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Longitudinal Changes in Late Childhood School Adjust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longitudinal changes in late childhoo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tilized survey data from the fourth through seventh iterations of the Korean Child Youth Panel Study conducted on four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decreased gradually. Second, both neglect and abuse had concurre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Third, neglect had lagged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abuse did not. The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and support children who have suffered neglect or abuse adjust to school during late childhood.

keywords
school adjustment, neglect, abus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latent growth modeling, 학교적응, 방임, 학대, 동시 및 지연효과, 잠재성장모형

Reference

1.

강유경 (2015). 초등학생의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생활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해련, 오익수 (2008). 교사의 격려반응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7(2), 131-140.

3.

고연경, 이미숙 (2016).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종단 관계 검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64-264.

4.

교육부 (2018). 2018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및 관리 매뉴얼.

5.

권재기, 정미경 (2012). 학령후기 학교적응 프로파일과 관련된 개인․가정환경 변인의 단기 종단적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이용하여. 아동교육, 21(3), 147-167.

6.

기민희, 김미숙 (2014).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9, 585-612.

7.

김세원 (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린, 유조안 (2014). 빈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 궤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9, 153-175.

9.

김영숙, 조한익 (201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구조관계. 교육심리연구, 31(3), 529-561.

10.

김춘경, 조민규, 최명숙, 김지호 (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또래애착의 중재효과 분석: 정상아동과 비만아동의 비교. 놀이치료연구, 17 (1), 1-15.

11.

김혜금 (2014).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1), 11-19.

12.

김혜미, 오인수 (2016).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중등교육연구, 64(4), 951-977.

13.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덕숙 (2002). 부모의 학대 유형과 불안, 공격성 및 학교 적응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성혜, 윤종희 (2013).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개인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3), 147-169.

16.

박애리 (2014). 부모간의 폭력노출 및 학대받은 경험이 아동의 공격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0), 503-528.

17.

보건복지부 (2017). 2016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18.

배화옥 (2007). 아동학대 유형별 재발생 특성과 관련요인에 대한 생존분석. 아동권리연구, 11(3), 389-411.

19.

배화옥, 강지영 (2015). 아동방임 재발유형과 관련요인. 보건사회연구, 35(1), 455-474.

20.

손지아, 김선희 (2017).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의 종단적 관계: 부모, 또래 및 교사요인의 영향. 아동학회지, 38(6), 1-15.

21.

송미령, 이재연 (2011). 부모의 정서적 방임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 적응과의 관계.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9, 219-244.

22.

송진영, 박용순, 염철기, 최성숙 (2015). 부모의 청소년학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폰의존도와 인터넷이용빈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30, 57-85.

23.

신경미, 황순택 (2016). 학대․방임, 정서문제와 휴대전화의존 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7(4), 115-147.

24.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5.

안혜진 (2016).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적응 간의 종단연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475-493.

26.

이성회, 윤지영 (2016).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학생의 정서문제와 학교적응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 461-480.

27.

이은수, 이수용, 홍세희 (2016).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만족도가 이용아동의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59-85.

28.

이정민, 강수정, 이강이, 이순형 (2015). 부모의 양육방식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4), 91-110.

29.

이희정, 조윤주 (2010).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17 (2), 253-278.

30.

정윤정, 임선아 (2013).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의 상관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7(4), 853-873.

31.

정은희, 김혜미 (2013). 학대경험이 초등학생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의 매개효과와 성차검증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6, 47-69.

32.

조연희, 이주연 (2015).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1), 61-74.

33.

좌문경 (2009). 방임을 경험한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동광, 105, 71-144.

34.

좌현숙 (2018). 아동기 사회적 위축문제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요인: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7(2), 257-271.

35.

차윤님 (2017). 아동 및 청소년의 피학대 경험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지역사회인식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최성보 (2011).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4(2), 109- 130.

37.

최수빈, 유미숙 (2018).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 우울 및 공격성의 매개효과. Sookmyung Journal of Child Study, 30(1), 63-82.

3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13-R18). 1-368.

39.

허묘연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Ackerman, B. P., Brown, E. D., & Izard, C. E. (2004). The relations between contextual risk, earned income,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economically disadvantaged families. Developmental Psychology, 40(2), 204- 216.

41.

Awoyemi, A. E., Dombo, D. O. (2016). Influence of parenting styl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of secondary school adolescents in Bayelsa state, Nigeria. IFE PsychologIA, 24(2), 10-16.

42.

Burchinal, M. R., Roberts, J. E., Zeisel, S. A., & Rowley, S. J. (2008). Soc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frican America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44(1), 286-292.

43.

Carmody, K. A., Haskett, M. E., Loehman, J., & Rose, R. A. (2015). Physically abused children’s adjustment at the transition to school: Children, parent, and family facto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4), 957-969.

44.

Emery, C., & Yang, H. R. (2005). The effects of exposure to neglect on school adjustment: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th activity. Social Science Research, 39(1), 1-27.

45.

Garton, M., & Morrison, I. (2000). Concluding comments. Transfer and transition: The next step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4), 443-449. http://doi.org/10.1016/S0883-0355(00)00027-6.

46.

Meredith, W., & Tisak, J. (1990). Latent C-curve analysis. Psychometrika, 55(1), 107-122.

47.

Weiss, A. D. G., & Fantuzzo, J. W. (2001). Multivariate impact of health and caretaking risk facto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first gradesr.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2), 141-160.

48.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Sage: CA.

49.

Williams, K. E., Nicholson, J. M., Walker, S., & Berthelsen, D. (2016). Early childhood profiles of sleep problems and self-regulation predict later school adjust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2), 331-350.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