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등교육기관 존립의 위협이 높아진 현 상황에서 지방사립대학 고학년 남학생들의 학업중단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지 한 대학에서 제적 학생의 명단을 받아 연구 참여에 동의한 15명 학생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질적 연구 분석 방법 가운데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83개의 개념과 54개의 하위 범주, 18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고, 축코딩 매트릭스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과정 분석에서는 지방사립대 고학년 남학생의 학업중단의 과정은 총 7단계로, ‘소속감 찾기’, ‘재미 찾기’, ‘멈춰 생각하기’, ‘(바깥)세상 경험하기’, ‘진로 확정하기’, ‘몰두하기’, ‘학업 마무리 짓기’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제시하였고, 향후 지방사립대학의 존립을 위한 대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sychosocial changing process of upper grade students expelled from local private university. For this purpose,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5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s a result, 183 concepts, 54 sub categories, and 18 essential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process analysis showed that the process of psychosocial changing is composed of seven steps Find a sense of belonging’, ‘Find fun’, ‘Stop thinking’, ‘Experience the (outside) world’, ‘Career decision’, ‘Immersion’, ‘Finish the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es, and the newly discovered points and future research topics and points to be considered in local private university field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