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영화와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소론
앙트완 코폴라(프랑스 사회과학 대학원 한국 연구센터) pp.1-13
초록보기
초록

가상 현실이 미디어들 전반에 걸쳐 잘 알려져 있다면, 몇 가지 시각적 개념이 분명 VR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이런 시각적 개념과 VR 기술의 철학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미디어 기술력의 홍보 캠페인에서 우리는 VR 테크닉을 보여주는 영역 기술들과 영화에서 VR 표현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부정적 이미지 -전체주의적 미래에 대한 오웰적 비전과 관련된- 가 상당히 일반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한다. 논문의 두 번째 파트에서는 VR 영화들, 특히 이나리투 감독과 비글로우 감독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고개돌림'과 '걸어다님'의 영화들의 한계를 논한다. 마지막으로 VR이 영화를 상영하는 새로운 공간 혹은 인터넷과 연결된 플랫폼이 되고 있음을 논의한다.

Abstract

If virtual reality is well known through the medias, it seems that a few visual concepts are clearly related to VR. We try to think about it and introduce to a philosophy of VR techniques. So, from techniques and media techno-powers promotional campaigns, we aim to areal technology, it means an objective reflection on the VR techniques. To do so, we study the representations of VR in films. And we conclude that a negative image is the most common representation, related, often, to an Orwellian vision of the future world. In the second part, we study some VR films, and especially some made by famous film directors (Iñárritu, Bigelow). 'Head-turn' and 'Walk-around' films are commented to check their limits. Finally, we consider that for the moment, VR remains only a new space to screen films (into VR platforms connected to the Internet).

포스트 코로나, 코로나 이후 온라인 미술시장
권은용((재)예술경영지원센터 시각예술기반팀) pp.15-29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전염병의 창궐 속에서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위한 수단으로 '언택트 경제' 비대면 경제활동이 주요 이슈가 되면서, 쿠팡, 마켓컬리 같은 온라인 마켓이 생필품을 구매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부상했다. 이처럼 코로나가 야기한 집합과 국가간 이동제한은 사회 전반적인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람들의 행동 방식과 소비습관, 나아가서는 라이프 스타일에까지 큰 변화를 불러왔다. 미술시장 역시 많은 변화를 맞이했다. 집합의 제한, 국가간 이동의 제한 상황 발생은 미술시장 규모에 일차적으로 타격을 입혔으며 나아가 작품이 거래되는 방식, 거래되는 작품의 특성, 작품을 구매하는 사람에게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가 미술시장에 미친 영향을 온라인 미술시장 중심으로 살펴보고, 앞으로 야기할 변화와 대응방식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quarantine or social distancing was required for public health and almost all international exchanges were restricted. Those changes affected huge peoples lifestyle including a way of behaving, purchase and even old habits seemed unable to change. The art market also faced many changes. Art fairs are the primary sectors in the art market but restrictions on gathering and exchanges between countries have primarily affected the size and the type of event. Online platforms are rising, art fairs opened online viewing rooms on the internet instead of booths in the convention center. Even galleries opened their own viewing rooms or renewed online pages to promote artworks and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effects of Corona on the art market and will seek a way to react to those changes and challenges.

트랜스미디어 향유와 문화정치적 관점에서의 대안적 수용자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권호창(한국예술종합학) pp.31-50
초록보기
초록

미디어의 수용자는 포괄적인 미디어 환경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규정되며,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구성 및 재구성된다. 오늘날 컨버전스나 트랜스미디어 등으로 대변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수용자에 관한 논의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그 문화정치적 성격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 간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항 대립적인 논쟁을 넘어서 새로운 수용자의 복잡성과 양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 진보적 가능성이 발현될 수 있는 조건과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오늘날 미디어 환경과 콘텐츠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와 맞물려 있는 수용자의 변화 양상을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새로운 수용자의 문화 정치적 성격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자크 랑시에르의 관객의 해방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안적 수용자를 재구성할 방안을 모색해본다. 이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수용자의 유토피아적 계기와 디스토피아적 계기의 성격과 내용을 파악하고 전자를 현실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하였다.

Abstract

Media audiences are defined in a complex relationship with a comprehensive media environment, and are structur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oday, with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represented by convergence and transmedia, discussions on audiences are actively developing, and debat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continue. This paper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omplexity and ambivalence of new audiences beyond the binomial confrontational debate, an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mechanisms under which the progressive possibility can be actualized. First, it looks at the changes in today's media environment and contents, and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of audiences in connection with them based on related research. In addition, it examines the debate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new audiences, and explores ways to construct /reconstruct alternative audiences based on Jacques Ranciere's discussion.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utopian and dystopian moments of the transmedia audience were examined, and the necessary works for realizing the former were identified.

SMCRE 모델로 본 인터넷 라이브 방송의 매체적 특성
장한정(Beijing Mulan Culture) pp.51-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 인터넷 라이브 방송의 매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논했다. 이를 목적으로 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 효과로 구성된 SMCRE 모델로 통해 인터넷 라이브 방송의 매체 특성을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들이 간과한 인터넷 라이브 방송 특유의 피드백도 고찰하였다. 또 인터넷 라이브 방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인터넷 라이브 방송의 미래 발전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 the New Media Age. To this end, analyzed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through SMCRE models consisting of 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and effect. In addition, considered the unique feedback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that prior studies overlooked. It also presented problems with internet live broadcasting and prospects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모바일 상거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미래형 VR 이미지 프레젠테이션 기술
박지섭(부산가톨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pp.73-113
초록보기
초록

VR 이미지는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 기반의 닫힌 루프 3D 영상 (이하 Virtualgraph)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가 모바일 커머스 환경에서 소비자의 연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제품의 시각적 이미지의 높은 원격 현전성이 해당 제품의 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원격 현전성, 지각된 가치 가격, 지각된 음식의 질, 시각적 이미지의 생생함에 대한 질문지(VVIQ)로 구성된 모델을 개발하였다. 우리는 Virtualgraph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후 인터뷰와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설문 조사, 인터뷰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사용자는 정지 이미지보다 Virtualgraph로 연상을 더 잘한다. 둘째, 신선 식품의 지각된 품질이 만족스럽다면 증가된 연상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증가된 연상은 상품을 높게 평가하게 하며, 신선 식품의 지각된 품질이 좋다면 그 평가는 더 높아진다. 인터뷰에서 우리는 Virtualgraph를 사용한 실험 그룹이 구매 의도가 더 높고 제품을 더 비싼 것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 그룹이 제품 이미지를 더 선명하고 생생하게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모바일 쇼핑몰에서 Virtualgraph를 사용할 때의 전략적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Abstract

Previous studies show that VR images can influence consumers' attitudes and behaviors by evoking imagina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reality-based closed-loop 3D image (hereafter Virtualgraph). Then we try to see whether such image would increase evocativeness in a mobile commerce environment and whether higher telepresence of the visual image of a product can increase the purchase intention of that product. In order to find the above, we developed a model comprised of constructs containing telepresence, perceived value price, perceived food quality, and vividness of visual imagery questionnaire (VVIQ). We used Virtualgraph application to conduct an experiment, and then conducted an interview as well as a survey. As results of the experiment, survey and interview,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users evoke imagination better with Virtualgraph than with still images. Second, increased evocativeness affects purchase intention if the perceived quality of fresh food product is satif actory. Third, increased evocativeness makes users value products higher and do even much higher when the perceived quality of fresh food product is good. From the interview, we could fi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purchase intentions and perceived products as more expensive ones. Also, they perceived images of products clearer and more vivid than did the control group. We also discuss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using Virtualgraph in mobile shopping malls.

logo