.

장은정 (2010).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예비학부모 역량강화 프로그램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79-99.

22.

전경숙 (2008).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청소년의 실태 조사-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6(1), 167-185.

23.

정찬석, 이은경, 김현주 (2004).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의 도움경험 분석: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21-35.

24.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5.

최정혜 (2011).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29-46.

26.

최한나, 김삼화, 김창대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또래관계 역량. 상담학연구, 9(1), 181-197.

2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결혼이주 여성 실태 보고서.

28.

Boutte, G. (1999). Multicultural Education: Rasing Consciouss.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9.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1), 155-171.

30.

Gorski, P. C. (2008). what we teaching teachers: A analysi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oursework syllabi.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 309-318.

31.

Heard, D. (1999). A Developing model of Education Themselves for Multicultural pedagogy. Higher Education, 38(4), 461-487.

32.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California.

33.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spectiv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 86-93.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